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20366&local_id=10020938
데이비드 하비의 '관계공간'과 성서 서사 해석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데이비드 하비의 & #39;관계공간& #39;과 성서 서사 해석 | 2009 년 | 안용성(장로회신학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254
선정년도 2009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1년 04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1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의 목적은 현대 지리학의 연구 성과들, 특히 데이비드 하비(David Harvey)의 공간이론을 성서 내러티브 해석에 적용하여 하나의 서사 해석 이론과 도구로 발전시키는 것이다. 르페브르(Henri Lefebvre) 이후 지리학의 비판적 공간 이론은 공간의 사회성과 관계성에 주목하여 오늘날 학계와 문화담론에서 일어나고 있는 ‘공간적 전환’을 다양한 방식으로 이론화 하는데, 하비는 그 흐름을 대표하는 학자들 중 하나이다. 하비의 ‘관계공간’은 다른 두 유형의 공간(‘절대공간’과 ‘상대공간’)과 구별되면서 이 둘을 포괄한다. 하비는 이 세 공간을 르페브르의 세 공간과 조합하여 공간의 격자를 구성하는데, 이는 서사문학의 이해를 위해 매우 유용한 관점을 제공한다. 하비의 공간 이론은 원래 오늘의 정치경제적 현실을 분석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따라서 그의 관점은 서사 텍스트뿐 아니라 해석자의 삶의 맥락을 이해하기에도 적절하다. 이 연구는 성서의 서사 본문들과 해석자의 맥락을 하비의 틀에 따라 분석하여 하나의 문화적 공간적 해석 이론으로 체계화하고, 사도행전 본문의 해석을 통해 그 관점과 방법의 유용성을 입증하고자 했다.

    사도행전은 누가복음과 동일 저자에 의해 기록되었기 때문에, 누가-행전으로 통합되어 다루어지곤 하는데, 두 책은 독특한 지리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다른 공관복음서들이 갈릴리와 예루살렘을 주된 공간적 배경으로 하는 반면, 누가복음은 전체 분량의 3분의 1이 넘는 내용을 예루살렘을 향한 여행사화(9:51-19:44)로 배치하여 두 공간 사이의 운동을 강조한다. 또 사도행전 전체의 요약문으로 간주되는 1장 8절은 예루살렘으로부터 온 유대와 사마리아를 거쳐 땅 끝까지 증인들이 퍼져 나가는 공간 운동을 보여주며, 실제 서술에서는 반복하여 예루살렘으로 돌아오는 나선형 발전 구조를 보여준다. 본 연구는 하비의 공간이론을 활용한 성서 서사 해석의 한 사례로서 누가-행전의 공간적 감수성을 읽어내었다.

    본 연구가 해석의 사례로 삼은 텍스트는 사도행전 3:1-4:31이다. 베드로와 요한이 성전 미문 앞의 지체장애인을 일으킨 후 벌어진 사건들을 기술하고 있는 이 본문은 성전(3:1-4:4)과 예루살렘 성(4:5-31)이라는 두 공간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흥미롭게도 그 공간 구조는 누가복음 수난서사의 그것과 같으나, 두 공간에 얽힌 힘의 관계는 같지 않다. 수난서사에서 성전은 예수가 우세한 시공간으로 그려지고 예루살렘 성은 ‘어둠의 권세’가 장악한 시공간으로 뚜렷이 대비되는 반면 사도행전에는 그 공간적 대조가 분명하지 않고 더 미묘하게 나타난다. 두 사도는 성전에서 산헤드린 권력과 대립하는데, 성전은 유대교 지배 권력의 본거지이자 오랜 유대교 전통의 기억이 집약되어 있는 공간이다. 반면에 예루살렘 성은 로마제국과 유대 권력의 협력을 상징하는 곳으로 나타난다(4:27-28). 그들은 여전히 예수의 제자들을 위협하지만(4:29) 그들을 제어할 정도로 강력하지는 않다. 사도행전 본문이 가진 이와 같이 미묘한 공간 구조는 더 세밀한 이론적 분석과 해석 도구를 요청한다. 이 연구는 ‘문화적-공간적’ 성서 서사 해석의 이론과 도구를 마련함으로써 그러한 요구에 답하려 노력했다.
  • 영문
  • This study explores the narrative construction of space in Luke-Acts, utilizing David Harvey’s notion of relational space and Henri Lefebvre’s analysis of the production of space. For Harvey, space does not exist outside the processes that define it. Thus, one cannot understand an event at a spatial point by observing only what exists at that point without taking into consideration other diverse influences through the past, present, and future. For Lefebvre, space is not a pre-established entity just outside of us but a social product. He attempts to analyze the actual production of space using triad moments of perceived spatial practice, conceived representation of space and lived representational space. Spatial practice includes "the production and reproduction and the particular locations and spatial ties characteristic of each social formation." Not only the spatial practice but also its symbolic representation serves to maintain the space. Along with the representation of space, which is the frontal expressions of the relations, Lefebvre calls attention to the "clandestine or underground side of social life," i.e., the representational space.

    After summarizing the theories of Harvey and of Lefebvre, I describe how their analysis of spatial production can help understanding Luke’s narrative construction of space. Through a textual analysis focused on Jerusalem in Luke-Acts in general, the spatial matrix of Luke is shown as regards its relational spatial practices, relational representation of space, and relational space of representation each posited in the narrative. And then, the textual analysis is narrowed down into Acts 3:1-4:31 to explore how Luke constructs the Temple and the city of Jerusalem as two spaces in contrast. On one hand, the Temple is constructed as a space favorable to Jesus through the connection with the Jewish collective memories. On the other, the city of Jerusalem is represented as hostile to Jesus, as the city in which Herod and Pontius Pilate, the imperial powers, collaborate with the Gentiles and the people of Israel to oppose Jesus (4:25-28). Through the double representation of Jerusalem, Luke presents an aspiration for an alternative world in a covert way, in Lefebvre’ terms, in a way of represtational spac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의 목적은 데이비드 하비(David Harvey)의 공간이론을 성서 내러티브 해석에 적용하여 하나의 서사 해석 이론과 도구로 발전시키는 것이다. 하비의 ‘관계공간,’ ‘절대공간,’ ‘상대공간’으로 구성되는 그의 공간 이론을 르페브르의 세 공간과 조합하여 공간의 격자를 구성하는데, 이는 서사문학의 이해를 위해 매우 유용한 관점을 제공한다. 이 연구는 성서의 서사 본문들과 해석자의 맥락을 하비의 틀에 따라 분석하여 하나의 문화적 공간적 해석 이론으로 체계화하고, 서사 본문의 사례로 선택한 사도행전 3-4장의 해석을 통해 그 관점과 방법의 유용성을 입증하고자 했다.

    이 연구는 먼저 기존 성서 해석에서 일어나고 있는 ‘문화적-공간적 전환’을 현상적으로 개괄하고 그 흐름을 지리학의 공간 이론을 통해 체계화하고 심화한다. 그 이론화의 방법으로, 르페브르와 소자의 공간이론과 그 이론을 활용한 성서 해석학의 선행 연구들을 심층적으로 분석한 후 이를 비판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한다. 데이비드 하비는 르페브르의 이론을 계승하며 발전시키고 있기 때문에, 성서 해석학의 선행 연구들을 심화시키는 데도 유용한 이론적 도구가 될 수 있으며, 또 서사 공간에 대한 분석과 해석자의 삶의 맥락에 대한 분석에 동시에 활용될 수 있다. 이 연구는 양자를 하비의 관점으로 분석하고 매개하여, 성서 본문이 오늘의 해석자와 소통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하며, 이를 구체적인 본문 해석의 사례를 통해 뒷받침하고자 했다.

    본 연구가 해석의 사례로 삼은 텍스트는 사도행전 3:1-4:31이다. 베드로와 요한이 성전 미문 앞의 지체장애인을 일으킨 후 벌어진 사건들을 기술하고 있는 이 본문은 성전(3:1-4:4)과 예루살렘 성(4:5-31)이라는 두 공간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흥미롭게도 그 공간 구조는 누가복음 수난서사의 그것과 같으나, 두 공간에 얽힌 힘의 관계는 같지 않다. 수난서사에서 성전은 예수가 우세한 시공간으로 그려지고 예루살렘 성은 ‘어둠의 권세’가 장악한 시공간으로 뚜렷이 대비되는 반면 사도행전에는 그 공간적 대조가 분명하지 않고 더 미묘하게 나타난다. 두 사도는 성전에서 산헤드린 권력과 대립하는데, 성전은 유대교 지배 권력의 본거지이자 오랜 유대교 전통의 기억이 집약되어 있는 공간이다. 반면에 예루살렘 성은 로마제국과 유대 권력의 협력을 상징하는 곳으로 나타난다(4:27-28). 그들은 여전히 예수의 제자들을 위협하지만(4:29) 그들을 제어할 정도로 강력하지는 않다. 사도행전 본문이 가진 이와 같이 미묘한 공간 구조는 더 세밀한 이론적 분석과 해석 도구를 요청한다. 이 연구는 ‘문화적-공간적’ 성서 서사 해석의 이론과 도구를 마련함으로써 그러한 요구에 답하려 노력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문헌 연구는 한 편으로 하비, 르페브르, 소자를 중심으로 한 지리학자(사회학자)들에 대한 연구와 다른 한 편으로 서사학을 성서학에 적용한 연구들에 대한 조사로 이루어졌고, 지리학의 공간이론을 성서 해석에 적용하기 위한 숙고와 이를 실제 본문 해석에 적용하는 순으로 진행되었다. 관련전문가들의 자문은 기독교윤리(기독교와 문화) 분야와 선교학 분야로 나누어, 문화연구와의 접목 가능성을 모색하고 선교학의 공간 이해를 성서 해석과 관련짓는 방향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영문으로 작성한 논문 "The Construction of Relational Space in Luke’s Narrative"는 2010년 세계성서학회(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의 발표논문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본 연구 결과 하비가 제시한 공간 이론의 격자, 특히 거기에 원용된 르페브르의 공간생산 이론이 서사 해석에 매우 유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르페브르는 그의 공간 이론을 문화 이론으로 발전시킨 소자와 함께 세계성서학회 "Space, Place, and Lived Experience in Antiquity" 프로젝트에 널리 활용되어 왔다. 이 섹션에 참가한 학자들은 주로 소자의 관점에서 르페브르가 제시하는 삼중공간 이론을 이용했다. 그러나 본 연구자는 르페브르의 이론이 소자에 의해 변용되는 가운데 르페브르의 기여라 할 수 있는 공간 ‘생산’의 측면이 오히려 약화되었음을 지적하고, 르페브르 이론의 그 측면, 즉 공간생산 분석이 서사해석에 적절히 활용될 수 있음을 드러내려 했다.
    하비의 공간 격자, 즉 관계공간 개념과 공간생산 분석의 조합은 성서 서사, 특히 누가-행전 연구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는 누가의 서사에 등장하는 공간들은 물리적 공간이나 상대적 공간 개념만으로는 충분히 이해할 수 없는 관계공간에 근접해있기 때문이다. ‘공간실천,’ ‘공간의 재현,’ ‘재현의 공간’ 등의 복합적 구조로 이루어지는 공간생산 이론은 누가 서사에 사용된 공간이 어떻게 구성되고 또 누가가 이러한 공간을 통해 어떻게 대안적 공간을 구성해내는지 분석해내는데 적절한 도구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사도행전 3-4장의 연구를 통해 그러한 분석도구의 유용성을 입증하려 했다.

    (1) 학문적 기여
    이 연구는 하비의 공간 이론을 통해 성서의 서사 공간에 대한 이해를 심화함으로써, 기독교 신학 내에서 성서의 서사비평 방법을 더 풍부하게 하고 정련할 뿐 아니라, 일반 문학 분야에서 서사학의 발전에도 기여할 것이다. 또 이 연구는 다양한 학제 간 연구를 촉진하는 효과를 가질 것인데, 지리학과 성서해석학의 연계를 자극할 뿐 아니라, 하비의 이론이 가지는 학제적 성격으로 인해 정치경제학과 철학의 연계에도 참조할 만한 점들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특히 이 연구가 주제로 삼은 ‘공간’은 오늘날 문화 담론을 이해하는 열쇠일 뿐 아니라, 여러 학문 분야에서 광범위한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는 일반적인 주제이기 때문에, 더 많은 후속 연구를 파생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2) 사회적 기여
    본 연구는 성서 해석이 가지는 사회 문화적 성격에 주목하여 교회의 성서 해석이 오늘의 현실과 소통하게 하게 함으로써 사회에 기여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기독교 신학은 초월 공간과 내세에 대한 이해를 발전시켜 왔는데, 이는 신앙의 정체성을 강화하는 긍정적 측면과 함께 교회와 세속 사회의 이분법을 강화하여 양자의 소통을 약화시켜온 부정적 측면도 포함한다. 이 연구는 새로운 공간 이해를 통해, 세상을 바라보는 교회의 관점을 새롭게 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또 탈현대적 문화 현상을 포스트포디즘과 신자유주의의 현실에 터하여 규명하는 하비의 관점은, 성서 해석자의 맥락에 대한 이해를 풍부하게 할 뿐 아니라, 21세기 한국 사회에 대한 진일보한 분석을 제공할 것이다.

    (3) 교육과의 연계 활용
    기독교 신학에서 이 연구의 주제는 성서학(성서지리, 서사비평, 성서해석학), 기독교와 문화(기독교 문화연구), 조직신학(해석학) 등의 분과들, 또는 두 세 분과의 연계 과목으로 개설될 수 있을 것이다. 공간 이론과 성서 해석이라는 전문 분야를 다루기 때문에 대학부보다는 대학원 학생들에게 더 적절하며, 지리학, 정치경제학, 문화연구, 성서해석학, 서사비평, 포스트모더니즘 등 관련 분야의 학습을 포함하는 학제 간 연구 과정으로 개설하여 다양한 관심을 가진 학생들의 토론을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공간, 공간이론, 공간 구성, 장소, 해석, 해석학, 성서, 문화, 문화적 전환, 공간적 전환, 르페브르, 소자, 하비, 매시, 지리, 지리학, 비판지리학, 문화지리학, 절대공간, 상대공간, 관계공간, 서사학, 서사비평, 서사, 내러티브, 누가복음, 사도행전, 누가행전, 등장인물, 사건, 배경, 지리학, 고고학, 지도, 포스트모더니즘, 탈현대, 탈구조주의, 텍스트, 독자, 문화연구, 탈식민주의, 포스트콜로니얼리즘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