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s

연구과제 상세정보

Syntactic aspects of focus in the ellipsis constructions of English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선도연구자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0-041-A00261
선정년도 2000 년
연구기간 1 년 (2000년 09월 01일 ~ 2001년 09월 01일)
연구책임자 박명관
연구수행기관 동국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요약
  • 생략은 일반적으로 앞 화맥에서 언급된 구정보 요소가 뒤 화맥에서 음성적으로 발화되지 않는 현상이다. 이와 같은 현상이 실현되는 생략구문은 앞 화맥에서 언급되지 않은, 신정보를 나타내는 요소만이 표면구조에 나타나게 된다. 본 연구는 생략구문의 표면구조에 나타나는, 신정보로서 초점을 받는 요소들의 통사적 특성들을 조사 분석하고 이와 같은 초점요소들의 연구가 어떤 이론적 함의점을 제기하는지를 고찰 연구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중심 주제가 되는 생략구문은 동사구 생략(VP Ellipsis), 위공백화(Pseudogapping), 공백화(Gapping), 단일성분화(Stripping), wh-구 잔여(Sluicing) 등의 영어의 일반생략구문이다. 이들 생략구문은 초점을 받는 요소가 잔여요소(remnant)로서 표면구조에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문제는 이들 잔여요소가 생략과정에서 어떤 통사적 행동을 보이는 가이다. Jayaseelan(1990), Kim(1997) 등에 대표되는 기존의 일반적 가정은 초점요소는 우향이동(rightward movement)에 의해 생략성분 밖으로 이동한 다음 생략성분이 생략작용을 적용받게 된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우향이동은 Kayne(1994)의 어순대응공리(Linear Correspondence Axiom)를 위반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연구는 비생략구문에서의 초점성분을 분석한 Kayne(1999)의 제안을 생략구문에 확대 적용하여 생략구문의 잔여성분이 우향이동이 아닌 좌향이동(leftward movement)에 의해 생략성분 밖으로 이동함을 논증할 것이다.
    생략구문에서 초점성분이 생략성분 밖으로 이동한다는 가설은 생략성분과 앞 화맥에서 발생하는 생략성분의 선행어(antecedent)와 맺는 동일성(identity) 관계를 통사적으로 어떻게 만족하는가를 설명하는데 기반이 된다. 생략구문의 동일성 관계는 이전 연구에서 Sag(1976), Williams(1977), Fiengo and May(1994) 등은 통사적 논리층위에서, Rooth(1992), Hardt(1993) 등은 의미·화용적 층위에서 포착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Chomsky(1995)를 따라 생략이 음운형태 층위에서 발생하는 삭제작용으로 가정하면서 동일성 관계가 통사적 층위에서 초점성분의 가시적 이동에 의해 성립됨을 논증할 것이다.
    생략구문의 잔여성분이 생략성분 밖으로 이동한다는 가설은 잔여성분이 어느 지점으로 이동하고 이 이동의 목표지점과 생략성분은 어떤 통사적 관계를 가지고 있는가의 문제간예澁暉磯? 이 문제에 관하여 Lobeck(1995)은 잔여요소의 이동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생략성분은 명시어와 일치관계를 이루는 머리어, 즉 Agr head에 의해 통사적으로 허가받는다고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제안은 일치관계가 발생하지 않는 언어의 생략현상을 설명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영어의 공백화 및 단일성분화 생략구문에서 관여되는 일치소를 명확히 포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다. 본 연구에서는 생략성분의 인접구조에 항상 초점성분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기반으로 초점요소가 생략을 허가한다는 가설을 발전시킬 것이다. 이 가설은 문장구조에서 일치소를 가정하지 않는 Chomsky(1998, 9)의 제안을 수용한 것이다.
    생략구문에서의 초점요소의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함의점을 시사한다. 첫째, 영어에서 우향이동을 외견상 지지하는 경험적 증거는 초점구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략이 발생하는 구문에서 초점요소의 통사적 특성을 고찰하여 영어에서의 우향이동의 유무를 논증할 것이다. 둘째, 생략구문의 동일성 관계의 연구는 생략현상이 통사적 허가관계에 의해서 성립하느냐 아니면 의미·화용적 허가 관계에 의해서 성립하느냐의 문제를 새롭게 조망하여 언어표시(linguistic representation) 층위의 특성을 밝힐 것이다. 셋째, 생략성분이 어떻게 허가되느냐의 문제는 문장구조에서 일치소 설정이 반드시 필요한가의 문제와 밀접히 관련되며, 따라서 문장구조의 구조적 특성을 밝힐 것이다.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