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413&local_id=10015036
기후변화가 농업용수 수요량에 미치는 영향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기후변화가 농업용수 수요량에 미치는 영향 | 2008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정상옥(경북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D00167
선정년도 2008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7월 14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기후변화가 공간적 및 시간적으로 논 관개용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SRES의 A2, B2 시나리오에 대하여 2050s 과 2080s에 대하여 GCM (HadCM3) 모형의 출력물을 국제 물관리 연구소의 기준년도 (1961-1990) 기상자료의 해상도에 일치하도록 상세화하여 적용하였다. 관개 요구량의 공간적인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GIS를 이용하였다.
    모의 결과는 평균 강우량은 크게 증가 (+25 to +53 %) 하지만, 평균 유효강우량은 약간만 증가 (+2 to +8 %) 할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따라서 관개요구량도 약간 감소 (-1 to -8 %) 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영농 상황이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관개요구량은 4% (2050s A2), 8 % (2050s B2), 10 % (2080s A2) 및 2 % (2080s B2)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러나 수자원 관리에 큰 공간적 변동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결과와 SRES의 A2에 대한 가용수자원 변동에 대한 이전의 다른 연구결과를 비교하면 가용수자원과 관개요구량의 비율은 장래에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강우는 논 관개 피크기를 지난 후에 내린다. 물 부족이 예상되는 지역에서는 이앙을 늦추던지 저수지를 더 축조하는 등의 대책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The spatial and temporal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paddy irrigation water demands in South Korea have been modeled and mapped. The outputs from a GCM (HadCM3) for two selected IPCC SRES scenarios (A2, B2) and for two time periods (2050s and 2080s) have been downscaled and applied to a baseline climatology (1961-1990) developed by the International Water Management Institute. A GIS was used to map spatial changes in irrigation water requirements.
    The simulations showed that although future average rainfall is expected to increase substantially (+25 to +53 %), average effective rainfall will only increase slightly (+2 to +8 %), leading to only slight reductions in paddy irrigation requirements (-1 to -8 %). Assuming cropping patterns and farming practices remain unchanged, total volumetric irrigation water demand decreases by 4% (2050s A2), 8 % (2050s B2), 10 % (2080s A2) and 2 % (2080s B2). However, the spatial variations are substantial, and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Combining these results with previously forecast increases in the available water resources under the SRES A2 scenario, the ratio between available water resources and volumetric irrigation demand would increase significantly. However, most of the increased rainfall falls after the peak demand period. Potential adaptation strategies such as delaying the planting and constructing more storage reservoirs can be considered where water shortages still occur.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기후변화가 공간적 및 시간적으로 논 관개용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SRES의 A2, B2 시나리오에 대하여 2050s 과 2080s에 대하여 GCM (HadCM3) 모형의 출력물을 국제 물관리 연구소의 기준년도 (1961-1990) 기상자료의 해상도에 일치하도록 상세화하여 적용하였다. 관개 요구량의 공간적인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GIS를 이용하였다.
    모의 결과는 평균 강우량은 크게 증가 (+25 to +53 %) 하지만, 평균 유효강우량은 약간만 증가 (+2 to +8 %) 할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따라서 관개요구량도 약간 감소 (-1 to -8 %) 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영농 상황이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관개요구량은 4% (2050s A2), 8 % (2050s B2), 10 % (2080s A2) 및 2 % (2080s B2)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러나 수자원 관리에 큰 공간적 변동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결과와 SRES의 A2에 대한 가용수자원 변동에 대한 이전의 다른 연구결과를 비교하면 가용수자원과 관개요구량의 비율은 장래에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강우는 논 관개 피크기를 지난 후에 내린다. 물 부족이 예상되는 지역에서는 이앙을 늦추던지 저수지를 더 축조하는 등의 대책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 결과는 장래에 평균 강우량은 크게 증가 (+25 to +53 %) 하지만, 평균 유효강우량은 약간만 증가 (+2 to +8 %) 할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따라서 관개요구량도 약간 감소 (-1 to -8 %) 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영농 상황이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관개요구량은 4% (2050s A2), 8 % (2050s B2), 10 % (2080s A2) 및 2 % (2080s B2)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러나 수자원 관리에 큰 공간적 변동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결과와 SRES의 A2에 대한 가용수자원 변동에 대한 이전의 다른 연구결과를 비교하면 가용수자원과 관개요구량의 비율은 장래에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장기간에 걸친 기후변화가 우리나라 농업용수 수요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농업용수개발 장기계획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총 용수사용량의 47%를 차지하는 농업용수는 국가 장기 수자원개발 계획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본 연구결과는 국가 장기 수자원개발 장기계획의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기후변화, 논 관개, GIS, 한국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