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2255&local_id=10013790
운동강도에 따른 운동후 백서 골격근의 apoptosis 반응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운동강도에 따른 운동후 백서 골격근의 apoptosis 반응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재호(단국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G00142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5월 02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근수축부하를 증가시켜 골격근의 apoptosis관련 유전자 변화를 분석하여 적정운동강도를 위한 근생리기전을 알아보는데 그목적이 있다. 이실험을 위해 ICR계 실험용 쥐로 초기(7주령) 2일간의 적응 훈련(10m/min, 0%, 20min)을 실시하여 적응기를 거친 후 2일 경과된 다음 본 운동을 실행하였다. 운동 수행방법으로 Ji(199325))가 사용했던 운동프로토콜을 변형하여 적용시켰다. 방법은 모든 운동 그룹의 속도는 25m/min-1로 고정하였고 경사도를 0%, 10%, 20% grade에서 각각 수행하였다. 또한 운동량에 의한 차이를 반영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임의적으로 50-30분간 운동시켰다. 분석 시점은 운동전 ,운동직후 0h, 회복기 5h으로 하여 세포사멸 관련 유전자를 분석한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caspase-3 mRNA 발현은 다른 운동그룹과 비교하여 20% 경사도 그룹의 운동직후, 회복기 5h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그룹내 변화는 운동직후에 가장 높게 증가하였고, 안정시 수준으로 회복되지는 않았지만 회복기 5h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1).

    둘째, Bcl-2 mRNA는 20% 경사도 그룹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20% 그룹내의 회복기 5h에 가장 높았다(p<.01),

    셋째, Bad mRNA는 모든 그룹내에서 안정시 보다 직후, 회복기 5h 점증적으로 증가하였고(P<.01), 그룹간 20% 경사도 그룹에서 수행한 운동그룹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Bax mRNA는 20% 경사도 그룹에서 수행한 운동그룹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P<.01). 또한 20% 경사도 그룹내에서 운동직후보다 회복기 5h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다섯째, bcl-xl mRNA는 20% 경사도 그룹에서 다른 그룹과 비교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회복기 5h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1).

    여섯째, DNA fragmentation은 20% 경사도 그룹의 회복기 5h에 높게 나타났고 다른 그룹과 비교하여 20% 경사도 그룹이 높게 나타났다.
  • 영문
  • mounting eivdence indicates that regular exercise programs are associated with reduced risk of chronic disease and enhanced physical fitnes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eferent intensities of aerobic exercise.muscle cel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7wk mice performed aerobic exercise for 4wk consecutive days(treadmille grade:0% grade, 10% grade, 20% grade / fix speed: 25m/min).The exercise were carried out on an adapted treadmill in order for 2 animals to run at the same time. A total exercise time was 30-50min with the average speed of 25m/min. The mice(ICR) were housed two per cage in a temperature of 23∼24℃ and controlled in an evironment with a cycle of 12:12h light-dark and provided with food and water. The exercise were carried out on an adapted treadmill in order for 2 animals to run at the same time. A total exercise time was 60min with the average speed of 24∼25m/min. One section of quadriceps muscle of the exercise group killed with cervical decapitation after physical activity for 1hour was cut from the R․L low limbs, frozen in liquid nitrogen and stored at -80℃ for analysis. The caspase-3, Bcl-2, Bad, Bcl-XL, Bax transcript contents were estimated by RT-PCR. DNA laddering was used to detect DNA fragmentation as an indicator of apoptosi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erized as follows ; First. caspase-3 mRN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on rest, immediately after exercise and recovery at 5h on 20% grade group when compared with 0% and 10% group. Second, Bcl-2 mRN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on immediately after exercise and recovery at 5h on 20% grade group. Third, Bad transcrip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20% grade group when compared with 0% and 10% group. Fourth, bax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20% grade group when compared with 0% grade and 10% grade group. Fifth, bcl-x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20% grade group when compared with the 0% grade and 10% grade group.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recovery at 5h when compared with the rest and recovert at oh. sixth, DNA fragmentation was increased in 20% grade group and recovery at 5h on 20% grade group.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규칙적인 운동 프로그램은 만성 질환의 요인을 감소시키고 체력의 증진과 관련되어 있다. 더욱이 운동의 강도와 지속시간은 운동반응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로 작용한다. 본 연구는 ICR계 실험용 쥐로 초기(7주령) 2일간의 적응 훈련(10m/min, 0%, 20min)을 실시하여 적응기를 거친 후 2일 경과된 다음 본 운동을 실행하였다. 운동 수행방법으로 Ji(199325))가 사용했던 운동프로토콜을 변형하여 적용시켰다. 방법은 모든 운동 그룹의 속도는 25m/min-1로 고정하였고 경사도를 0%, 10%, 20% grade에서 각각 수행하였다. 또한 운동량에 의한 차이를 반영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임의적으로 50-30분간 운동시켰다. 분석 시점은 운동전 ,운동직후 0h, 회복기 5h으로 하여 세포사멸 관련 유전자를 분석한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caspase-3 mRNA 발현은 다른 운동그룹과 비교하여 20% 경사도 그룹의 운동직후, 회복기 5h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그룹내 변화는 운동직후에 가장 높게 증가하였고, 안정시 수준으로 회복되지는 않았지만 회복기 5h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1).

    둘째, Bcl-2 mRNA는 20% 경사도 그룹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20% 그룹내의 회복기 5h에 가장 높았다(p<.01),

    셋째, Bad mRNA는 모든 그룹내에서 안정시 보다 직후, 회복기 5h 점증적으로 증가하였고(P<.01), 그룹간 20% 경사도 그룹에서 수행한 운동그룹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Bax mRNA는 20% 경사도 그룹에서 수행한 운동그룹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P<.01). 또한 20% 경사도 그룹내에서 운동직후보다 회복기 5h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다섯째, bcl-xl mRNA는 20% 경사도 그룹에서 다른 그룹과 비교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회복기 5h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1).

    여섯째, DNA fragmentation은 20% 경사도 그룹의 회복기 5h에 높게 나타났고 다른 그룹과 비교하여 20% 경사도 그룹이 높게 나타났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7주령된 ICR계 실험용 쥐를 대상으로 근수축 부하을 증가시켜 트레드밀 경사도를 0%, 10%, 20% 다르게 설정한 후 골격근에서의 caspase-3, bcl-2, bcl-xl, bad, bax mRNA를 분석한 결과, caspase-3 mRNA 발현은 다른 운동그룹과 비교하여 20% 경사도 그룹의 운동직후, 회복기 5h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그룹내 변화는 운동직후에 가장 높게 증가하였고, 안정시 수준으로 회복되지는 않았지만 회복기 5h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Bcl-2 mRNA는 20% 경사도 그룹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20% 그룹내의 회복기 5h에 가장 높았다.Bad mRNA는 모든 그룹내에서 안정시 보다 직후, 회복기 5h 점증적으로 증가하였고, 그룹간 20% 경사도 그룹에서 수행한 운동그룹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Bax mRNA는 20% 경사도 그룹에서 수행한 운동그룹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20% 경사도 그룹내에서 운동직후보다 회복기 5h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bcl-xl mRNA는 20% 경사도 그룹에서 다른 그룹과 비교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회복기 5h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DNA fragmentation은 20% 경사도 그룹의 회복기 5h에 높게 나타났고 다른 그룹과 비교하여 20% 경사도 그룹이 높게 나타났다.
  • 색인어
  • apoptosis, exercise, caspase-3, bcl-2, bax, bad, bcl-xl, DNA fragmentation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