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16827&local_id=10020028
국제 거시 경기 변동에 대한 새 개방 거시 경제 모형에 따른 해석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국제 거시 경기 변동에 대한 새 개방 거시 경제 모형에 따른 해석 | 2007 년 | 김소영(고려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112
선정년도 2007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9년 05월 04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9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새 개방 경제 거시 모형의 관점에서 국제 거시 경기 변동을 분석했다. 이론적인 새 개방 경제 거시 모형을 풀어서 4가지 주요 구조 충격 (생산기술충격, 노동 공급충격, 선호 충격, 명목 충격)에 대한 장기 제약을 도출한 후, 이러한 제약을 부가한 구조 VAR 모형을 이용하여 구조 충격을 식별했다. 구조 VAR 모형을 미국, 유로 지역, 미국 의 자료를 이용하여 브레튼 우즈 체제 이후 기간을 대상으로 추정했다. 추정된 구조 VAR 모형에서 구조 충격에 대한 충격 반응 함수와 이론적인 새 개방 경제 거시 모형에서의 각 구조 충격에 대한 반응을 비교하여 새 개방 경제 거시 모형의 실증적 정합성을 추론하고, 추정된 구조 VAR 모형에서 구조 충격이 주요 국제 거시 경제 변수 (국내외 실질 생산 차이, 실질 환율, 경상 수지)의 변동을 설명하는데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분석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추정된 구조 VAR 모형에서의 각 구조 충격의 충격 반응 함수의 부호가 이론적인 새 개방 경제 모형에서의 각 구조 충격의 반응과 대부분 일치한다. 이러한 결과는 새 개방 경제 모형의 실증적 정합성을 어느 정도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된다. (2) 생산 기술 충격, 노동 공급 충격 등 공급 측면 구조 충격이 국내외 실질 생산의 차이의 변동의 대부분을 설명한다. (3) 선호 충격은 실질 환율 변동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4) 일반적으로 경상 수지 변동을 설명하는데 네가지 구조 충격이 중요하지만, 미국의 막대한 경상 수지 적자로 대변되는 최근의 글로벌 불균형을 설명하는데는 생산 기술 충격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 영문
  • This paper investigates international macroeconomic fluctuations in light of NOEM (New Open Economy Macroeconomics) models. A model with four major economic disturbances (technology shocks, labor supply shocks, taste shocks, and nominal shocks) is analytically solved to derive theoretical long-run identification restrictions. These restrictions are used to estimate a structural VAR model for three largest economies (the U.S., Euro Area, and Japan) over the post Bretton Woods period. Main findings are: (1) the signs of dynamic effects of shocks are mostly consistent with theoretical predictions; (2) supply-side shocks (technology and labor supply shocks) explain most of fluctuations in cross-country output deviations; (3) taste shocks are the dominant source of real exchange rate fluctuations; (4) and productivity shocks played a prominent role in the recent global imbalances (large U.S. external deficit), while the current account has usually been influenced by all four shocks, with no single shock dominant in all period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This paper investigates international macroeconomic fluctuations in light of NOEM (New Open Economy Macroeconomics) models. A model with four major economic disturbances (technology shocks, labor supply shocks, taste shocks, and nominal shocks) is analytically solved to derive theoretical long-run identification restrictions. These restrictions are used to estimate a structural VAR model for three largest economies (the U.S., Euro Area, and Japan) over the post Bretton Woods period. Main findings are: (1) the signs of dynamic effects of shocks are mostly consistent with theoretical predictions; (2) supply-side shocks (technology and labor supply shocks) explain most of fluctuations in cross-country output deviations; (3) taste shocks are the dominant source of real exchange rate fluctuations; (4) and productivity shocks played a prominent role in the recent global imbalances (large U.S. external deficit), while the current account has usually been influenced by all four shocks, with no single shock dominant in all periods.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새 개방 거시 경제 모형이 도입된지 10년이 넘었고 보다 나아가서는 현재 개방 경제 거시 분석에 주로 쓰이고 있는 개방 경제 확률 동학 일반 균형 모형이 이용되기 시작한지 거의 20년이 다 되어가는데도 불구하고, 개방 경제 확률 동학 일반 균형 모형의 아주 기본적인 가정과 부합하면서 전반적으로 국제 거시 경기 변동을 연구할 수 있는 자료 중심의 실증 분석의 틀이 거의 전무하다. 이러한 시점에서 자료 중심의 실증 분석인 VAR 모형을 이용하여 개방 경제 확률 동학 일반 균형 모형의 시각으로 전반적으로 국제 거시 경기 변동을 연구할 수 있는 실증 분석의 틀을 제시했다는 면에서 국제적으로 학문적 파급 효과가 매우 클 것이라고 생각된다. 기존의 국제 거시 경기 변동에 관한 전반적인 면을 다룰 수 있는 모형은 총 수요 충격, 총 공급 충격 등 주로 전통적인 모형을 이용한 분석의 틀을 제시함에 비해 본 연구는 기술 충격, 선호 충격 등을 이용한 개방 경제 거시 분석에 부합하는 분석의 틀을 제시함으로써 국제적으로 향 후 많은 후속 논문들이 뒤따를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새 개방 거시 경제 모형의 전반적인 실증적 정합성에 관한 자료 중심의 실증 분석이 거의 없었는데 본 연구는 새 개방 거시 경제 모형에 대한 보다 자료 중심의 전반적인 실증 분석을 시도함으로써 새 개방 거시 경제 모형에 대한 실증적인 평가를 시도했다는 면에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한편 기존의 국제 경기 변동에 관한 VAR 모형을 이용한 분석 등 자료 중심의 분석들이 대부분 특정 구조 충격의 영향 등 국제 경기 변동의 단편적인 면 만을 분석하고 있음에 비해 본 연구는 다양한 구조 충격의 영향을 분석한다는 면에서 국제 경기 변동에 대한 전반적인 분석이라 할 수 있다. 국제 경기 변동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제고할 수 있다는 면에서 학문적인 파급 효과가 클 것이라고 기대되고 교육에 환류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이슈들은 학문적으로 중요한 이슈일 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에서 이슈가 되고 있고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현실적으로도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된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도 최근 환율의 절상과 더불어 경상 수지의 결정 요인에 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현실이고, 미국도 달러화의 약세, 경상 수지 적자의 심화 등으로 이러한 이슈에 관해 상당히 관심을 갖고 있는 등 세계 각국에서 현실적으로도 주요 이슈가 되고 있는 문제이다. 본 연구는 경상 수지, 실질 환율의 전반적인 결정 요인, 역사적으로 주요 역할을 해온 요인들 등을 체계적이고 전반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주요 이슈들에 대해 중요한 시사점을 주고 있다.
  • 색인어
  • New Open Economy Macroeconomics, Structural VAR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