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0974&local_id=10019016
20세기 전쟁 기념의 비교문화사: 역사적 지형도와 담론의 헤게모니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20세기 전쟁 기념의 비교문화사: 역사적 지형도와 담론의 헤게모니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전진성(한양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S0005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1월 06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공동연구는 20세기의 전쟁기념을 동서양의 다양한 지역에서 행해진 각종 역사적, 정치적 담론과 문화적 재현매체들의 사례를 통해 비교, 검토해보았다. 1914년 발발한 1차 세계대전은 처음으로 ‘총력전(total war)’이라는 전혀 새로운 성격의 전쟁을 등장시켰다. 총력전이란 국가에 의한 전일적인 대량 동원과 대량살상, 기술적 잠재력의 극대화로 특징지어지는 전쟁 양상으로서 20세기 세계의 정치, 사회, 문화구조에 심대한 영향을 끼쳤다. 본 연구는 ‘역사적 지형도와 담론의 헤게모니’라는 문제의식 하에 20세기 총력전에 대한 각종의 기억 방식들을 역사적 기억과 망각, 정치적 선전과 예술적 초극, 중심부와 주변부라는 중층적인 안목으로 살펴봄으로써 20세기 지구사를 관통하고 있는 역사적 상흔과 그것을 극복하여 미래를 창조하려는 지난한 노력들을 탐구하였다.
    전쟁기념 문화는 근대 국가의 형성기에서부터 민족 국가 정체성을 구성하는 중요한 기제가 되어왔다. 본 연구는 특히 국가정체성과 기념문화 연구에 공간이라는 분석틀을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학문적 방법론을 정립하고자 시도했다. 동양과 서양,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국, 일본, 미국, 독일, 프랑스 각국의 전쟁기념 문화를 근대 제국과 식민지라는 세계사적 흐름 속에 비교사적으로 접근함으로써 기념문화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함과 동시에 제국과 식민지, 식민지 내부와 내부 식민화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총 3차년도의 계획으로 수행되었다. 1차년도는 ‘전쟁기념담론의 구성과 성격: 공적 담론에서 제도교육까지’라는 주제 하에 전문적인 역사학 저술과 좀더 포괄적인 의미의 역사적 정치담론이 행해지는 언론매체, 그리고 역사교과서 등을 소재로 삼아, 공적인 전쟁담론에 대한 포괄적이고도 세분화된 분석을 행했다. 각국은 20세기 특유의 총력전이 낳은 트라우마를 치유하고 이를 새로운 정체성형성의 전기(轉機)로 삼기위해 전쟁 기념을 적극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일치하나, 유럽에서는 주로 전쟁기념이 트라우마를 보듬는 차원을 보여준데 반해, 아시아와 미국에서는 대체로 전쟁기념을 정치적, 이데올로기적으로 도구화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2차년도 공동연구는 ‘기념비적 공간의 비교문화사: 박물관에서 매스미디어까지’라는 주제 하에 문화적 매체에 의한 기념 양상을 집중 탐구하였다. 20세기 총력전의 경험이 낳은 극대화된 트라우마는 관례화된 매체들을 넘어 새로운 매체들을 대거 양산했으며 이를 통해 도저히 합리적 설명이 불가능해 보이는 체험의 의미를 다시 찾으려는 노력들이 두드러졌다. 특히 유럽권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기념비와 박물관, 예술작품들은 역사적 트라우마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제시해주었다. 2년간의 연구를 바탕으로, 3차년도의 공동연구는 전쟁기념의 새로운 지형들이 내포하는 가능성과 한계를 탐구하였다. ‘기념되는 전쟁과 잊혀진 전쟁: 대안적 기념문화의 모색’이라는 주제 하에 특정한 희생자에 대한 추모와 여타의 희생자에 대한 배제, 혹은 희생을 미화하는 일방적인 기념문화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었다.
  • 영문
  • Our research results on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national identities formed through the experiences of imperial and colonial wars will contribute to further stimulating the international and domestic discourse on commemoration. Specialists of Western and Asian history in general and specialists on German, French, the U.S.. Korean, and Japanese history in particular have collaborated to provide a comparative view on commemoration cultures across the regional and national boundaries. The comparative and collaborative researches on commemoration cultures, which have attempted to overcome the narratives of national histories, will provide for the basis of reasonable communications among various communities scared by imperial and colonial exploitations and regional and international wars. By linking the academic effort to search for a new way to commemorate war and peace with the public effort to heal the trauma caused by various types of wars in Korea,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making of an alternative culture to remember and forget. By focusing on the "(urban) space" concept and deriving from recent researches on urban history, our research results will contribute to identifying a new interpretive factor in analyzing commemoration cultur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공동연구는 20세기의 전쟁기념을 동서양의 다양한 지역에서 행해진 각종 역사적, 정치적 담론과 문화적 재현매체들의 사례를 통해 비교, 검토해보았다. 1914년 발발한 1차 세계대전은 처음으로 ‘총력전(total war)’이라는 전혀 새로운 성격의 전쟁을 등장시켰다. 총력전이란 국가에 의한 전일적인 대량 동원과 대량살상, 기술적 잠재력의 극대화로 특징지어지는 전쟁 양상으로서 20세기 세계의 정치, 사회, 문화구조에 심대한 영향을 끼쳤다. 본 연구는 ‘역사적 지형도와 담론의 헤게모니’라는 문제의식 하에 20세기 총력전에 대한 각종의 기억 방식들을 역사적 기억과 망각, 정치적 선전과 예술적 초극, 중심부와 주변부라는 중층적인 안목으로 살펴봄으로써 20세기 지구사를 관통하고 있는 역사적 상흔과 그것을 극복하여 미래를 창조하려는 지난한 노력들을 탐구하였다.
    본 연구는 몇 가지 측면에서 독창성을 추구하였다. 먼저 국내에서 선구적으로 본격적인 ‘기념(commemoration)’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념’이란 한 사회 또는 특정한 사회집단이 자신의 과거를 관리하는 공적인 형식으로서, 이러한 접근 방식은 과거에 대한 기억을 행하는 주체와 그 주체가 과거를 재현하기위해 사용하는 매체, 그리고 그 재현 결과를 수용하는 자를 종합적으로 규명함으로써 기억의 권력정치적, 이데올로기적, 사회갈등적, 문화변동적 위상을 다각도로 검토할 수 있게 한다. ‘기념’ 연구를 통해 기억의 문제는 비로소 사회‧문화과학적인 차원으로 읽힐 수 있게 된다. 본 연구의 또 다른 독창성은 대상지역과 매체의 다변화를 꾀했다는 점이다. 연구의 대상지역으로는 한국, 일본, 프랑스, 독일, 영국, 미국이 포괄되었다. 이 지역들은 식민지 해방투쟁, 제국주의 전쟁, 세계대전, 냉전(분단) 중의 하나 또는 여럿을 심각하게 경험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매체로는 역사교과서, 신문, 방송, 박물관, 기념관, 기념비, 도시공간, 회화, 영화, 소설 등이 두루 포함되었다. 이처럼 다양한 지역과 다양한 수준 및 매체영역을 포괄하는 비교문화사 연구는 각 년차마다 초점을 달리하여 진행되었다.
    1차년도는 ‘전쟁기념담론의 구성과 성격: 공적 담론에서 제도교육까지’라는 주제 하에 전문적인 역사학 저술과 좀더 포괄적인 의미의 역사적 정치담론이 행해지는 언론매체, 그리고 역사교과서 등을 소재로 삼아, 공적인 전쟁담론에 대한 포괄적이고도 세분화된 분석을 행했다. 각국은 20세기 특유의 총력전이 낳은 트라우마를 치유하고 이를 새로운 정체성형성의 전기(轉機)로 삼기위해 전쟁 기념을 적극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일치하나, 유럽에서는 주로 전쟁기념이 트라우마를 보듬는 차원을 보여준데 반해, 아시아와 미국에서는 대체로 전쟁기념을 정치적, 이데올로기적으로 도구화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2차년도 공동연구는 ‘기념비적 공간의 비교문화사: 박물관에서 매스미디어까지’라는 주제 하에 문화적 매체에 의한 기념 양상을 집중 탐구하였다. 20세기 총력전의 경험이 낳은 극대화된 트라우마는 관례화된 매체들을 넘어 새로운 매체들을 대거 양산했으며 이를 통해 도저히 합리적 설명이 불가능해 보이는 체험의 의미를 다시 찾으려는 노력들이 두드러졌다. 특히 유럽권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기념비와 박물관, 예술작품들은 역사적 트라우마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제시해주었다. 2년간의 연구를 바탕으로, 3차년도의 공동연구는 전쟁기념의 새로운 지형들이 내포하는 가능성과 한계를 탐구하였다. ‘기념되는 전쟁과 잊혀진 전쟁: 대안적 기념문화의 모색’이라는 주제 하에 특정한 희생자에 대한 추모와 여타의 희생자에 대한 배제, 혹은 희생을 미화하는 일방적인 기념문화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었다.
    이상의 3차년 간의 공동연구를 통해 얻은 궁극적 결론은 20세기의 전쟁 기념이 20세기 세계 각국의 독특한 정치 ‧ 문화적 구조를 형성하는데 크게 영향을 끼쳤으며 자민족중심주의나 엘리트주의의 관점을 넘어, 보다 지구적 관점, 또한 비주류 및 주변부의 관점에 입각하는 새로운 시민의식의 가능성을 제공했다는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의 학문적, 사회적 기여
    ① 국내외학계와의 교류를 통한 기념문화 연구 활성화: 전 세계적으로 기념문화와 기억의 문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우리의 연구결과물은 역사의식, 식민지 경험, 민족 국가 정체성의 구성과 상흔의 치유, 대안적 기념 문화의 형성 등 다양한 학문적 고민들과 맞닿아 있는 기념문화에 관한 연구를 활발한 국내외학계와의 교류 속에서 활성화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② 민족 국가 정체성과 기념 문화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규명: 기념 문화는 근대 국가의 형성기에서부터 민족 국가 정체성을 구성하는 중요한 기제가 되어왔다. 특히 도시공간과 기념문화와의 연관성을 분석함으로써 국가정체성과 기념문화 연구에 공간이라는 분석틀을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학문적 방법론을 정립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③ 비교사적 기념 문화 연구를 통한 제국-식민지 기억 성찰: 동양과 서양,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국, 일본, 미국, 독일, 프랑스 각국의 전쟁기념 문화를 근대 제국과 식민지라는 세계사적 흐름 속에 비교사적으로 접근함으로써 기념문화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함과 동시에 제국과 식민지, 식민지 내부와 내부 식민화를 규명하는 또 다른 모색이 될 수 있을 것이다.
    ④ 민족국가 중심의 기념문화에 대한 비판적 시각 제시 및 담론 공동체의 모색: 전쟁기념 문화에 대한 비교사적 연구는 민족 감정이나 국가 간의 ‘내셔널 히스토리’의 경계를 넘어서서 ‘역사’, ‘유물’, ‘기억’, ‘기념’의 문제를 합리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이론적이고 성찰적인 문제제기를 이끌어 낼 수 있다. 이는 사회적으로 ‘기념’을 둘러싼 담론 지형을 새롭게 주조하여 민족 감정과 ‘상처’를 넘어서 보다 합리적인 담론 공동체를 구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고 본다.
    ⑤ 상흔의 치유와 대안적 기념 문화의 모색: 본 연구는 학문 방법론상의 기여 뿐 아니라 상흔을 치유하는 새로운 성찰과 전쟁 기억과 상처를 치유하는 합리적인 담론 공동체를 모색함으로써 한국 사회에서 매우 시급하고 본질적인 사회적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2) 연구결과의 활용방안
    ① 국내 새로운 연구자 네트워크 구성: 본 연구는 각 영역의 연구자들이 역사와 문화 연구에 있어서 자신이 소속된 학제적 패러다임을 넘어선 새로운 시도를 모색하는데 기여하여할 것이다. 다양한 국내전문가초청간담회 개최를 통해 전쟁기념에 관한 국내전문가의 연구 성과를 적극 반영하고 이들을 공동 연구에 직접 참여시킴으로써 학문적으로나 실천적으로 비교문화사적 연구의 영역을 구축하는 새로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② 지속적인 국제 네트워크 기반 제공: 전쟁기념 문화에 대한 비교문화사적 연구를 통해 국내 연구자 간 교류를 활성화시키는데 많은 기여를 하였다. 이는 해외 연구자와의 지속적인 교류의 발판을 만드는데 기여하였을 뿐만 아니라 연구결과물의 해외 국제학술회의에서의 발표를 통해 기념문화사 연구에 국제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활발한 국제학계와의 교류는 각 지역별 기념 문화 연구 기관 및 기념관 등을 연결하는 국제적 네트워크를 통해 연구의 국제적 공유의 기반이 될 것이다.
    ③ 현장 체험 역사 교육에 대한 새로운 프로그램 제시: 본 연구의 결과물은 한국의 전쟁기념 문화를 비교사적으로 체계화함으로써 기념관, 유적지, ‘민간인 학살 현장’에 이르는 다양한 역사의 ‘터’에 대한 반성적 성찰의 안내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학교, 지방 자치 단체, 기념 사업회들이 각각 분산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기념 문화와 행사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만들고 각 학교의 현장 체험 학습 프로그램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성화하고 재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④ 단행본 출간예정: 본 연구의 결과는 일차적으로 매년 한 차례씩 예정된 국제 학술 심포지엄과 국내전문가초청간담회를 통해 발표되었고, 또한 국제 학술 심포지엄과 국내전문가초청간담회를 통해 보다 심도 있는 연구로 보완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단행본의 형태로의 출판이 진행되고 있다.
  • 색인어
  • 총력전, 역사적 지형도, 담론, 헤게모니, 트라우마, 전쟁기념, 재현, 대안적 기억, 미디어, 박물관, 역사 교과서, 기념비, 기념관, 과거청산, 과거 극복, 도시 공간, 비교문화사, 반기념비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