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현대 중국의 문언문 운동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선도연구자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0-041-A00180
선정년도 2000 년
연구기간 1 년 (2000년 09월 01일 ~ 2001년 09월 01일)
연구책임자 전형준
연구수행기관 서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요약
  • 1990년대 중반 중국에서는, 시인 정민이 시에서의 문언문 문제를 제기한 것을 기점으로 문언문 부활 문제를 둘러싸고 논쟁이 벌어졌다. 중국에서 문언문의 폐지와 백화문의 보편화는 근대의 한 표지인 바, 그런 의미에서 보면 최근의 문언문 부활운동은 기본적으로 근대 비판의 입장을 갖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문언문 부활운동에는 신중화주의와 탈근대주의가 교묘하게 접합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운동이 한편으로는 근대중심주의 비판이라는 긍정적 계기를 가지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신중화주의라는 부정적 계기를 갖기 때문에 이 운동을 간단히 시대착오로 치부해버리는 것도 옳지 않고 단순히 전통의 계승으로 긍정하는 것도 옳지 않다. 에크뤼튀르 차원에서의 치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한문 전통을 공유하는 한편 신중화주의의 대두에 가장 큰 위협을 느끼는 우리나라로서는 이 문제에 대해, 확고한 비판적 입장을 확보하지 않으면 안된다.
    20세기초의 백화문운동 속에서도 문언문 옹호론이 제기된 적이 있다. 이것을 근대 초기의 문언문 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뒤 문언문운동은 거의 자취를 감추었다가 그로부터 7, 80년이 지난 최근에 와서 다시 나타난 것이다. 양자 사이에는 동일성도 있고 차이도 있다. 이를 이론 내용 상으로나 사회 역사적 맥락 상으로나 해명하여야 한다. 최근 중국의 문언문운동의 의의와 한계를 밝히는 일은 현재 우리나라가 한글 전용과 국한문 혼용의 문제라든지 한문 전통의 올바른 계승 문제를 올바르게 해결하는 데에 유용한 참조를 마련해줄 것이다.
    구체적인 작업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문언문/백화문 문제에 관한 20세기초의 자료들과 1990년대 논쟁의 중심 문건들 이외에 이와 내용상 연관되는 자료들, 그리고 192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의 이 문제와 직간접으로 관계되는 자료들을 중국 현지에서 광범위하게 수집한다. 이 방면의 자료들은 아직 체계적으로 수집 정리된 적이 없다. 가능하다면 90년대의 논자들을 직접 만나 인터뷰를 하는 것도 유익할 것이다.
    2) 20세기초의 문언문운동과 20세기말의 문언문운동의 이론적 내용을 분석한다. 임서, 엄복은 동성파 고문의 계승자이고 고탕생, 호선숙, 오복, 매광적 등은 구미 유학생 출신이라는 점에서 서로 배경이 다르다는 데 주목한다. 또 20세기말의 장이무, 왕일천, 진효명은 제3세계론에서 탈식민주의로, 다숲옮뽀測陸聆퓐?이론적 입장을 바꿔왔으며 탈현대주의를 노골적인 중화주의와 결합시킬 무렵에 문언문 부활론을 제기했다는 점에 주목한다.
    3) 이상의 문언문론을 백화문론과 비교한다. 양자는 문자관과 문체관에서부터 문학관, 세계관에 이르기까지 대립적인 바 양자의 대립의 의미를 밝힌다.
    4) 이상의 분석을 바탕으로 1990년대 문언문운동을 집중적으로 해체한다. 기본 개념들과 그 개념들의 체계, 기본 명제들과 그 명제들의 체계 등을 밝혀내고 그들이 의거하고 있는 서양 이론과의 관계를 검토한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그들이 범하고 있는 의식적 및 무의식적 왜곡, 그리고 자기모순이다.
    5) 문언문운동에 내포된 긍정적 측면을 해명한다. 음성중심주의의 한계, 그리고 음성중심주의 비판이라는 형태의 또하나의 음성중심주의의 한계, 한자라는 문자에 대한 잘못된 인식 등이 여기서 교정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이는 근대적 문체의 제도성에 대한 비판적 인식으로까지 진전될 수 있다.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