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Beam-filling error와 위성강우자료와의 관령성을 이용한 지역평균강우량의 추정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대학교수해외방문연구지원
연구과제번호 2002-013-D00021
선정년도 2002 년
연구기간 1 년 (2002년 12월 26일 ~ 2003년 12월 26일)
연구책임자 하은호
연구수행기관 연세대학교& #40;미래캠퍼스& #41;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인공위성은 지상의 관측기구와 달리 넓은 지역의 강수를 측정하는 장점이 있으나 위성관측 기구에 사용되는 알고리즘때문에 지상의 강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공위성이 제공하는 강우자료를 사용하여 지상의 강우량을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기대효과
  • 1. 지구환경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강수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2. 우리나라가 기상위성을 제작하고 측정하는데 사용될 센서의 알고리즘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3. 향후에 우리나라도 기상위성을 확보하게 되면 우리나라의 강수량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여 기상예보에 공헌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에서는 인공위성이 측정하는 강수량을 이용하여 어떤 지역의 실제강수량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지금까지 개발된 방법과는 달리 위성강수량과 beam-filling error의 편의간의 관련성을 보이고 이 관련성을 이용하여 실제강수량을 추정하는 방법을 개발한다. 이를 위하여 통계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위성강수량과 beam-filling error의 편의간의 관련성을 규명한다.
  • 한글키워드
  • satellite estimates,beam-filling error,ground truth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강우량의 측정이 기후변화를 이해하는데 중요하기 때문에 현재 위성을 이용하여 강우량을 측정하는 기법을 사용되고 있지만 위성은 강우량을 직접 측정하지 못하고 위성에 탑재되어 있는 센서를 이용하여 강수량과 관계있는 변수를 측정하여 변환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지역의 평균강우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위성이 제공하는 지역평균강우량은 실제의 강우량과 차이를 보이게 되는데 이러한 차이를 beam-filling error라고 부른다. 따라서, 위성을 이용하여 지역의 평균강우량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beam-filling error의 크기를 알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량에 대한 여러 가지 확률분포에 대해서 beam-filling error와 지역평균강우량이 관계가 있음을 이론적으로 증명하고 위성이 제공하는 강우량을 사용하여 실제 지역평균강우량을 추정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기법을 과거의 실증연구와 비교하여 봄으로써 타당함을 밝혔다.
  • 영문
  • In this pap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ea-average rain rate and the random part of the so-called beam-filling error in the microwave retrieval of rain rate over oceans is theoretically derived. This paper makes use of a series of random rain-rate fields to study the dependence between the area-average rain rate and the beam filling error. A number of examples are analyzed in detail; the Bernoulli distributed field, the Gaussian, and the mixed Gamma("mixed" here means there is a finite probability of no rain rate at a point of space-time). The study is based upon the GARP(Global Atmospheric Research Program) Atlantic Tropical Experiment (GATE) rain-rate dataset. It is found that there is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the area-average rain rate and the beam-filling error. The relationship obtained in this paper was used to estimate the true area average rate using the satellite rain rate and it is found that the estimation procedure obtained in this study is a reasoable proposi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강우량의 측정이 기후변화를 이해하는데 중요하기 때문에 현재 위성을 이용하여 강우량을 측정하는 기법을 사용되고 있지만 위성은 강우량을 직접 측정하지 못하고 위성에 탑재되어 있는 센서를 이용하여 강수량과 관계있는 변수를 측정하여 변환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지역의 평균강우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위성이 제공하는 지역평균강우량은 실제의 강우량과 차이를 보이게 되는데 이러한 차이를 beam-filling error라고 부른다. 따라서, 위성을 이용하여 지역의 평균강우량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beam-filling error의 크기를 알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량에 대한 여러 가지 확률분포에 대해서 beam-filling error와 지역평균강우량이 관계가 있음을 이론적으로 증명하고 위성이 제공하는 강우량을 사용하여 실제 지역평균강우량을 추정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기법을 과거의 실증연구와 비교하여 봄으로써 타당함을 밝혔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
    본 연구의 목적인 위성을 이용한 지상강우량의 추정방법에 대하여 개발하였고 그 방법의 타당성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검증을 하였다.

    활용방안:

    대기과학중에서 원격탐사에 필요한 통계적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가 기상위성을 제작하고 강수량을 측정하는데 사용될 센서의 알고리즘을 개발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beam-filling error, random field, satellite estimate, percent bias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