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장애아동의 조기발견 및 가족지원을 위한 모형 개발과 적용의 효과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협동연구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2-042-B00155
선정년도 2002 년
연구기간 1 년 (2002년 12월 01일 ~ 2003년 12월 01일)
연구책임자 조광순
연구수행기관 공주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황복선(나사렛대학교)
황규윤(순천향대학교)
백유순(나사렛대학교)
전경자(순천향대학교)
김미옥(이화여자대학교)
최민숙(백석대학교)
오세철(나사렛대학교)
김정진(나사렛대학교)
김진호(순천향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국내의 경우, 현행 모자보건법과 특수교육진흥법, 장애인복지법에서는 장애아동의 조기발견 노력이 국가의 책임임을 규정해 놓고는 있으나, 아직까지 우리 나라 장애 영·유아 조기발견 정책과 실제는 향후 추진될 계획이거나 시범적으로 운영되는 초기 단계에 있으며, 관련 부처간에 연계된 종합적인 장애 영·유아 조기발견 체계가 미비되어 있는 실정이다. 장애아동의 조기발견, 진단 및 이에 따른 조기중재 및 가족지원 서비스의 제공은 교육, 의료·보건 및 복지 등의 포괄적이고도 다학문적 팀 접근을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중앙정부 수준에서부터 지방조직, 지역사회 수준에 이르기까지 의뢰 및 관련기관간 협력체계가 구축되어야 하고, 공공단체와 민간단체의 협력체계 역시 확립되어야 하며, 관련 부처가 연계된 종합적인 조기발견 사업을 시범사업으로 실시하고, 이의 평가 결과를 추후 조기발견 사업에 반영함으로써 장애아동의 조기발견 사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추진하고 시범사업의 효과를 평가를 할 수 있을 때, 우리 나라 조기발견 사업의 질적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고 본다.
    이와 같은 장애아동의 조기발견 및 적절한 서비스제공과 관련된 문제점 및 과제의 파악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교육, 의료·보건, 복지 분야의 포괄적인 다학문적 팀 접근을 통한 장애아동 조기발견 및 가족지원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관련기관간의 관계망 구축을 중심으로 한 종합적인 장애아동 조기발견 및 가족지원 모형을 개발·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표를 둔다. 본 연구에서의 학제간 협동노력을 통한 모형의 개발과 적용은 영·유아의 장애를 예방하고, 장애영·유아와 가족들을 위한 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킴은 물론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련 법규의 제정과 정책을 유도해 볼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 기대효과
  • 1. 학문적 기여도:
    (1) 장애 영·유아의 조기발견과 가족지원 분야에 대한 다학문적 접근을 통하여 장애아동을 위한 교육과정 구성 시 다학문적 교육의 기초를 마련할 수 있다.
    (2) 장애 영·유아 조기발견 및 가족지원을 위한 지역사회 연계모형을 검증할 수 있다.
    (3) 가족기능에 대한 병리학적 모형을 탈피하고 가족에 대한 상호관계성과 복합성을 강조하는 생태학적 모형으로의 패러다임이 전환된 장애아동교육 및 복지분야의 토착화된 모형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

    2. 사회적 기여도:
    (1) 국가적 수준에서 장애 영·유아 조기발견 및 가족지원 정책과 관련된 법체제, 서비스 전달체계를 위한 구체적 지침과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다.
    (2) 서비스 관련기관 간의 협력체계 구축으로 조기발견 및 가족지원에 관한 서비스의 효율적, 효과적 운영과 중복예산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3) 대중 홍보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과 장애아동 및 가족들의 사회통합을 유도할 수 있다.
    (4) 장애아동 가족에 대한 중재로 가족의 보호부담으로 인한 간접 비용감소, 생산적활동 참여 증가와 전문가와의 상호협력적 참여증가로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교육현장에서의 활용방안
    (1) 특수학교 유치부, 유아특수학교, 조기치료실, 장애아동 관련 교육기관 등에서 조기에 적절한 개별화교육계획과 치료프로그램 선정 시 필수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2) 장애아동 관련학과 학부 및 석사과정 학생들과 지역사회 전문가를 적극적으로 연구에 참여시킴으로서 장애 영·유아 조기발견 및 가족지원 프로그램 개발과 수행을 위한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
    (3) 다학문적 팀 접근을 통한 개별화교육(가족)계획의 개발 및 운영에 대한 실질적인 교사의 자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 연구요약
  • 1차년도 연구내용 및 방법: 장애아동의 조기발견 및 가족지원을 위한 모형개발

    1. 문헌연구 및 조사연구를 통하여 장애 및 발달지체의 가능성이 있는 대상아동을 발견·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한다.
    2. 문헌연구 및 조사연구를 통하여 대상아동의 선별, 진단·평가 및 추적 모형을 개발한다.
    3. 문헌연구 및 조사연구를 통하여 대상아동을 위한 개별화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모형을 개발한다.

    2차 연도 연구내용 및 방법: 장애아동의 조기발견 및 가족지원을 위해 개발된 시범모형의 적용

    1. 연간계획에 의거한 장애 영유아 조기발견을 위한 대중인식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2. 지역 내 관련기관과의 관계망 구축을 통한 장애 영유아의 선별, 진단 및 평가사업을 실시한다.
    3. 추적시스템을 통한 장애 위험 아동의 주기적 발달점검 및 관리를 실시한다.
    4. 실험설계 절차에 따라 의뢰된 대상아동의 다학문적 진단·평가를 통한 개별화 가족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5. 개발된 시범모형 적용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절차를 체계적으로 조직화한다.

    3차 연도 연구내용 및 방법 : 개발된 장애아동의 조기발견 및 가족지원 시범모형의 적용과 효과성 분석

    1. 조기발견 및 가족지원 시범사업에 참여한 또는 필요한 기관의 수와 유형, 인력을 제시한다
    2. 선별, 진단되는 아동의 비율을 제시한다.
    3. 조기발견시기를 제시한다.
    4. 아동 당 조기발견 및 가족지원에 드는 비용을 제시한다.
    5. 전문요원 훈련대상자의 특성, 훈련내용, 절차를 제시한다.
    6. 등록, 추적, 관리 시스템의 운영비용 및 효율성을 제시한다.
    7. 대상아동의 전반적인 발달변화를 제시한다.
    8. 대상아동 부모의 스트레스 수준과 가족기능의 변화를 제시한다.
    9. 가족지원 시범모형 및 협력관계에 대한 관련전문가 및 장애부모들의 만족도를 제시한다.






  • 한글키워드
  • 아동복지,장애아동조기발견,가족지원프로그램,프로그램적용,효과성,진단.평가,개별화가족서비스계획,예방의학,대중인식프로그램,가족복지,보건복지,사회복지,모자보건,유아특수교육,다학문적접근,선별,효과분석,모형개발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1. 장애아동 조기발견 및 중재에 관한 부모의 정보습득 실태
    본 연구는 장애아동 부모를 대상으로 조기발견 및 중재에 관한 대중인식프로그램의 현황을 조사한 결과를 제시한 것이다. 연구결과 장애의 의심 또는 진단 이전 시기에 부모들이 아동의 장애에 관한 정보를 얻는 빈도가 매우 낮고, 정보의 출처도 다양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2. 발달지체아동의 조기발견 및 중재를 위한 국내외 대중인식 프로그램 개발 사례 비교
    국내외 대중인식활동 사례를 조사하여, 대중인식을 위한 정책과 운영주체,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주요 요소, 대중인식 자료가 갖추어야 할 주요 요소를 알아본 연구이다. 연구결과, 대중인식 활동은 조기발견정책 수립 시 함께 이를 위한 정책의 수립과 협력기구의 수립을 통해 이루어져야 하며, 제도적 행정적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를 위해 개발된 자료는 주요 발달표, 지역의 진단과 중재 기관, 의뢰체계 등과 같은 주요 내용을 포함해야 하는 것으로 타났다.

    3. 장애아동 조기발견을 위한 협력적 추적 체계 개발 방향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협력적 추적 체계 전담 기구의 구성과 역할 및 쟁점, 추적 자료의 수집 및 통합 데이터베이스의 개발 과제, 부모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고, 국내 장애영․유아의 조기발견을 위한 추적 체계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의뢰체계 및 대상아동의 정의 개발, 연계망구축, 지역사회중심의 선별프로그램, 추적전담기구, 통합적 추적 데이터베이스시스템 개발을 통해 대상 아동을 체계적으로 추적, 관리할 수 있는 추적체계 모형의 개발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4. 지역사회중심의 장애영유아 가족지원 실행을 위한 가족의 요구와 자원실태분석
    본 연구는 장애아동 가족을 대상으로 가족자원지지도, 가족자원필요도, 가족지원 요구도를 분석한 결과를 제시한 것이다. 연구결과 가족의 요구는 자녀를 돌보아줄 기관에 대한 요구와 정서적 지원, 재정 및 구체적 지원에 대한 요구가 높았으며, 이러한 요구는 특수교사, 치료사, 사회복지사의 지지와 정적 상관관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부모 참여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장애유아 부모의 정보 요구 조사

    본 연구는 장애유아 부를 대상으로, 가족참여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필요한 요구 조사를 실시한 것이다. 장애유아 부모는 아동 교육방법에 관한 정보 요구와 가족 지원에 관한 정보에 대한 요구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의 정보에서는 특수교육기관의 배치와 통합교육기관의 배치에 관한 요구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 장애 영․유아 조기선별 및 진단평가를 위한 개선방안 모색
    본 연구는 관련 문헌 고찰 및 사례분석, 관련전문가 설문조사 및 심층면담조사를 토대로 지방 특수교육의 현장에 적용이 용이한 실제적인 장애아동 조기선별 및 진단평가를 위한 다학문적인 연계모형과 정책적인 개선방안을 제안한 것이다. 연구결과 다학문적인 조기선별 및 진단평가 모형 및 선별․진단평가 체계, 선별검사 및 진단도구의 개발과 관련전문가 및 부모들에 대한 재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영문
  • 1. A parent survey on the public awareness program for child find and early intervention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atus of the public awareness program in the community level, using a survey with parent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very few informations available to prevent disability risk, and the types and contents of information are very limited. It is suggested that more effective public awareness program in the community level should be developed.

    2. Comparison of public awareness programs for child find and early intervention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This study suggested a system and public awareness program for child find child find and early intervention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It is found that amendment and improvement of laws and policies, establishment of a leading agency to perform the public awareness programs, and interagency council are needed to develop a model public awareness program.

    3. Future Direction of a Collaborative Tracking System for Identifying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suggests the future direction of a tracking system in Korea for identifying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facilitating comprehensive services. The compositions and roles of an integrated tracking system, issues of the tracking system, trends in the development of the systems, and data collection are identified. It suggests that a referral system, definitions and criteria for including a child in the tracking system, system to register, track, and manage identified children and a community-based collaborative interagency committee should be developed.

    4. An Investigation of Needs of Parent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r the Program of Parent Involvement

    This study investigated needs among parent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parent involvement programs. It is found that the parents have high levels of needs for educational methods in home settings, information on family support and child placement after eligibility decision in made.

    5. A study on the needs and resources of familie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r implementing a community-based family support program in Cheonan and Asan

    This study investigated resource support function, resources needs, and support needs of familie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t is found that the resources needs of parents are various. They were found be supports from agencies, emotional supports, daycare, and so forth. The family supports were related with fathers' job, mothers' academic career and mothers' age. The resources needs were related with family income, fathers and mothers' age, mothers' academic career.


    6. Directions of early screening, evaluation, and assessment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suggests a practical model and political improvement strategies for early screening and diagnosis of infants and toddlers with special needs through critical review of relevant research literature, policy reports, and excellent model cases and survey and interview with practitioners. It suggests developments of a multidisciplinary collaborative model, periodical screening and assessment processes and instruments, and training programs for practitioners and parent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1차년도 연구의 목적은 교육, 의료․보건, 복지 분야의 포괄적인 다학문적 팀 접근을 통해 종합적인 장애아동 조기발견 및 가족지원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1)장애아동의 조기발견을 위한 대중인식프로그램과, 2)아동을 발견․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는 추적체계, 3)아동의 선별, 진단․평가, 4)개별화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연구목표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연구논문 및 정책 보고서 검토, 국내외 우수사례 분석, 설문조사, 심층면담과 같은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각각의 연구목표에 따른 연구를 실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아동 부모의 경우 아동장애의 의심 또는 진단 이전 시기에 아동의 장애에 관한 정보를 얻는 빈도가 매우 낮고, 정보의 출처도 다양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중인식 프로그램 모형은 주관기관의 주도하에 관련 협력기구를 포함해야 하며, 효과적인 대중인식활동의 운영을 위해서는 대중인식 프로그램의 용이한 접근 및 이용가능성 향상, 관련기관 종사자를 위한 대중인식활동의 수행, 지속적이고 다양한 대중인식활동의 전개, 효과적인 프로그램운영을 위한 제도적 행정적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대중인식을 위해 개발된 자료는 대상아동의 정의, 주요 발달표, 조기 중재의 중요성 및 내용, 지역의 진단과 중재 기관, 의뢰체계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아동 가족의 지원요구는 자녀를 돌보아줄 기관에 대한 요구와 정서적 지원, 재정 및 구체적 지원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가족기능강화를 기초로 한 가족지원 모형은 여러 관련 전문가의 협력 속에서 지역사회 중심의 지원서비스 모형이 개발되어야 하며, 또한 가족참여 프로그램 운영에는 가정에서의 아동 교육방법과 가족지원에 관한 정보, 특수교육기관의 배치와 통합교육기관의 배치에 관한 요구를 반영하여 관련기관에서 여러 자료를 통해 정보를 제공해 주는 것도 일부분으로 포함시켜야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장애아동 조기발견을 위한 추적 체계의 모형에는 장애영․유아의 조기발견을 위한 의뢰체계 및 추적 대상아동의 정의 개발, 지역사회의 연계망구축 및 지역사회중심의 선별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다양한 시기에 문제의 가능성이 있는 아동들을 찾아 등록하여 체계적으로 추적, 관리하는 체계가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사회 중심의 추적 전담기구의 설립 및 부처간 협력을 통한 통합적 추적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개발이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고려된다.
    넷째, 조기선별 및 진단평가 모형의 개발에는 관련기관 간의 연계를 통한 체계적인 아동발견과 조기중재 및 유아특수교육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주는 다학문적 접근방법의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유아 선별 및 진단평가 과정은 반복적으로 시행되어져야 하고, 개인차가 크고 다양한 특성을 지닌 장애 영․유아에게 적용 가능한 선별검사 및 진단도구의 개발과 관련전문가 및 부모들에 대한 재교육의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실질적인 현장의 실태를 반영한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 내 유아특수교육이나 관련학과의 교육과정 또는 프로그램 구성 시 체계적인 다학문적 서비스 지원 절차 및 방법 등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과 방향을 제시해주는데 활용할 수 있다.

    2. 현행의 의료적인 서비스 제공 형태에서 벗어나 교육환경을 중심으로 하는 상호 협력적인 연계서비스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본모형으로 활용할 수 있다.

    3. 특수교육의 미래 방향인 장애위험 및 발달지체, 장애아동의 조기발견, 추적, 선별, 진단평가 및 교육, 가족지원 프로그램 간의 협력적인 모형을 실제 교육 및 관련 서비스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 수립에 방향과 지침을 제공해주는데 활용할 수 있다.

    4. 등록 및 추적, 적절한 조기선별 및 진단평가, 가족지원 서비스를 장애 아동과 가족이 보장받을 수 있도록 관련 법규의 제정이나 사회보장 정책의 입안에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5. 정부부처간 및 장애아동 서비스 기관간의 협력적 연계체계의 개발을 촉진시킬 수 있다.

    6. 지역사회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과 장애아동 및 가족들의 사회통합을 유도할 수 있는 대중인식프로그램의 개발을 촉진시킬 수 있다.
  • 색인어
  • 대중인식프로그램, 가족지원모형, 가족지원, 가족의 요구, 가족의 자원, 가족기능강화장애아동관리체계, 추적체계, 의뢰체계, 조기중재, 유아특수교육, 조기선별, 진단평가, 사정, 선별진단모형, 다학문적연계모형, 지방특수교육, 지역사회중심서비스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