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교실 수준 교육과정의 운영에 대한 학생의 이론; 포스트모더니즘 시각에서의 분석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선도연구자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3-041-B00425
선정년도 2003 년
연구기간 1 년 (2003년 12월 01일 ~ 2004년 12월 01일)
연구책임자 김두정
연구수행기관 충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전통적으로 교수(teaching)는 학습 결과에 직결되는 것으로 보았다. 그래서 좋은 학습 결과를 얻기위해서 교수(Teaching)에 초점을 두고 연구가 이루어졌다(Wittrock, 1987).
    인지 과학, 구성주의,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은 교수(teaching)가 좋은 학습 결과로 연결되는데 있어 학습자 역할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인지 심리학에 토대를 둔 교수에 대한 연구들은 대개 주의 집중, 자각(awareness), 이해, 해석, 감동(affect), 기대(expectancy), 귀인 등과 같은 학습자의 내면적 학습과정에 초점을 두고 있다(Marx, 1983). 인지 과학의 최근의 한 분파인 구성주의(Constructivism)도 교수-학습 과정에서 학습자가 지식을 획득함에 있어 학생의 능동적인 역할을 강조한다(Terwel, 1999). 포스트모더니즘은 20 세기에 등장한 탈학문적, 간학문적 틀(megaparadigm)로서 개방체제, 불결정성 등을 특징으로 한다(Pinar, 1995). 교수 학습에 관해서도 포스트모더니즘은 일정한 정형과 틀을 부정한다. 포스트모더니즘은 교수-학습이 일방적인 과정이 아니며 학생이 개별적인 학습 과정을 통하여 교육 내용을 형성한다고 가정한다.
    그러므로, 질 높은 교육 실천을 위해서는 교육 실천에 대한 개별 학생의 내면적 학습 과정과 인식 내용이 심층적으로 밝혀져야 한다. 본 연구는 수업을 포함한 교실 수준의 교육과정 운영에 대하여 학생이 갖고 있는 내면의 견해― 즉 교실 수준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학생의 신념, 태도, 개념 등의 "학생의 이론"―를 밝히고자 하는 데 그 목표를 둔다. 이 개별적인 학생의 이론들을 가로지르는 "범 이론"의 내용과 구조가 탐색될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가 대답해 보고자 하는 연구 문제는 다음의 네가지이다.

    1. 교실 수준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학생의 이론은 무엇인가 ?
    2. 교실 수준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학생 이론의 관련 요인은 무엇인가 ?
    3. 교실 수준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학생 이론은 타당성이 있는가 ?
    4. 교실 수준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학생 이론의 시사점은 무엇인가 ?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될 연구 방법들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1. 학생 이론을 탐색할 도구 사용: 설문지, 개인적 구인이론법, 자서전법
    교실 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광범위한 학생의 개략적 의견을 파악할 설문지가 제작되어 응답이 회수될 것이다. 이는 후속의 개인적 구인이론법, 자서전법 등 면담 형태의 연구 방법의 광범위가 토대가 될 자료를 생성하게 될 것이다. 설문지가 탐구할 문항 영역은 대체로 후속 면담의 영역과 맥을 같이 하여 교사, 수업(내용, 과제, 집단, 절차/방법), 교과서/자료, 평가, 학교, 동료 학생 등이 될 것이다. 개인적 구인이론법(Solas, 1992)은 대상(요소)에 대한 학생의 생각의 차원(구인)을 밝히는 것으로 여기서는 교사, 수업(내용, 과제, 집단, 절차/방법), 교과서/자료, 평가, 학교, 동료 학생 등의 대상(요소)에 대한 학생들의 생각을 5 개 이상의 형용사를 사용하여 기술해 보게 함으로써 생각의 차원(구인)이 나타나게 한다. 그리고 그렇게 기술하게된 이유를 말해 보게 한다. 자서전법은 현재의 학생의 사고를 밝히는 개인적 구인이론법과는 달리 역사적으로 지금까지의 학생의 학교생활, 학교 공부와 학생 자신에 대한 이야기(견해, 숨은 생각, 가정)등을 해 보게 하는 것이다. 설문지는 지역과 학교 여건을 고려하여 6 개 학급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배포될 것이다. 학교급은 초등 고학년~중 2 학년으로 수준으로 선정하고자 한다. 개인적 구인이론법과 자서전법은 동일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되 설문지에 자원자를 모집하고자 한다. 자원자가 부족할 경우 학급당 10 명이내에서 무작위로 선정하여 면담을 할 예정이다.

    2. 학생의 이론 자료 정리 및 관련 요인 탐색
    학생 이론에 대한 설문지 자료는 기본적으로 5 단계 척도로 된 영역별 문항을 SPSS를 사용하여 기술 통계와 추리 통계로 분석된다. 면담 자료(개인적 구인 이론과 자서전법)는 Feixas와 Villegas(Solas, 1992)의 분석 틀에 기초하여 요소별 차원을 정리한다. 차원은 제 2 차적, 3 차적으로 통합한다. 통합된 차원은 교육 목적관, 과제에 대한 기호, 개인의 교육 내용 적성 등의 견지에서 관련 요인이 추출한다.

    3. 학생 이론의 타당성 점검
    요소와 차원으로 정리된 학생 이론의 타당성을 교육과정 전문가로 하여금 검토하게 한다. 또한 선행 관련 문헌을 토대로 한 학생 이론의 타당성이 논의될 것이다.

    4. 학생 이론의 교육과정 운영에의 시사점 도출
    교사, 수업, 교과서와 자료, 평가, 학교 등의 요소별로 학생 이론이 교육과정 운영에 시사하는 바가 도출된다.
  • 한글키워드
  • 교실 수준 교육과정,포스트모더니즘,학생의 이론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연구 문제

    1) 교실 수준 교육과정의 운영에 대한 학생의 이론은 무엇인가
    2) 교실 수준 교육과정의 운영에 대한 학생의 이론은 타당성이 있는가
    3) 교실 수준 교육과정의 운영에 대한 학생 이론의 시사점은 무엇인가

    이론적 배경

    교실 수준 교육과정 운영, 교실수준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학생의 이론, 포스트모더니즘, 개인적 구성개념 이론법 (래퍼토리 그리드법) 등이 탐색된다.

    연구 방법

    수업에 대한 학생 이론을 탐색하기 위한 설문의 영역을 수업 계획, 수업 자료, 수업 진행, 수업환경 관리 등의 4 개 영역으로 나누고 각 영역별 문항을 2-9개로 구성하여 총 51개 문항의 설문지가 제작 되었다. 총 884명의 응답자가 설문지에 응답했다.
    Rep Grid Technique이 사용되기 위해 요소 추출, 구성개념 도출, 표집 선정, 개별 그리드 자료 수집, 자료 처리 등이 이루어졌다. 11개 요소, 수학과, 사회과, 초등, 중학교별로 총 4 개의 구성개념 set가 도출되고 13명의 학생에게 7단계 평정척상에서 평정하게 했다.

    연구 결과

    학생의 인식에 의하면 수학과 수업의 실태는 학생 이해 초점, 문제성 있는 내용, 학생 능력 요구 반영, 학생과 상호협력적 수업, 능력 모둠, 홀로 학습, 교과서 기준 수업 등이며 초등 수학과 수업의 특징적인 실태는 능력 모둠이며 중학교 수학과 수업의 특징적인 실태는 교과서 기준 수업이다. 사회과 수업의 실태도 유사하게 학생 이해 초점, 문제성 있는 내용, 학생 능력 요구 반영, 모둠, 교과서 기준/내용, 홀로 학습, 학생배려(정의적 측면) 등이며 초등 사회과 수업의 특징적인 실태는 교과서 기준/내용이며 중학교 수학과 수업의 특징적인 실태는 홀로 학습이다. 수학과 수업의 특징적인 실태는 학생과 상호 협력적 수업이며 사회과 수업의 특징적인 실태는 학생 배려(정의적 측면)이다. 학생들은 대체로 수학과와 사회과의 과목 수업의 실태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는 바, 학생 이해 초점, 학생능력 요구 반영, 학생과 상호 협력적 수업, 능력 모둠, 학생 배려 등으로 인식하고 있다. 한편 수업 실태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된다고 보여지는 점은 문제성 있는 내용(수학과와 사회과 공통), 홀로 학습(특히 사회과 중학교의 경우), 교과서 기준 수업(특히 중학교 수학과의 경우) 등이다.
    학생의 수업의 개선 대책에 대한 8 개 문항에 대한 요인 분석 결과를 보면 수학과에 대해서는 초등과 중학교 공통으로 학생주축 모둠 토론 수업, 선택적 개별화 수업, 교과서 위주 수업 등을 들고 있다. 사회과에 대해서도 초등, 중학교 공통으로 학생 주축 모둠 토론 수업, 선택적 개별화 수업 등를 들고 있으나 초등의 경우 교과서외 자료 사용 수업을 대책으로 보는데 비해 중학교의 경우 교과서 내용 위주 수업을 대책으로 인식하고 있음이 다르다

    시사점

    가. 획일적인 견지에서의 교실 수준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학생의 이론은 없다. 다양한 조건에서의 다양한 개별 학생의 이론들이 탐색되어야 한다. 당분간 다양한 조건은 기존의 연구 결과에서의 차이를 가져온 집단 변인(예를 들면 성적, 거주 지역 등)이 참고 될 수가 있다. 그러나 궁극적으로는 이런 집단 변인보다 더 개별적인 조건들이 탐색되어야 한다.

    나. 교실 수준 교육과정 운영의 정답이 없다. 이는 기존의 이론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충실도 접근과 다양한 전개의 접근이 통합되어 하나의 정답으로 될 수는 없다. 이 점에서 학생의 이론도 하나의 정답이 될 수 있다.

    다. 교실 수준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학생이론과 함께 다양한 사람들―교사, 교육전문가, 일반인 등―의 이론들이 탐색되어 서로 간에 의사소통과 협력 체제가 모색될 필요가 없다. 공동의 장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주관성과 간주관성이 교섭할 필요가 있다.

    라. 질적 연구법과 양적 연구법의 극단적인 간극을 메울 다양한 구조화 수준의 혼합적 연구법들이 시도되어야 한다.

    마. 학생이론의 차이를 가져올 것으로 추측되는 성적, 거주지 등의 집단 변인이 실제로 학생 이론의 차이를 가져옴은 심각한 교육적 문제점을 제기한다. 이런 집단 요인에 의한 폐해를 최소한 하는 교육 정책이 광범위하게 펼쳐져야 한다. 비판적이고 타당한 학생 이론을 견지함에도 묵묵히 적응하는 학생들의 내면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방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 영문
  • In the perspective of postmodernism, all theories including those of scientists are subjective. Therefore, we can call everybody's thoughts on the world his "theories". Of course, we can assume that students also have their own theories.
    In this context,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raised regarding classroom-level curriculum implementation : (1) What are specific students' theories (2) Are students' theories valid (3)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students' theories for educational practices
    In an attempt to search for students' perceptions about classroom-level curriculum implementation―i.e. students' theories―survey and repertory grid technique were used. A total of 51 items in the survey questionnaire were made up in relation to classroom-level curriculum implementation. Regarding repertory grid technique, 11 elements were drawn based on the result of the survey and literature review in the field. Constructs were also drawn in relation to the elements. Thirteen elementary or middle school students rated 11 elements based on drawn constructs.
    As findings of the research, six factors of students' perceptions about classroom-level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13 individual grids were confirmed and produced. Fiv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or educational practices are suggest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를 위하여 다음 세 가지의 연구 문제가 설정되었다.
    1) 교실 수준 교육과정의 운영에 대한 학생의 이론은 무엇인가 ?
    2) 교실 수준 교육과정의 운영에 대한 학생의 이론은 타당성이 있는가 ?
    3) 교실 수준 교육과정의 운영에 대한 학생 이론의 시사점은 무엇인가 ?

    연구 방법으로는 설문지와 Kelly의 래퍼토리 그리드가 활용되어 총 13 명의 초등생, 중학생에 대한 개별 그리드 자료가 수집되었다. 11개의 그리드의 요소는 설문지 결과와 문헌 연구 결과로 도출되고 구성개념은 실제 학생과의 인터뷰를 통해 도출했다.

    연구 결과, 교과목별 학생 이론을 구성하는 교실 수준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학생 인식의 6 개 요인과 그리드 개별 그리드 자료의 프로파일이 작성되었다.

    마지막으로, 학생 이론의 타당성에 대한 논의, 연구 결과의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주요 연구 결과:
    교실 수준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학생의 인식 즉 학생의 이론의 내용을 수업 실태에 대한 6 개의 요인과 수업개선 대책에 대한 3 개요인이 확인되었으며 그리드 자료로 산출되었다. 6개 요인은 수학과 수업의 실태는 학생 이해 초점, 문제성 있는 내용, 학생 능력 요구 반영, 학생과 상호협력적 수업, 능력 모둠, 홀로 학습, 교과서 기준 수업 등이며, 사회과 수업의 실태도 유사하게 학생 이해 초점, 문제성 있는 내용, 학생 능력 요구 반영, 모둠, 교과서 기준/내용, 홀로 학습, 학생배려(정의적 측면) 등이다. 수업개선 대책에 대한 요인은 초등과 중학교 공통으로 학생주축 모둠 토론 수업, 선택적 개별화 수업, 교과서 위주 수업 등을 들고 있다. 사회과에 대해서도 초등, 중학교 공통으로 학생 주축 모둠 토론 수업, 선택적 개별화 수업 등를 들고 있으나 초등의 경우 교과서외 자료 사용 수업을 대책으로 보는데 비해 중학교의 경우 교과서 내용 위주 수업을 대책으로 인식하고 있다.
    총 13 개의 개별 그리드 자료가 산출되어 구성개념에 대한 기술 통계, 요인 분석 결과 등이 산출되었다.

    활용방안:
    1. 이 연구 결과는 교실 수준 교육과정 운영 분야는 물론이고 교육 분야 전반에서 활발한 학생 이론의 연구와 논의가 이루어질 기틀이 될 것이다.
    2. 교육분야에서 개인의 독특성을 연구자들이 연구할 방법으로 래퍼토리 그리드법을 활용하게 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3. 학생 이론의 구체적 내용이 정책 분야의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색인어
  • 교실수준 교육과정 운영, 학생의 이론, 래퍼토리 그리드법, 포스트모더니즘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