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현대중국어 유의어의 의미 특징과 유형학적 분석 - ‘和’, ‘跟’, ‘同’, ‘與’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emantic features of the synonyms in modern Chinese and its typological analysis - focused on ‘和’, ‘跟’, ‘同’, ‘與’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박사후국내연수)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7S1A5B5A01026666
선정년도 2017 년
연구기간 1 년 (2017년 07월 01일 ~ 2018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김승현
연구수행기관 인하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수는 현대중국어 유의어의 의미 특징 분석과 언어유형학적 연구를 목표로 한다. 제2외국어를 배우는 중국어학습자는 중국어 유의어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종종 어려움을 많이 느끼며 오류를 범한다. 현대중국어 ‘和, 跟, 同, 與’는 한국어로 모두 ‘-와(과)’ 혹은 ‘-고’로 번역되는 유의어로서 등위전치사 또는 접속사로 기능한다. 이에 중국어학습자는 이들 유의어 발화와 사용에 있어 어려움을 느끼며 교수자 역시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이다. 그러나 선행연구를 찾아보면 이 네 가지 유의어에 대한 기능 차이 분석과 언어유형학적 연구는 부분적인 연구에만 그쳐 아쉬운 부분이 많다. 본 연수에서는 네 가지 유의어에 대한 의미기능 분석을 통해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연구할 것이며, 언어유형학적 각도에서 한국어 ‘-와(과)’, ‘-고’, 영어 ‘and’, ‘with’와의 차이점을 분석하여 제2외국어를 배우는 중국어학습자 교육에 기여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수의 연구 결과는 다음 네 가지 방면에서 기대효과를 예상할 수 있다.
    첫째, 개인적인 연구의 역량 증대와 질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수 신청자는 박사 논문을 쓰면서 ‘一起’, ‘一塊’ 등의 부사적 용법과 명사적 용법에서 종종 결합하는 등위전치사에 대해 함께 연구하고자 하였지만 시간적, 양적 한계로 다루지 못하였다. 이에 박사 논문에서 다루지 못하였던 등위전치사의 의미기능 분석과 범언어학적인 연구를 통해 본 연수 신청자 개인 연구에 대한 질적 향상과 역량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둘째, 학술적인 기여를 기대할 수 있다. 현대중국어 ‘和, 跟, 同, 與’는 등위전치사이기도 하지만 접속사로도 사용되며, 특히 ‘跟’은 명사, 동사로도 사용되는 다기능어이다. 지금까지 이 4가지 유의어대한 학계의 연구는 통사·의미적 측면에서 주로 다루어졌다. 본 연수는 기존의 연구보다 더 나아가 이들 유의어에 대해 말뭉치 분석 방법을 통해 의미 기능 차이와 문어와 구어의 색채 차이, 통시적·공시적 차이를 연구하고, 범언어학적 관점에서의 비교연구를 함께 진행하여 ‘和, 跟, 同, 與’에 대한 연구에 깊이를 더하고자 한다.
    셋째, 학제 간 연구 교류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단지 중국어 어법학 분야뿐만 아니라 개별언어로서의 한국어, 영어 등의 학제 간 연구 교류의 활성화에도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세계의 다른 언어권 연구자들에게도 유형학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넷째, 중국어 교육 연구에서의 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어 전치사와 접속사의 유의어 교육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아울러 한국어와 영어의 대응 언어와의 차이점을 함께 연구한다는 점에서 한국인 중국어학습자가 중국어전치사와 접속사를 학습할 때 중국어만의 특성을 파악하고 다른 언어와의 비교를 통해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본 연수는 현대중국어 유의어 ‘和, 跟, 同, 與’를 대상으로 의미 특징 차이를 분석하고 언어유형학적인 접근을 통하여 중국어에 대응하는 한국어와 영어를 비교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수는 다음 네 단계로 나누어 진행할 것이다.
    1단계로는 중국어 말뭉치를 통해 등위전치사와 접속사 ‘和, 跟, 同, 與’의 쓰임을 살펴보고 통사·의미적으로 분석하여 네 가지 유의어에 대한 어법특징을 알아보는 기초 조사를 진행할 것이다.
    2단계로는 구어에서 많이 사용하는 ‘和’, ‘跟’과 문어에서 사용하는 ‘同, 與’의 색채 특징을 함께 조사하고 분석해볼 것이다.
    3단계로는 앞서 1, 2단계 분석을 기초로 유형학적인 관점에서 4가지 유의어에 대한 의미지도를 그려볼 것이다.
    4단계로는 중국어 ‘和, 跟, 同, 與’에 대응하는 한국어 ‘-와(과)’, ‘-고’, 영어의 ‘and’, ‘with’의 의미지도를 함께 그려보고 이를 비교 분석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세 언어의 등위전치사와 접속사에 대해 공통점과 차이점을 범언어학적 시각에서 살펴볼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아울러 분석 결과를 중국어 교육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교육적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기초 자료 조사를 위해 말뭉치는 북경어언대학교의 BCC와 북경대학교의 CCL말뭉치를 사용할 것이며 유형학적 분석을 위해 유형론의 의미지도모형(semantic map model)을 활용하겠다. 본 연구와 관련된 구체적인 논문의 구조는 다음과 같이 설계할 수 있다.

    1. 머리말
    2. 선행연구
    2.1 이론적 배경
    2.2 연구범위와 방법
    3. 말뭉치 분석을 통한 유의어의 의미 특징 분석
    3.1. ‘和, 跟, 同, 與’의 통사·의미 특징
    3.2 구어와 문어의 차이 비교
    4. 중국어 ‘和, 跟, 同, 與’의 의미지도 모형
    4.1 ‘和’와 ‘跟’의 의미지도
    4.2 ‘同’과 ‘與’의 의미지도
    5. 한국어와 영어의 의미지도 모형 비교
    5.1 한국어 ‘-와(과)’, ‘-고’와의 비교
    5.2 영어 ‘and’, ‘with’와의 비교
    6. 교육적 제언
    7. 맺음말
    참고문헌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수는 현대중국어 유의어 ‘和, 跟, 同, 與’의 의미 특징 분석과 유형학적 연구를 목표로 한다. 현대중국어 ‘和, 跟, 同, 與’는 한국어로 ‘-와(과)’ 등으로 번역되는 유의어로서 등위전치사 또는 접속사로 기능한다. 이처럼 ‘다기능 문법형식(multifuntional grams)’으로 사용되는 ‘和, 跟, 同, 與’의 기능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한다면 중국어학습자는 유의어 ‘和, 跟, 同, 與’의 사용에 있어서 오류를 범할 수 있다. 본 연수에서는 네 가지 유의어에 대한 의미기능, 통사 분석을 통해 ‘和, 跟, 同, 與’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연구하고, 의미지도모형을 활용하여 이를 유형학적 각도에서 분석하였다. 아울러 한국어 ‘-와(과)’ 등 다른 언어와의 비교를 통해 중국어 和, 跟, 同, 與’가 가지는 특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말뭉치와 사전 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표준중국어의 개사 ‘和, 跟, 同, 與’는 ‘수반’, ‘협동’, ‘동작 대상의 유도’, ‘관련’, ‘비교’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한편, ‘跟’은 ‘유생 출처’의 의미도 가지고 있어서 다른 유의어들과 차이를 보였다.
    둘째, 접속사의 의미기능 분석 결과, ‘和’와 ‘與’는 병렬관계에서 두 항의 명사 병렬, 다중 명사 병렬, 동사/형용사 병렬의 기능을 가지고 있었고, 선택관계도 함께 나타낼 수 있었다. 그러나 ‘跟’, ‘同’은 ‘和’와 ‘與’보다 의미 기능이 제한적이었으며 주로 두 항 명사 병렬을 나타내었다.
    셋째, 본 연수에서는 선행이론과 ‘和’, ‘跟’, ‘同’, ‘與’의 의미특징 분석을 토대로 의미지도모형을 활용하여 표준중국어 ‘和’, ‘跟’, ‘同’, ‘與’의 개념공간을 설정하고 의미지도를 그렸다.
    넷째, 중국어와 대응되는 한국어 ‘와(과)’의 의미 특징을 살펴보고 ‘和’, ‘跟’, ‘同’, ‘與’와 비교하였다. 한국어는 교착어로, 체언이 문장 가운데서 일정한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체언 뒤에 조사가 붙어야 한다. 본 연수에서는 한국어 ‘와(과)’의 격조사와 접속조사로의 다양한 사용과 의미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중국어의 특징과 비교하였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a typological research and semantic analysis of synonyms ‘和, 跟, 同, 與’ in modern Chinese. The ‘和, 跟, 同, 與’ characters in modern Chinese are synonyms equivalent to ‘-와(과)’ in Korean (‘and’ in English), and they function as a coordinate preposition or conjunction. A learner of the Chinese language must accurately grasp the functions of ‘和, 跟, 同, 與’ which are used as ‘multifunctional grams’ because they are likely to make mistakes in using the synonyms ‘和, 跟, 同, 與.’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four synonyms ‘和, 跟, 同, 與’ through semantic function and syntax analyses. It also analyzed thes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from a typological dimension by using the semantic mapping model. In addition, it investigated the features of ‘和, 跟, 同, 與’ in Chinese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with other languages such as ‘-와(과)’ in Korean. The results of th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和, 跟, 同, 與’ in Standard Chinese (Mandarin) had the meanings of ‘accompany,’ ‘cooperate,’ ‘leading the object of action,’ ‘related,’ and ‘compare’ from the results of corpus and dictionary. At the same time, ‘跟’ also had the meaning of ‘root,’ which was different than other synonyms.
    Second, the results of semantic function analysis of conjunction showed that in a parallel relationship, ‘和’ and ‘與’ had the functions of noun parataxis of two sections, multiple noun parataxis, and noun/adjective parataxis, and they indicated the selective relationship. However, ‘跟’ and ‘同’ were more limited in their semantic functions and indicated two section noun parataxis.
    Third, based on the existing theories and the semantic feature analysis of ‘和’, ‘跟’, ‘同’, and ‘與’, the present study used the semantic mapping model to establish the conceptual space of ‘和’, ‘跟’, ‘同’, and ‘與’ in Standard Chinese and illustrated the semantic map.
    Fourth,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semantic features of ‘와(과)’ in Korean and compared with ‘和’, ‘跟’, ‘同’, and ‘與’. Korean is an agglutinative language, meaning that postposition particles need to be attached to substantives to indicate a certain grammatical relation when substantives appear in the middle of a sentence.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various usages and semantic features of ‘와(과)’ as a case particle and connective particle in Korean and compared them to the features in Chines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수에서는 현대중국어 유의어 ‘和, 跟, 同, 與’를 대상으로 그 의미특징을 분석하고 의미지도모형을 활용하여 중국어의 유형학적인 특징을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대중국어에서 ‘和, 跟, 同, 與’는 중국어 전치사이자 접속사로도 사용하는 다기능어이다. 특히 ‘和, 跟’은 고등학교 중국어1 교과서에도 출현하는 기초적인 어휘이자 ≪漢語水平等級標準與語法等級大綱≫의 甲급 어법대강으로 지정된 기본적인 어법요목이기도 하다. 그러나 제2외국어를 배우는 중국어학습자는 중국어 유의어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종종 어려움을 많이 느끼며 오류를 범하기도 한다. ‘和, 跟, 同, 與’와 같은 경우 일반적으로 한국어 ‘-와(과)’로 번역되는 유의어로서 중국어학습자는 ‘和, 跟, 同, 與’를 모두 같은 의미와 기능으로 받아들여 네 유의어를 혼용하여 잘못 사용하기도 한다. 현대중국어 ‘和, 跟’을 예로 들면, 이들이 혼용할 수 있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다. 다음 예문을 보자.
    (1) 我跟他一起住在這裏。
    → 我和他一起住在這裏。
    (나와 그는 여기에 함께 산다.)
    (2) 家裏有爸爸、媽媽、弟弟和我。
    → ? 家裏有爸爸、媽媽、弟弟跟我。
    (집에 아빠, 엄마, 동생과 내가 있다.)
    (3) 無論你有什麼意見和想法盡管提出來,咱們別藏著掖著,我們是支持你的。
    → * 無論你有什麼意見跟想法盡管提出來,咱們別藏著掖著,我們是支持你的。
    (당신이 어떤 의견이나 생각이 있다면 최대한 말하세요. 우리 숨기거나 감주지 맙시다. 우리는 당신을 지지합니다.)
    위의 예문 (1)에서 ‘和, 跟’은 같은 의미와 기능으로 사용되었지만 예문 (2), (3)에서 ‘跟’을 사용하면 그 의미가 완전히 같지 않다. 즉, 예문 (2)에서 ‘和’를 사용하면 ‘아빠, 엄마, 남동생’과 ‘나’의 층차를 말할 수 있지만 ‘跟’을 사용하면 ‘남동생과 나’의 병렬관계를 나타내기 때문에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예문 (3)에서는 접속사 ‘和’를 사용하여 선택관계를 나타낼 수 있지만 ‘跟’은 그런 기능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처럼 중국어학습자는 이들 유의어 발화와 사용에 있어 어려움을 느낄 수 있으며 교수자 역시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이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 성과를 찾아보면 네 유의어에 대한 비교연구와 언어유형학적인 연구는 아직 미비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본고가 분석하고자하는 네 유의어와 한국어 및 영어와 같은 다른 언어와의 비교를 통한 언어유형학적 접근에서는 아직 연구 성과가 많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 연수에서는 유형론 연구에서 ‘다기능 문법형식(multifuntional grams)’ 분석을 위해 사용하는 의미지도모형(semantic map model)을 활용하여 중국어 ‘和, 跟, 同, 與’의 개념공간과 의미지도를 구현하여 네 유의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 대응되는 한국어 ‘-와(과)’ 및 다른 언어와의 비교를 통해 중국어의 유형학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수에서는 현대중국어 ‘和’, ‘跟’, ‘同’, ‘與’에 대한 언어유형학적 접근을 위해 말뭉치와 사전을 활용하여 의미를 분석하였고, 분석한 의미 분류를 참고하여 의미지도모형을 활용하여 네 유의어에 대한 개념공간과 의미지도를 구현하였다. 또한 한국어 등 다른 언어와의 비교를 진행하여 중국어의 유형학적 특징을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말뭉치와 사전 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표준중국어의 개사 ‘和, 跟, 同, 與’는 ‘수반’, ‘협동’, ‘동작 대상의 유도’, ‘관련’, ‘비교’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한편, ‘跟’은 ‘유생 출처’의 의미도 가지고 있어서 다른 유의어들과 차이를 보였다.
    둘째, 접속사의 의미기능 분석 결과, ‘和’와 ‘與’는 병렬관계에서 두 항의 명사 병렬, 다중 명사 병렬, 동사/형용사 병렬의 기능을 가지고 있었고, 선택관계도 함께 나타낼 수 있었다. 그러나 ‘跟’, ‘同’은 ‘和’와 ‘與’보다 의미 기능이 제한적이었으며 주로 두 항 명사 병렬을 나타내었다.
    셋째, 본 연수에서는 선행이론과 ‘和’, ‘跟’, ‘同’, ‘與’의 의미특징 분석을 토대로 의미지도모형을 활용하여 표준중국어 ‘和’, ‘跟’, ‘同’, ‘與’의 개념공간을 설정하고 의미지도를 그렸다.
    넷째, 중국어와 대응되는 한국어 ‘와(과)’의 의미 특징을 살펴보고 ‘和’, ‘跟’, ‘同’, ‘與’와 비교하였다. 한국어는 교착어로, 체언이 문장 가운데서 일정한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체언 뒤에 조사가 붙어야 한다. 본 연수에서는 한국어 ‘와(과)’의 격조사와 접속조사로의 다양한 사용과 의미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중국어의 특징과 비교하였다.
    다음은 본 연구결과의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이다.
    가. 기대효과
    첫째, 본 연수자의 개인적인 연구의 역량 증대와 질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본 연수 신청자는 박사 논문을 집필하면서 ‘一起’, ‘一塊’ 등의 부사 용법과 명사 용법에서 함께 결합하는 등위전치사 및 접속사 ‘和’, ‘跟’, ‘同’, ‘與’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지만 시간적, 양적 한계로 다루지 못하였다. 본 연수에서는 박사 논문에서 다루지 못하였던 네 유의어의 의미 기능 분석과 범언어학적인 연구를 통해 본 연수 신청자 개인 연구에 대한 질적 향상과 역량 증대를 기대해볼 수 있다.
    둘째, 본 연수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학술적인 기여를 기대할 수 있다. 현대중국어 ‘和, 跟, 同, 與’는 등위전치사로도 사용되지만 접속사로도 사용되는 다기능어이다. 지금까지 이 네 유의어대한 학계의 연구는 통사·의미적 측면에서 주로 다루어졌고 전면적인 연구 및 유형학적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수는 기존의 연구보다 더 나아가 이들 유의어를 대상으로 중국어 말뭉치를 활용하여 통사·의미 기능 차이와 문어와 구어 색채의 차이, 통시적·공시적 차이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언어유형학적 관점에서 다른 언어와의 비교연구를 진행하여 ‘和, 跟, 同, 與’에 대한 연구에 깊이를 더하고자 하였다.
    셋째, 본 연수 결과는 학제 간 연구 교류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어 어법학 분야뿐만 아니라 개별언어로서의 한국어, 영어 등의 학제 간 연구 교류의 활성화에도 기대할 수 있다. 본 연수자는 연구의 중간 결과를 국내학술대회와 국제학술대회에서 함께 발표하여 세계 각지의 언어학자들과 함께 교류하고 논의하여 연구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 외에도 연구결과는 다른 언어권 연구자들에게도 유형학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나. 활용방안
    첫째, 중국어 교육 연구에서의 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어 전치사와 접속사 교육, 유의어 교육 측면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둘째, 중국어학습자와 교수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연구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한국인 중국어학습자에게 중국어 유의어에 대한 부분은 학습의 난점으로 작용한다. 특히 전치사와 접속사의 기능을 모두 갖춘 ‘和, 跟, 同, 與’의 학습은 초급중국어학습자 뿐 아니라 고급중국어학습자 역시 어려움을 느끼는 어법항목이다. 또한 교수자 역시 유의어이자 다기능어인 ‘和, 跟, 同, 與’에 대해 어떻게 교수해야 할지 항상 고민하는 부분이기도 한다. 그러므로 본고의 연구결과는 단계별 중국어학습자가 ‘和, 跟, 同, 與’를 학습할 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고, 교수자의 교수 연구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셋째, 언어유형학적 접근을 통한 한국어와의 비교 연구는 중국어교육뿐 아니라 한국어, 다른 기타 언어 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색인어
  • 유의어, 전치사, 접속사, 언어유형학, 말뭉치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