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71558&local_id=10086893
도시공간을 고려한 주택하위시장의 구조화에 관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도시공간을 고려한 주택하위시장의 구조화에 관한 연구 | 2016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오윤경(국립부경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2016S1A5B5A01023252
선정년도 2016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17년 07월 24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1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1980년대 이후 도시주거문화를 대표해온 아파트 중심의 획일화된 공동주택의 공급은 주택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지만, 인구성장의 둔화, 저성장시대의 도래로 수요확대기에 적합하였던 민간 중심의 양적인 주택 공급은 문제인식과 함께 한계에 도달하고 있다. 또한 최근 도시계획 및 주거정책은 신도시 개발로 인한 대규모 주택 공급보다는 기존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핵심으로 주택시장의 현안을 진단하고 정책효과를 예측하는 방향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어 지역별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택시장의 안정을 도모할 수 있는 합리적인 정책결정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접근방법으로 주택하위시장의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고 맞춤형 정책적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부산 및 대구의 주택시장이 하나의 거대한 시장이 아닌 6개의 주택하위시장으로 분할되어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미시적인 공간 단위인 읍면동을 기본단위로 한 주택시장에 영향을 주는 수요 및 공급측면의 다양한 요인을 기준으로 하위시장의 특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 영문
  • The real estate market is formed by regional or local communities, each of local market is to look for regional differences even in the real estate market indicators such as price. In addition, due to the nature of the real estate market, real estate heterogeneous characteristics ar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region, income, property type, such as layered demand, thus differentiating the real estate market is difficult to organize have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housing market has been limited to a certain spatial region segmentation is happening in this part of the market by the mismatch of supply and demand imbalance occurs due. Therefore, by analyzing the local region formed for housing markets and market conditions may be desirable to derive the policy options accordingly.
    This paper seeks to let the statistical data for administrative units of Busan and Daegu define housing market segments by multivariate analysis. First, factor analysis is used to extract a set of factors based on the statistical similarity, Second, factor scores are calculated and cluster analysis is used to determine the composition of housing submarkets.
    From this study, the housing market in Busan and Daegu is confirmed that working is divided into a huge market rather than the six housing submarkets, and through a variety of factors that affect the supply and demand sides of the housing market can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rke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1980년대 이후 도시주거문화를 대표해온 아파트 중심의 획일화된 공동주택의 공급은 주택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지만, 인구성장의 둔화, 저성장시대의 도래로 수요확대기에 적합하였던 민간 중심의 양적인 주택 공급은 문제인식과 함께 한계에 도달하고 있다. 또한 최근 도시계획 및 주거정책은 신도시 개발로 인한 대규모 주택 공급보다는 기존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핵심으로 주택시장의 현안을 진단하고 정책효과를 예측하는 방향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어 지역별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택시장의 안정을 도모할 수 있는 합리적인 정책결정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접근방법으로 주택하위시장의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고 맞춤형 정책적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부산과 대구 등의 대도시는 해방이후 급속한 인구성장과 함께 산업화와 도시화의 과정이 진행되면서 체계적인 도시계획이 뒷받침되기에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였다. 인구의 집중과 함께 다양한 경제활동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진 대도시로 공간적 확산 과정을 거치면서 인구의 이동, 인구구조의 변화, 산업구조의 변화, 주택시장의 다변화 등으로 분화되어 국지적 차별화 현상이 동반되고 있다. 따라서 도시화의 시간 및 공간적 의미와 함께 인구 및 주택의 특성, 경제·사회·문화적 현상들이 축적되어 세분화되고 있는 주택시장에 대한 변화양상을 진단하고 합리적인 관리정책을 제시할 수 있는 다차원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시·공간적으로 투영된 도시화의 변화과정 속에서 발달되어온 주택시장에 대한 이해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위시장별로 세분화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주택시장의 가장 미시적인 공간단위인 행정동을 기준으로 인구특성, 가구특성, 주택 및 주택시장 특성, 입지특성 등을 대변하는 주거환경지표를 구축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바탕으로 주택하위시장을 식별하고, 차별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부산 및 대구의 주택시장이 하나의 거대한 시장이 아닌 6개의 주택하위시장으로 분할되어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미시적인 공간 단위인 읍면동을 기본단위로 한 주택시장에 영향을 주는 수요 및 공급측면의 다양한 요인을 기준으로 하위시장의 특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국지적인 요인을 고려한 도시계획, 도시개발, 도시재생 및 정비, 주택공급 등 복잡한 도시공간구조를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가 되어 주택시장의 구조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에 대한 중요한 정책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급속한 도시화의 진행에 따라 인구와 경제의 집중화를 수용할 수밖에 없었던 대도시에서는 노후주거지, 도심쇠퇴, 교외확산, 고층고밀 주거지 등 공통적인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도시공간구조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향후 대응방안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에서는 부산 및 대구와 같은 대도시의 주택시장은 하나의 거대한 시장이 아닌 개별 특성을 가진 여러 개의 주택하위시장으로 분화되어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미시적인 공간 단위인 읍면동을 기본단위로 한 주택시장에 영향을 주는 수요 및 공급측면의 다양한 요인을 기준으로 하위시장의 특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국지적인 요인을 고려한 도시계획, 도시개발, 도시재생 및 정비, 주택공급 등 복잡한 도시공간구조를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가 되어 주택시장의 구조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에 대한 중요한 정책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급속한 도시화의 진행에 따라 인구와 경제의 집중화를 수용할 수밖에 없었던 대도시에서는 노후주거지, 도심쇠퇴, 교외확산, 고층고밀 주거지 등 공통적인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도시공간구조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향후 대응방안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공간적 군집을 갖는 하위시장의 형성에 대한 공간단위를 가장 미시적인 행정동 단위로 국지적 특성을 분석하여 주택시장의 구조 이해를 위한 다양한 함의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택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형화됨에 따라 하위시장별로 일정한 설명변수의 구성으로 모형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대도시를 중심으로 주택시장을 구조화하고 공통적인 특성을 갖고 있는 하위시장을 진단하고 상호 연계하여 전략적인 방안을 도출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로 많이 적용되고 있는 서울 이외에 대도시가 형성된 인천, 대전, 대구, 광주, 울산 등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 대한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주택시장의 구조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에 대한 중요한 정책 자료로 확장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색인어
  • 주택하위시장, 도시 공간, 세분화, 주거환경, 주택 정책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