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7876&local_id=10012625
운동 지속을 위한 개인과 집단 차원의 심리적 중재 전략 개발 및 상대적 효과 검증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운동 지속을 위한 개인과 집단 차원의 심리적 중재 전략 개발 및 상대적 효과 검증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성창훈(인천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074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3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비만 청소년을 대상으로 건강운동 실천을 위한 개인과 집단차원의 심리적 중재 전략을 개발하고 이의 상대적 중재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인천광역시 소재 1개 중학교에서 비만 판정을 받은 1,2학년 학생 36명이 실험조건인 집단중재 조건과 개인중재 조건 및 통제집단에 각각 12명씩 체계적 배정되었으며, 이들은 예비모임을 포함한 9주간의 실험처치 및 운동프로그램에 참가하였다. 중재의 효과성은 체중과 비만도, 7일 여가시간 운동량(MET)과 더불어 운동통제 지각, 운동결과 기대, 신체적 자기개념, 자기존중감을 포함하는 인지적 변인에 대하여 사전, 4주차, 8주차의 측정치 비교를 통해 검증하였다. 아울러 실험종료 4주 후 중재효과의 지속성을 알아보기 위해 체중과 비만도 및 운동량에 대한 추적검사를 실시하였다. 종속변인에 대한 측정시점별 집단 간 차이(일원분산분석)와 각 집단별 측정시기 간 차이를 반복측정분산분석 한 결과, 체중과 비만도에서 심리적 중재효과가 부분적으로 발견되었으며 비만도의 경우 실험 4주차부터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8주차에 통계적인 유의차를 보였다. 인지적 변인의 경우에도 운동통제 지각과 운동결과 기대 수준 및 신체적 자기개념의 신체활동성 요인과 지구력 요인에서 심리적 중재의 효과가 발견되었고, 이러한 중재 효과는 집단차원의 중재조건에서 가장 높았다. 본 결과는 심리적 운동중재의 중요성과 효과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 영문
  •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dividual and group level psychological intervention strategies on cognitive and behavioral variables of overweight juveniles. Middle school male students who are overweight(N=36) attending 3 treatment groups: group intervention(12), individual intervention(12), and control group(12). After the pre-test, 4 weeks, and 8 weeks every subjects were requested to measure cognitive and behavioral variables. Data processing proved validity and reliance of cognitive variables through analyzing a primary factor and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every subordinate measurement were produced. One-way ANOVA and repeated measure ANOVA was conducted to analysis of results. In summary, first, the subjects applied to the psycological intervention show more decreased weight and overweight than the control group in behavioral variables, and the group intervention is more effective than the individual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 Second, in the some cognitive variables(control belief, outcome expectancy, sports competence, physical activities, endurance),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 and measurement times. This results wer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intervention and it's effectivenes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비만 청소년을 대상으로 건강운동 실천을 위한 개인과 집단차원의 심리적 중재 전략을 개발하고 이의 상대적 중재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인천광역시 소재 1개 중학교에서 비만 판정을 받은 1,2학년 학생 36명이 실험조건인 집단중재 조건과 개인중재 조건 및 통제집단에 각각 12명씩 체계적 배정되었으며, 이들은 예비모임을 포함한 9주간의 실험처치 및 운동프로그램에 참가하였다. 중재의 효과성은 체중과 비만도, 7일 여가시간 운동량(MET)과 더불어 운동통제 지각, 운동결과 기대, 신체적 자기개념, 자기존중감을 포함하는 인지적 변인에 대하여 사전, 4주차, 8주차의 측정치 비교를 통해 검증하였다. 아울러 실험종료 4주 후 중재효과의 지속성을 알아보기 위해 체중과 비만도 및 운동량에 대한 추적검사를 실시하였다. 종속변인에 대한 측정시점별 집단 간 차이(일원분산분석)와 각 집단별 측정시기 간 차이를 반복측정분산분석 한 결과, 체중과 비만도에서 심리적 중재효과가 부분적으로 발견되었으며 비만도의 경우 실험 4주차부터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8주차에 통계적인 유의차를 보였다. 인지적 변인의 경우에도 운동통제 지각과 운동결과 기대 수준 및 신체적 자기개념의 신체활동성 요인과 지구력 요인에서 심리적 중재의 효과가 발견되었고, 이러한 중재 효과는 집단차원의 중재조건에서 가장 높았다. 본 결과는 심리적 운동중재의 중요성과 효과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비록 짧은 8주간이었지만 운동프로그램에 심리적 중재전략을 병행한 집단이 운동프로그램만을 독립적으로 실행할 통제집단에 비해 비만 청소년들의 체중이나 비만도 감소나 운동통제지각 혹은 운동결과 기대와 같은 인지변인의 긍정적 변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발견되었다. 특히, 심리적 중재의 효과는 개인차원보다는 집단차원으로 소집단을 구성하여 중재전략을 투입할 때 더욱 효과적이었다. 이는 집단차원의 중재가 다른 중재구조에 비해 효과적이라는 선행연구 결과들(Brawley, Rejeski & Lutes, 2000; Carron & Sping, 1993; Estabrooks & Carron, 1999; Spink & Carron, 1993)과 부분적으로 일치하는 결과이며, 운동중재의 효과를 메타분석 한 결과(Dishman & Buckworth, 1996)와도 어느 정도 일관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결과는 일차적으로 현장에서 비만 청소년을 대상으로 운동중재 프로그램을 설계하거나 적용할 때 요구되는 전략적 정보를 제공해주며, 운동중재와 관련된 후속 연구들에 경험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심리적 중재전략, 집단 및 개인중재 효과, 비만 청소년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