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EFL환경에서의 담화표시어 대조분석과 그 의미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선도연구자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3-041-A00542
선정년도 2003 년
연구기간 1 년 (2003년 12월 01일 ~ 2004년 12월 01일)
연구책임자 양창용
연구수행기관 제주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최근의 담화-화용이론에서는 담화를 둘러싼 문맥(context)의 해석과 이에 따른 효과적인 설명력을 제공하는데 그 근본을 두고 있다. 최적의 설명력은 또한 그 상황을 구성하는 다양한 담화요소들의 상호작용(interactions)에 의해 결정된다. 담화 참여자들은 이러한 환경에서 자신들의 뜻하는 바를 이루기 위해 다양한 (비)언어적 기재를 사용한다. 그리고 이들의 역할은 담화분석(discourse analysis)에서 결정적이라 하겠는데, 담화표시어(discourse markers)는 이러한 기재 중 가장 널리 연구되고 있는 언어도구라 하겠다. 그 자체가 의미하듯 담화표시어는 담화 속에서 문맥 전 후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이어주는 전이(transition)적인 역할과 기능을 담당하는 기재로 알려졌다 (Schiffrin 1987, Fraser 1999). 교육적인 측면에서 이는 학습자가 주어진 사회적 상황의 이해와 의사소통을 보다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본 연구는 EFL환경에서 쓰이는 담화표시어의 역할과 기능을 체계적인 분석 통해 설명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는 기존 연구에서 간과되었던 언어 교육에서의 담화표시어의 쓰임에 대한 새로운 안목의 제공과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영어교육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려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과정 및 결과를 통해서 다음을 기대할 수 있다. 1) 담화표시어가 상호작용과 담화상의 흐름을 조율하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이해한다면, 우선 학습에 쓰이는 교재 제작에 시사하는 바가 클 것이다. 2) 역동적이고, 상호활동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담화표시어를 중심으로 어떻게 가르칠까하는 교수방식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3) 원어민과 비원어민들 사이에 사용되는 담화표시어의 빈도수, 사용양상 등을 대조 비교함으로써, 이 둘 간의 근본적인 언어학적인 차이와 유사성을 추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최근 담화문법에서 큰 관심을 두고 있는 '상호작용적 문법 (interaction and grammar)'의 분야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요약
  • 우선, 담화표시어의 다양한 쓰임과 용법에 대해 기존의 연구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EFL환경과 ESL환경에서 제작되고 쓰이는 교재를 바탕으로 담화표시어의 쓰임과 기능에 대한 대조 분석을 해볼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담화표시어가 실제적으로 어떻게 학습자들에 의해 사용되는 지를 분석할 것이다. 이를 위해 영어를 제 2언어로 학습하는 한국인 학습자 4명과 영어 모국어 화자 2명이 참가할 것이다. 여기서 분석의 대상은 한국인 학습자들의 사용하는 담화표시어이다. 담화자료는 적어도 6개월 이상 수집될 것이다. 자료는 다양한 방법(예를 들어, 상황묘사하기, 추측하기 게임 등)으로 정기적으로 녹음되거나, 비디오로 촬영되어 모아질 것이다. 이렇게 수집된 다양한 자료는 EFL환경에서 쓰이는 담화표시어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의미 있는 해석을 제공할 것이다.
  • 한글키워드
  • 영어교육,제 2언어 습득,역동성,담화분석,interlanguage,담화표시어,EFL,ESL,상호작용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담화표시어는 구어체에서 빈번히 사용되고 관찰되는 언어표현으로 주어진 상황의 실질적 의미(propositional meaning)에 변화를 주지 않지만 통사적 자유성과 다양한 상황의미를 전달한다. 담화표시어의 사용은 담화 참여자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되고 이들의 적절한 사용은 주어진 담화가 보다 활동적이고(lively dynamic)하고 자연스럽게 연결(natural connection)되도록 인도하는 역할을 한다.
    의사소통을 원하는 학습자들이 담화표시어를 적당히 상황에 맞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다는 것은 목표 언어를 이해하는데 중요하다. 이에 대한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담화표시어의 사용과 언어 사용 능력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데 그 초점이 모아졌다. 이를 위해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사용되었다. 우선은 영어회화를 위해 사용되는 교재를 분석하여 담화표시어의 사용 실태를 살펴보았다. 다른 하나는 실제로 학습자들이 인터뷰를 통해 어느 정도까지 담화표시어를 어떤 환경에서 사용되는 지를 살펴보았다.
    보다 충분한 실증적인 자료의 보충이 필요하지만, 대략적인 결과는 영어 능숙도의 증가와 담화표시어의 사용은 상당히 밀접한 관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영어를 학습하는 학습자뿐 만 아니라 영어를 가르치는 선생님들에게도 경험적인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 영문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rious functional aspects of discourse markers used by non-native speaker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study is designed to look into how language proficiency is related to frequency with which EFL learners use discourse markers.
    The methodology is designed in two ways: functional analysis of discourse markers in published textbooks for communication and interviews with students.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native speakers 6 times for 6 months. For interviews, the participants were limited to those currently majoring in English Education of the Korean university. It might be possible to tentatively comment on the manner and frequency with which native English speakers use discourse markers, and also the extent of positive transfer in the use of discourse markers by EFL learners whose mother tongue is Korean.
    The significant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Korean students at a Korean university use discourse marker as more frequently as they develop speaking ability of English, even though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It is intended that the findings will primarily be of interest to EFL learners and teacher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종래의 언어교육은 단순한 어휘와 구조를 강조하는 문형연습(drill)을 통한 반복학습을 통한 정확성이 강조되었다. 이러한 교육과정에서 단순한 언어지식의 전달과 습득은 그 자체가 언어교육의 목표가 되곤 하였다. 결과적으로는 영어에 대한 지식이 상당한 수준에 도달했음에도 불구하고 영어사용과 관련된 의사 소통 상황에서 영어를 실제로 이용하는 능력은 상당히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법중심교육에 대한 반성과 함께 의사소통활용능력의 강조는 영어교육의 중심 화두로 자리잡게 되었다.
    의사소통능력이라 함은 단순히 생각을 전달할 수 있는 의미론적인 개념이 아니고, 언어의 형식적 구조를 포함하여 언어외적인 요소, 예를 들어 사회-문화적인 요소를 바탕으로 한 상황적 의미의 활용능력을 말한다. 특히 의사소통능력은 실제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담화 참여들 간의 상호작용(interactions)에 바탕을 두고 있다. 언어학습에서 의사소통이란 곧 학습자가 주어진 상황 속에 적절한 언어 표현과 형태를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일컫는 것으로서 언어가 사용되고 있는 상황 맥락, 대화 참여자의 역할, 그들이 공유하는 정보, 상호접촉 기능을 이해할 수 있어야 가능하다.
    본 연구의 대상이 되었던 담화표시어(discourse marker)는 말 그대로 담화를 일으키고, 촉진해 나가며, 유지해 가는 참여자 상호관계(interpersonal relation)를 원활히 하는 도구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 문맥 전후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이어주는 전이적 역할과 기능(textual function) 담당하는 기재로써 사용되기도 한다. 달리 말하면, 담화표시어는 주어진 상황적 정보의 논리적 연결과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전략적인 수단으로 사용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 형태로 진행되었다. 하나는 영어회화 교재에 나타난 담화표시어들의 기능과 쓰임에 대한 연구이고, 다른 하나는 실제로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담화표시어의 용법과 역할에 대한 연구가 그것이다. 교재연구의 경우는 선택된 교재에 나타난 다양한 담화표시어의 쓰임이 기존의 언어학적 이론에 연구에 근간을 둔 연구와 비교 분석되었다. 학습자들의 경우는 영어를 배우는 10여명의 학생들이 원어민 2인과 인터뷰하는 과정에서 쓰이는 담화표시어의 활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인터뷰는 한 달에 한 번씩 6개월간 진행되었다.
    이 연구는 이론적인 연구를 실질적 언어교육 현장에 적용했다는데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더 나아가 담화의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방안 연구로서 그 실제적 의의가 있다 하겠다. 실제 담화에서 빈번한 담화표시어들이 어떻게 비원어민 학습자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원어민들이 사용하는 담화맥락과 어떤 유사점과 차이점이 있은 지를 직접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 비원어민 학습자들 간에 사용되어지는 담화표시어를 비교함으로써 아직까지 활성화 되지 못한 원어민 화자와 비원어민 화자들 간 언어사용에 대한 비교 연구를 촉진시켜나갈 수 있다.

    - 의사소통의 중요한 기재인 담화표시어를 살펴봄으로써 학습자들이 영어를 효율적으로 습득하기 위한 학습전략 이해에도 실질적인 도움을 얻을 수 있다. 즉, 역동적이고, 상호 활동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담화 표시어를 중심으로 어떻게 가르칠까하는 교수방식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 담화표시어의 연구는 일상 담화에서 관찰되는 다양한 언어현상(반복, 대치, 순서교대 등)의 연구에 실질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되는 바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언어교육의 새로운 모형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 담화표시어는 전체 담화 흐름을 이해하고 통제할 수 있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어 학습이 진전됨에 따라 학생들은 담화표시어를 적재 적소에 사용함으로써 담화를 보다 자연스럽게 이끌어 나갈 수 있었다.

    - 담화표시어가 다양한 상호작용에 바탕을 두고 나타나는 자연적 현상이기 때문에 이를 적절히 이용한 담화의 구성 학습 능률을 높이는데 큰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실자료에 자주 등장하는 담화표시어에 대한 연구는 교재 제작에도 큰 공헌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담화표시어, 담화연구, 상황맥락, 언어교육, EFL learners, interpersonal function, textual function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