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1508&local_id=10086939
학령 초기 아동의 자아강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학령 초기 아동의 자아강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세영(화성의과학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20313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10월 2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초등학교 1-3학년 아동의 자아강도를 측정하여 연구 및 임상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객관화된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유능성, 주도성, 탄력성, 사회성의 4개요인 24문항으로 척도가 구성되었다. 둘째, 타당도 검증 과정을 통해 높은 타당성이 입증되었다. 또한 신뢰도 검증 결과 신뢰할 수 있는 측정도구임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학령 초기 아동의 자아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객관화된 도구를 찾아보기 힘든 실정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향후 자아강도와 관련된 폭넓은 연구가 이루어지도록 토대를 마련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objective Ego Strength Scale for early school-age children useful in research and clinical fields for measuring the ego strength of 1rd-3th grade children and to test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study concluded the following: First, the scale was designed to measure 4 factors: competence, initiative, elasticity, and sociability using 24 questions. Second, the Ego Strength Scale for early school-age children was found to be highly valid through validity tests. In addition, it showed high reliability in an internal consistency test. As this study developed and validated the Ego Strength Scale for early school-age children in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there are few objective instruments to measure early school-age children’s ego strength, it is meaningful in that it laid the basis for broader future research on ego strength.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초등학교 1-3학년 아동의 자아강도를 측정하는 객관화된 부모보고용 척도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 관련 증거의 제시 과정을 통해 척도의 타당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초등학교 3-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개발되어 타당성과 유용성을 담보하는 EST-C와 연계되도록 하는 가운데 측정대상의 발달적 특성을 반영한 부모 보고형 척도를 개발함으로써, 향후 자아강도 관련 연구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사전조사와 예비조사를 거쳐 100개의 초기문항을 구성하였으며, 초등학교 1-3학년 자녀를 둔 부모 857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 AMOS 23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척도 개발 및 타당화의 단계적 분석과정을 고려하여 수집된 자료를 표본분할법으로 추정집단(436명)과 타당화집단(421명)으로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유능성, 주도성, 탄력성, 사회성의 4개요인 24문항으로 척도가 구성되었다. 둘째, 4요인이 유기적인 관계를 이루어 자아강도라는 하나의 개념을 설명하는 위계적 구조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측정모형의 적합성 및 수렴-변별 타당도를 입증하였다. 넷째, 공인타당도 검증 과정을 통해 척도가 자아강도를 타당하게 측정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척도의 신뢰도는 적절한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학령 초기 아동의 자아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객관화된 도구를 찾아보기 힘든 실정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향후 자아강도와 관련된 폭넓은 연구가 이루어지도록 토대를 마련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EST-C와 동일하게 유능성, 주도성, 탄력성, 사회성의 4개요인 24문항으로 척도가 구성되었다. 둘째, 4요인이 유기적인 관계를 이루어 자아강도라는 하나의 개념을 설명하는 위계적 구조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추정집단이 아닌 타당화집단의 자료를 통해 측정모형의 적합성 및 수렴-변별 타당도를 입증하였다. 넷째, EST-C 및 PAQ의 자아강도 측정문항, 자아강도와 유사한 개념인 자아개념, 자아탄력성을 준거로 한 공인타당도 검증 과정을 통해 척도가 자아강도를 타당하게 측정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추정집단과 타당화집단에서의 신뢰도는 모두 적절한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의 활용방안은 첫째, 아동의 건강한 성장․발달을 추구하는 학교, 상담센터, 아동복지시설 등 아동의 자아강도와 관련된 교육, 상담, 복지 분야의 실천현장에서 사용될 수 있다. 둘째, 특히 임상 현장에서는 학령 초기 아동 개개인의 심리적 특성 및 자아발달 양상에 대한 정보를 명료하게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바, 아동을 위한 사정 및 심리적 지원과 개입방안 모색, 사후 평가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셋째, EST-C와 연계된 척도로 개발된 만큼, 이를 활용하여 자아강도의 발달양상에 대한 종단연구를 진행하거나, 보다 폭넓은 연령대를 동시적으로 연구할 수 있다. 넷째, 향후 관련 연구의 질적 발전 및 양적 활성화를 견인한다. 다섯째, 또한 본 연구에서 개념화한 학령 초기 아동의 자아강도 구인 및 행동특성에 대한 정보는 아동의 자아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을 구축하는데 이론적 토대가 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색인어
  • 자아강도 척도, 학령 초기 아동, 신뢰도, 타당도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