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1206&local_id=10016623
인문학 기반 스토리 뱅크 구축을 위한 서사 모델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인문학 기반 스토리 뱅크 구축을 위한 서사 모델 연구 | 200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최용호(한국외국어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194
선정년도 200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01월 24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우리는 본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질문을 제기하였다. 첫째, 어떤 스토리 뱅크를 구축할 것인가 둘째, 스토리 뱅크를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 첫 번째 질문은 스토리 뱅크의 구축 목적과 관련된 질문이고 두 번째 질문은 스토리 뱅크의 구축 방식과 관련된 질문이다. 우리는 이 두 질문을 모두 서사학적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우리가 고려한 서사 모델은 구조주의 서사학, 인지주의 서사학, 서사 기호학, 텍스트 의미론, 등 모두 네 가지이다. 우리는 스토리 뱅크의 유형을 크게 참조형과 비참조형으로 나누고 전자를 다시 학술적 연구형과 산업적 활용형, 후자를 삶의 나눔형과 문학적 향유형으로 각각 세분하였다. 비참조형과 달리 참조형 스토리 뱅크의 경우 체계적이고 국가적인 접근이 필요한 스토리 뱅크의 형태이다. 우리는 이러한 형태의 스토리 뱅크 구축에 논의의 초점을 맞추었다. 우리는 서사 모델을 한편으로 설명력과 기술력을 한 축으로, 다른 한편으로 형식성과 경험성을 다른 한 축으로 해서 이들을 비교 검토하였다. 구조주의 서사학은 기술력과 형식성에서, 인지주의 서사학은 경험성과 설명력에서, 서사 기호학은 형식성과 설명력에서, 텍스트 의미론은 기술력과 경험성에서 강점을 보였다. 우리는 스토리에 대한 정보를 서사 정보로 정의하고 인물정보, 사건정보, 배경정보 등을 검색하고 추출할 수 있는 서사 정보 추출 시스쳄에 대한 모델을 제시하였다. 앞으로 이 모델은 참조형 스토리 뱅크의 다양한 활용을 위한 전산 지원 시스템으로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서사학적 접근뿐만 아니라 인공지능, 전산언어학, 등의 기술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영문
  • In this paper we perform a comparative survey on such narrative models as structural narratology, cognitive narratology, narrative semiotics and text semantics in order to offer a narrative perspective to the following question: How to construct a Story Bank based on Humanity This question is not indifferent to the question of what kind of Story Bank to construct. We start by making a distinction between two types of Story Bank: reference type and non-reference type. The first includes two subtypes, the one for academic research and the other for the industrialization of a story. And the second includes another two subtypes, the one for sharing life experience and the other for literary pleasure. We concentrate ourselves on the reference type in the present study with the following purpose : to construct a Story Bank equipped with narrative information searching system. We propose to apply different narrative concepts as well as narrative models to achieving this goal.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논문은 스토리 뱅크의 구축 목적과 방식에 관한 문제를 서사학적 관점에서 접근한 논문이다. 우리는 먼저 스토리 뱅크를 구축 목적에 따라 참조형과 비참조형으로 나누고 전자를 다시 학술적 연구과 산업적 활용으로, 후자를 삶의 나눔과 문학적 향유로 세분하였다. 우리는 연구의 초점을 참조형 스토리 뱅크에 맞추어 진행하였다. 참조형 스토리 뱅크는 전산 지원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을 활용의 효용성이 높게 나타났다. 우리는 서사 정보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전산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우리는 효과적인 스토리 뱅크 구축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서사 모델을 인식론적 관점에서 비교하였다. 우리가 고려한 서사 모델들은 구조주의 서사학, 인지주의 서사학, 서사 기호학, 텍스트 의미론 등 네 가지이다. 우리는 한편으로 경험성과 형식성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설명력과 기술력으로 나누어 이들을 비교 검토하였다. 구조주의 서사학은 기술력과 형식성에서, 인지주의 서사학은 경험성과 설명력에서, 서사 기호학은 형식성과 설명력에서, 텍스트 의미론은 기술력과 경험성에서 각각 높은 효율성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앞으로 서사학 기반 스토리 뱅크 구축을 위해 활용 가능하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질문에서 출발하였다. 첫째, 어떤 스토리 뱅크를 구축할 것인가 둘째 스토리 뱅크를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 우리는 첫 번째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스토리 뱅크의 유형학을 구축하였다. 오늘날 다양한 형태의 스토리 뱅크가 존재한다. 유형학적 접근은 스토리 뱅크의 구축 목적을 명시하고 체계적인 접근의 가능성을 높여준다. 우리는 본 연구에서 특별히 우리가 참조형 스토리 뱅크라고 부르는 유형에 논의를 집중하였다. 비참조형의 경우 주로 사적 접근을 보이고 있는 반면에 참조형의 경우 공적 국가적 접근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두 번째 질문은 스토리 뱅크의 구축 방식과 관련된 질문이다. 우리는 참조형 스토리 뱅크에 서사 정보 처리 시스템을 구축할 경우 고려해야 하는 서사 정보의 추출 방식에 관해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앞으로 서사 정보의 전산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우리는 앞으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전산 지원 시스템을 갖춘 참조형 스토리 뱅크의 효과적인 구축을 위해 노력할 것이다.
  • 색인어
  • 스토리 뱅크, 서사 모델, 구조주의 서사학, 인지주의 서사학, 서사 기호학, 텍스트 의미론, 서사 정보, 참조형 스토리 뱅크, 비참조형 스토리 뱅크, frantext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