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논문 상세정보

논문 상세정보

高麗時代의 瓷器所와 그 展開
이 논문은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고려시대 磁器所의 구조와 전개 | 2003 년 선도연구자지원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희관(한국고대사학회)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2년 이내에 최종연구결과물로 학술논문 또는 저역서를 해당 사업 신청요강에서 요구하는 수량 이상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최종연구결과물 제출 조건이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저널명 사학연구 - 등재후보
발행정보 2003년 12월 16일 / Vol.0 No.77 / pp. 162 ~ 203
발행처/학회 한국사학회
저자수 1
초록
  • 국문
  • 瓷器所의 성격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는, 그것의 지방통치제제상의 성격에 대해서는 크게 두 가지 견해가 있다. 그 하나는 瓷器所를 포함한 所들이 일반 郡縣과는 별도의 특수한 행정구역으로서, 통치체제상 中央官司과 직접 연결되어 있었다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그것들이 일반 군현의 촌락에 설치되어 기본적으로 중앙이 아닌 군현의 지배 아래에 있었다는 것이다. 그런데 관계사료와 근거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결과 前者가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근래 瓷器所를 포함한 所에는 그 지배기구인 所司와 所吏들이 존재하지 않았다는 견해가 유력?옜構#?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靑磁象嵌菊牡丹文⌈辛丑⌋銘벼루의 銘文 등을 통하여 볼 때, 瓷器所에 所司와 所吏가 있었음은 의문의 여지가 없다. 그 所司의 구조는 일반 군현의 그것과 마찬가지로 所長과 副所長, 그리고 司戶․司兵․司倉계열로 이루어져 있었다. 대표적인 瓷器所인 大口所의 경우는 徐氏가 所吏의 職任을 역임하면서 所司를 장악하였다. 고려의 瓷器所의 운용은 초기에는 다수의 瓷器所로 출발하였으나 국가의 의도에 따라 점차 大口所를 제외한 瓷器所들에서 청자의 생산․공납이 중단되면서 대구소 중심의 운용체제로 귀결되었다. 청자의 생산․공납이 중단된 瓷器所들은 사실상 瓷器所의 기능을 상실했음에도 불구하고, 所體制를 유지하면서 국가에 三稅를 납부하였다.
    Two opinions exist regarding the characteristic of local governance system of Jagiso which is deeply concerned with proving its uniqueness. One opinion is that So including Jagiso was directly connected with the central authorities in terms of governance system as a separate administrative district from general Gunhyeon(郡縣), and the other opinion is that it was set up in the villages(村) of general Gunhyeon and thus, under the control of not the central authorities but Gunhyeon.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literatures and evidences in a critical manner, however, the former is deemed to be proper. Recently, an opinion is strongly rising that the headquarter of So(所) and the hereditary functionaries of So did not exist in So including Jagiso(瓷器所). However, seen from the inscription of Celadon Inkstone with 「Sinchuk(辛丑)」 inscription, there is no room for doubt that they existed in Jagiso. The headquarter of So consisted of the head and the vice head in the hereditary functionaries, Saho(司戶), Sabyeong(司兵) and Sachang(司倉) in order like general Gunhyeon. For Daeguso(大口所), a representative Jagiso, the members with family name Seo(徐) dominated the headquarter of So, successively holding official duties of the hereditary functionaries of So. In the Goryeo Dynasty, Jagiso had been run in multiple numbers at the early stage, while it had increasingly turned to Daeguso as the production and tribute payment of celadons were discontinued in Jagiso except Daeguso according to the government's intention at the later stage. Such Jagiso maintained the system of So and paid the three kinds of taxes(三稅) to the government even if they lost the function as Jagiso.
  • 이 논문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를 로딩 중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