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월드 뮤직의 수용과 다문화적 음악교육의 접근 방안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인문사회분야지원일반연구
연구과제번호 2003-074-GS0001
선정년도 2003 년
연구기간 2 년 (2003년 09월 01일 ~ 2005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조효임
연구수행기관 서울교육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변계원(서울대학교)
주대창(서울교육대학교)
이지선(서울대학교)
방금주(서울교육대학교)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세계 여러 나라의 음악문화를 접하고 이해하는 현상은 이제 음악교육이 ‘미’에 대하여 특정하게 제한된 대상이나 개념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이제 모든 시대와 문화권을 초월하여 다른 민족의 ‘음악’과 함께 세계 여러 민족의 문화를 이해하는 음악교육으로 전환되어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문화란 한 사회의 삶의 질을 가늠하는 척도이다. 오늘날에 있어서 각 지역 및 국가는 ‘지구촌은 하나’라는 공동체적 큰 흐름 속에서 문화적 고유성의 확보와 함께 서로를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수용하는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제 문화간의 영역을 넘나드는 ‘크로스오버’ 시대를 맞이하여 현대의 음악교육은 ‘폐쇄적’ 옹호가 아니라 ‘개방적’ 선택으로서 전개되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문화의 경쟁력이 중요한 이슈로 등장하고 있는 현 시대에, 우리 음악 교육계에서도 다른 문화 선진국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음악 문화에 대한 정보의 제공과 함께 이를 바탕으로 한 각 고유 문화에 대한 이해 및 가치적 판단으로 세계성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 따라, 음악교육에서의 월드뮤직의 수용과 다문화적 음악교육의 접근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월드뮤직이라는 용어의 개념적 고찰을 시도하였고, 다문화적 음악교육과 간문화적 음악교육에 대한 차이점과 공통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또한, 한국의 다문화주의 음악교육에 대한 초․중등학교 교사들의 의식과 현장 실태 및 문제점을 진단하고, 그 해결방안과 보완책을 모색하여 우리나라의 학교음악교육의 방향설정에 도움을 주고자 초․중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다문화적 음악교육의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한국의 음악교과서는 물론이고, 독일, 일본, 미국에서 현재 쓰이고 있는 음악교과서의 다문화적 음악교육의 현황과 방향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여 이를 한국내의 음악교육에서 어떠한 방법으로 적절히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와 더불어 다문화적 음악교육의 수출을 위한 한국 전래동요의 세계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물은 총 9편의 논문으로 나뉘어 대부분 한국학술진흥재단 등재(후보) 학술지에 게재되었다. 또한 최종 결과물로 교사와 학생들 또는 세계음악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 노래를 통하여 다문화를 접할 수 있는 안내서이자 제재곡집인 『다문화 음악수업을 위한 세계의 노래』의 출판이 진행되어 2006년 2월에 발간될 예정이다.
  • 영문
  • This study incorporates many of our responses to the rapidly changing conditions and repertories of world music since the beginning of the twenty-first century: globalization, the explosion of new world of music, the often dramatically shifting landscapes of a postcolonial and neonationalist world. World music responds to these changes and offers students and teachers a considerable range of perspectives for understanding the contemporary world of which they are increasingly a part. Our research members take the opportunity of the result of this study to include essential materials about the most recent world music phenomena, especially world music and emerging repertories that help us sort out the dizzying processes of hybridization and exchange that affect almost all world musics in some way.
    In this study, first, the concept of world music was examined. Also, the analyses on the actual condition in today's Korean music education from th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point of view were proceeded via questionnaire. The analyses on the music textbooks in Korea, Japan, Germany and USA were also proceeded. Therefore, total nine pieces of papers by our project members were already printed out in various famous music academic journals during last two years. Finally, our big effort, The Song of the World, is going to be printed in Feb. 2006. This will help students and teachers in Korea to get many valuable information about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and world music. The globalization requires people to understand wider compass of diversity. Therefore, the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music and world music is essential in today's Korea. This will lead people to comprehend the multiplicity of human world and to obtain appropriate self-confidence for our own cultur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다양한 음악 문화를 취급하는 개방적 음악 교육의 추구는 세계화를 추구하는 한국의 국제적 위상을 감안할 때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정보 통신 분야에서 선두적 위치에 있는 한국은 이제 세계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세계의 다양한 지역의 문화와 교류를 하면서 타문화를 이해하고 타문화에 접근함으로서 세계 시민으로서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태도를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때에 우리 음악 교육계에서도 다른 문화 선진국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음악 문화에 대한 정보의 제공과 함께 이를 바탕으로 한 각 고유문화에 대한 이해 및 가치적 판단으로 세계성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 따라, 음악교육에서의 월드뮤직의 수용과 다문화적 음악교육의 접근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월드뮤직이라는 용어의 개념적 고찰을 시도하였고, 다문화적 음악교육과 간문화적 음악교육에 대한 차이점과 공통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또한, 한국의 다문화주의 음악교육에 대한 초․중등학교 교사들의 의식과 현장 실태 및 문제점을 진단하고, 그 해결방안과 보완책을 모색하여 우리나라의 학교음악교육의 방향설정에 도움을 주고자 초․중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다문화적 음악교육의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한국의 음악교과서는 물론이고, 독일, 일본, 미국에서 현재 쓰이고 있는 음악교과서의 다문화적 음악교육의 현황과 방향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여 이를 한국내의 음악교육에서 어떠한 방법으로 적절히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끝으로 다문화적 음악교육의 수출을 위한 한국 전래동요의 세계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물은 총 9편의 논문으로 나뉘어 대부분 한국학술진흥재단 등재(후보) 학술지에 게재되었다. 또한 최종 결과물로 교사와 학생들 또는 세계음악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 노래를 통하여 다문화를 접할 수 있는 안내서이자 제재곡집인 『다문화 음악수업을 위한 세계의 노래』의 발간이 진행되어 2006년 2월에 발간될 예정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다문화적 음악 교육은 다른 민족의 음악, 문화, 사회, 종교 등의 교육 내용과 연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계성을 통해서 학생들은 자신의 문화와 사회적 상황을 이해할 뿐만 아니라, 다른 민족의 문화와 사회적 상황을 인식하고, 더 나아가 자기 민족과 다른 민족의 가치와 신념을 수용하고 존중하는 기초적인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모든 문화권의 음악은 나름대로 독창적이며 훌륭한 어법을 가지고 있다. 세계는 이제 음악의 보편성에 대하여 관심을 갖는 쪽으로 기울어지고 있다. 월드 뮤직을 통하여 한 나라의 음악 문화를 가장 잘 이해할 수 있고, 이러한 이해는 세계의 문화와 그 다양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오늘날 음악학자와 음악교육학자들은 한 문화권에 포함된 예술 음악과 민속 음악, 대중음악 등 모든 음악을 이해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팀의 연구결과 활용에 대한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적 음악 교육은 학생들로 하여금 다른 민족의 음악, 문화, 사회, 정치, 종교 등을 이해할 수 있게 해 준다.
    둘째, 다문화적 음악 교육을 통하여 학생들은 민족적, 국가적 그리고 세계적 측면에서 자기 자신에 대한 올바른 정체성을 가질 수 있다. 다문화적 교육을 통하여 학생들은 자신의 문화뿐만 아니라, 다른 민족의 문화를 인식하고 그 민족의 가치와 신념을 수용하고 존중하는 기초적인 능력을 기를 수 있다.
    셋째, 음악들 사이에 다양성과 차이성을 인식하도록 해 준다. 각 종족 음악들은 서로 비교할 수 없는 독특성을 가지고 있다.
    넷째, 자기 고유의 음악 이해에 도움을 준다. 여러 종족 음악들을 경험하다 보면, 그 속에서 고유한 음악의 특성을 보다 명확하게 인식하게 된다. 국악만 아는 학생보다는 중국 음악, 인도 음악, 인도네시아 음악, 아프리카 음악, 유럽의 민속 음악, 미국 인디언들의 음악, 남미의 음악을 경험한 학생들은 그런 음악들 속에서 한국 음악이 독특하게 지니고 있는 속성들을 더 깊이 파악할 수 있다.
    다섯째, 음악의 창의성 발달에 도움을 준다. 존 케이지는 인도의 음악을 자신의 음악에 수용하였고, 메시앙은 자신의 작품에 인도의 힌두 리듬을 사용하였다. 볼레즈도 발리의 가멜란 음악을 활용하였다. 이와 같이 많은 작곡가들은 이미 유럽과 미국이라는 지역을 벗어나 세계 도처의 민족 음악을 통하여 그들은 자신의 상상력과 창의력을 극대화시키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학생들의 상상력과 창의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교육방법이라고 하겠다.
  • 색인어
  • 다문화적 음악교육, 간문화적 음악교육, 월드뮤직, 세계음악, 세계화, 전통음악, 전래동요, 교과서, 음악교육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