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논문 상세정보

논문 상세정보

토미즘과 비교를 통해서 본 혜강 최한기 인식론의 특징
이 논문은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조선 후기 사상사에 나타난 서양의 고중세 철학과 유교의 융합에 관한 연구 | 2003 년 학술연구교수지원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안영상(안동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2년 이내에 최종연구결과물로 학술논문 또는 저역서를 해당 사업 신청요강에서 요구하는 수량 이상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최종연구결과물 제출 조건이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저널명 동양철학연구 - 등재 (ISSN : 1229-5965) 외부링크
발행정보 2007년 03월 01일 / Vol.49 No.0 / pp. 7 ~ 44
발행처/학회 동양철학연구회
주저자 안영상
저자수 1
초록
  • 국문
  • 이 글의 목적은 혜강 최한기의 인식론를 천주교 토미즘에 근거한 선교사들의 인식론과 비교해 어떤 부분이 수용되고 어떤 부분이 비판되었는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최한기 인식론의 특징이 무엇인가를 밝히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논자는 첫째, 종교적 관점에서 소개된 영혼과 의학적 관점에서 소개된 프뉴마를 분석하고, 그것을 다시 최한기의 신기와 비교하여 인식의 주체 문제를 살펴보았다. 둘째, 이러한 인식의 주체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인식이 출발하게 되는가를 살펴보았다. 선교사들은 인식이 눈, 귀, 코, 입, 몸이라는 신체기관을 통하여 감각함으로 시작된다고 하면서, 감각 이전의 상태를 백지상태에 비유하였다. 최한기 역시 제규(諸窺)라는 감각 기관이 외부 사물과 접촉함으로써(諸觸) 인식이 출발한다고 보았고, 인식 이전을 백지 상태처럼 묘사하였다. 즉 최한기와 선교사들 모두 인식 대상이 외부에 객관적으로 존재하고 경험을 통하여 인식된다는 실재론적 경험론을 주장하였다는 데서 그 유사성을 찾아볼 수 있다. 셋째, 인식 주체에 수용된 감각이 어떤 방식으로 개념화되는가? 라는 문제를 살펴보았다. 토미즘에서는 이 개념화가 비물질적인 영혼의 지성 부분에서 성립한다고 보았고, 최한기는 신기의 용(用)인 추측에서 성립한다고 보았다. 그런데 선교사들은 지성이 비물질적이기 때문에 추론에 의하여 신의 존재를 알 수 있고, 또 신의 심판이 대상이 되는 영혼이 불멸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최한기는 인식 주체를 신기로 봄으로 그들을 비판하게 된다. 논자는 이러한 세 가지 측면에서 최한기의 인식론을 토미즘과 비교하면서 최한기 인식론을 특징을 밝혀 보았다.
  • 이 논문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를 로딩 중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