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s

연구과제 상세정보

'거리극'에 대한 공연학적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선도연구자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3-041-G00068
선정년도 2003 년
연구기간 1 년 (2003년 12월 01일 ~ 2004년 12월 01일)
연구책임자 이화원
연구수행기관 상명대학교& #40;천안캠퍼스& #41;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1970년대 이래 관행적 극장 공간과 공연 미학을 거부하며 뚜렷하게 대두되기 시작한 '거리극'에 대한 본격적인 공연학적 연구를 목표로 한다. 앙토냉 아르토의 잔혹연극 선언과 1968년 프랑스 대규모 학생운동이 야기한 사회적 분위기의 영향 아래 발전되어 온 거리극은 프랑스를 중심으로 유럽 및 세계 전역에서 각종 야외공연 축제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창작되고 있다. 1995년 발간된 거리예술관련 자료집인 <골리아트(Goliath)>에 의하면 거리예술단체는 세계 전역에 걸쳐 800개 내외에 이른다. 좁은 의미로는 거리에서의 예술활동을 지칭하는 거리극은 서커스, 페레이드, 마술, 조형예술, 설치미술, 설화구연, 광대놀음, 인형극 등 다양한 예술활동과 교류하면서 거리예술이라는 명칭으로 총괄되기도 한다. 거리극 및 거리예술은 연극의 역사가 이룩한 정형적 실내극장 무대와 제도 및 공연미학의 틀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의도에서 출발한다. 즉 거리극은 공간적 자유 뿐 아니라 공연의 형식이나 미학적 특성에 있어서도 연극의 관습과 관행으로부터의 자유를 의도적으로 추구하는 것이다. 따라서 거리극이란 비관습적 공연공간에서의, 비관행적 공연을 총괄하는 개념으로 확장될 수 있다.
    모든 종류의 권위에 도전하고 기성세대의 제도를 거부하며 사회의 각 영역으로 영향력을 확산해 나가던 1968년 세대가 바로 프랑스를 중심으로 하는 거리극의 제1세대인 만큼 거리극에는 정치성과 사회성이 강하게 작용한다. 거리극의 몇 안되는 이론가 중 한 사람인 마르셀 프레드퐁 ( Marcel Freydefont)에 의하면,'거리'라는 공간은 근대화, 도시화에 의하여 소외된 길-비포장 도로-의 개념을 의미하며, 따라서 사회적 공간이자 공공의 공간으로서, 각 개인이 자신 만의 영역을 벗어나 타인의 존재를 받아들이고 환영하는 공간으로 기능한다. 따라서 거리극의 거리로의 귀환은 그 자체가 근대적 기계문명과 도시화에 대한 비판적 저항이라는 정치적 의미를 함축한다.
    거리극은 이처럼 정형화된 제도로부터의 이탈과 관습으로부터의 자유를 추구하는 만큼 정형화된 하나의 공연 양식으로서 규정하는 데에 적합치 않은 탈양식적 공연의 양상을 보인다. 따라서 뚜렷한 하나의 예술 형태 또는 문화 현상으로 자리를 잡았지만, 아직 그에 대한 학술적 연구 및 분석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거리극의 다양한 공연 사례에 있어, 공연을 연구하는 데에 있어 대두되는 각 요소들이 어떠한 양상을 띠고 있는지 다각도로 규명해 보고 심층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공연학적 시각에서 거리극을 진지하게 연구하는 선구적 역할을 충실하게 이행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거리극의 공연 양상에서 드러나는 그 본질적 특성과 미학적 효과를 분석해 보고자 하는 본 연구는 서구 공연예술계에서의 활발한 공연활동에 비하여 이론적 규명작업이 미진하였던 거리극에 대한 심화된 이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거리극의 본질과 공연 양태에 선구적 연구 작업으로서 본 연구는 연극학의 한 학문분야에서의 업적이 될 뿐 아니라, 거리극의 창조적인 창작 활동과 수용 활동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서양 연극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 보면, 가무를 동반한 제사 의식, 거리에서의 행렬, 광장이나 장터에서의 마임, 소극, 혹은 이동 수레 연극 등 다양한 공연들이 오늘날 거리극의 기원이 되고 있다. 이러한 공연들은 당대 폭넓은 관객들에게 심화된 호소력을 과시하였다. 근대 이래 서양 연극은 이러한 거리를 떠나 정형적 형태의 실내 극장 무대와 공연의 제도를 구축하고 그에 걸맞는 공연의 양식들과 함께 발전되어 왔다. 우리나라에서도 서양의 연극이 유입된 이래 서구의 근대적 개념의 연극 양식 및 극장의 건축과 제도가 유입되어 오늘에 이른다. 그러나 실내 극장 공간 안에서의 연극 공연은 오늘날 대다수의 공공 대중과 효율적으로 교감하거나 소통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연극의 공연장을 외면하고 근대적 도시화와 상업적 매체 문화의 흐름 속에서 척박한 생활을 영위하고 있는 동시대인들에게 거리극은 대안적 연극활동으로서 그들의 생활공간 안으로 찾아드는 공연활동을 펼쳐보일 수 있다. 거리극 및 거리예술은 일상과 도시의 삶에 예술과 황상의 차원을 도입하여 문화적 풍요를 더해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거리극의 본질적 특성 과 공연 미학에 대한 심화된 본 연구를 통하여 거리극 및 거리예술의 중요성 및 그 공연학적 영역들에 대한 이해가 확고해지고, 앞으로 우리나라에서의 거리극 및 거리예술의 창작이 활성화되기를 희망한다. 그럼으로써 결국 우리 시대 콘크리트와 스트레스와 먼지로 가득한 자본주의와 물신주의의 거리에 삶의 본원적 유희를 환기시키고, 인간과 인간 및 인간과 자연 간의 교감을 회복시켜 줄 문화적 토대가 형성되기를 기대해 본다.
  • 연구요약
  • 거리극에 대한 본격적 의미의 공연학적 연구를 의도하는 본 연구는 거리극에 대한 기본적 고찰에서부터, 공연 양상의 특성을 다각도로 고려해 보면서, 그 미학적 분석을 시도하고 결국, 인접 예술과 교류하는 열린 장르로서 거리극의 전망을 진단해 보고자 한다.
    거리극에 대한 기본적 고찰을 위하여 본 연구는 우선 거리극의 개념을 점검하고, 그 명칭의 적합성 여부를 타진해 보며, 서구와 우리나라의 연극사를 통하여 거리극 형태의 위상을 진단한다.
    거리극의 공연 양상의 특성을 진단해 보는 과정으로서는 먼저 거리극의 유형 분류를 시도해 보며, 그 두드러진 유형 분류의 잣대로서 이동성과 고정성을 고려해 본다. 각 유형별 공연의 양태에 있어 공연의 매개체의 활용, 공연 공간 및 환경의 활용, 그를 통한 관객의 미적 체험의 특성 등을 다각도로 분석해 낸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거리극의 사회적 기능이 드러날 것이다.
    거리극의 공연 양상으로 부터 두드러지는 거리극 고유의 특성은, 고정된 틀을 거부하는 탈정형성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고유의 특성을 전제로 거리극은 거리극 고유의 틀 조차도 거부할 수 있다. 어찌 보면 예술 본래의 특성이라도 할 수 있는 이러한 '부정성'의 특성을 거리극은 그 어느 연극 형태 보다도 내재적으로 함축하고 있다. 거리극에 대한 공연학적 연구로서의 본 연구는 거리극의 본질적 특성을 토대로 거리극을 열린 장르로서 인지하면서, 인접 예술과 교류하는 거리극의 문화적 소명과 사회적 전망을 진단해 보는 과정으로 마감하고자 한다.
    거리극의 연구에 있어 참고할 만한 선행 연구가 거의 없는 만큼 본 연구의 필요성이 두드러진다. 본 연구는 거리극이라는 연극의 형태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이자, 특정한 양상의 공연으로서의 거리극에 대하여 공연 연구의 차원에서 제기되는 다양한 영역별 탐구 과제를 적용하여 연구해 봄으로써 공연학 연구의 한 탄탄한 선례가 되고자 한다.
  • 한글키워드
  • 공연학,연극학,공연,거리예술,연극,거리극,축제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연극의 한 양태로 출발하여 근래 그 범위와 영향력을 점점 더 확산해 나가고 있는 '거리극 (street theatre, theatre de rue)'의 공연양상을 대상으로 그 본질적인 특성, 심미적인 효과 및 기능을 규명해 봄으로써 거리극의 보다 창조적인 창작과 수용, 그를 통한 현대 도심의 삶에 대한 개혁에 기여하고자 한다.1970년 대 부터 본격적으로 공연되기 시작한 거리극은 연극이 이룩한 정형적 실내 극장 무대 및 극장 제도와 그 공연미학의 틀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의도에서 출발한다. 즉 거리극은 공간적 자유 뿐 아니라 공여느이 형식과 미학적 특성에 있어서도 비관습적 공연 공간에서의 비관행적 공연을 총괄하는 개념으로 확장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거리극이라는 특정한 앵상의 공연이 기존의 공연예술의 정형적 틀로부터 어떻게 벗어나면서도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 그리고 공연의 각요소 별로 어떠한 특성을 가지는지, 수용과정에서의 심미적, 문화적 기능과 작용은 어떠한지 등에 대한 다각도의 분석과 심층적 이해를 통하여 거리극의 공연미학적 특성을 포괄적으로 파악해 보았다.
    이는 다음과 같은 세부적 연구과정을 통하여 진행되었다. 첫째, 거리극의 본질적 특성을 연극의 역사로 부터 확인해 본다. 그리고 근래 유럽을 중심으로 발현한 현대 거리극의 발전 과정을 정치적, 사회적 맥락에서 고찰해 보면서 거리극의 개념을 명확히 한다. 둘째, 거리극의 공연양상을 공연미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거리극이 기존의 정형화된 공연예술의 형태에서 어떻게 벗어나 있는지, 공연의 요소 별로 점검해 보고 거리극 공연의 특성을 이론적으로 규명한다. 세째, 거리극의 공연이 제공하는 관객에 대한 심미적 효과와 공연의 사회적 환경에 대하여 제공하는 문화운동적 기능을 규명한다.이러한 연구 과정은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의 거리극 공연의 실례와 우리나라에서 제작된 몇편의 거리극에 대한 관찰과 분석을 통하여 뒷받침되고 있다.
    거리극에 관한 연구는 국내 뿐 아니라 국외에서도 어직 뚜렷한 연구성과가 축적되어 있지 못한 상황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의 공연예술계와 연극학계 및 국외의 연극학계에 새로운 창작과 연구 분야에 대한 전문적 연구작업으로서의 기여를 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영문
  • Cette tude vise d' claircir les caract res esth tiques et les fonctions sociales du th tre de rue afin de contribuer sa r ception et sa cr ation en tant que l'essai de la r novation de la vie urbaine de notre poque. Le th tre de rue prend son d part aux ann es soixante-dix en essayant de surmonter le cadre conventionnel de la salle et de l'institution du th tre moderne. Le th tre de rue peut comprendre tous les essais du th tre non seulement dans l'espace non-conventionnel mais aussi en forme non-conventionnelle. Cette tude essaie d'analyser les caract res essentiels et esth tiques que r v lent les spectacles du th tre de rue et les fonctions esth tiques et sociales en obsevant de pr s les exemples vari s du th tre de rue. Cet essai a trois tapes du travail: la premi re est le travail historique qui permet de situer le th tre de rue en courant historique du th tre. La deuxi me est l'analyse de chaque l ment du th tre des spectacles vari s du th tre de rue. La troisi me est est l'analyse de l'effet esth tique et la fonction sociale et culturelle du th tre de rue. Les travaux de ces trois tapes nous m nent constater que le d -stylisation est le trait caract risque du th tre de rue. Il n'y a pas assez d' tudes acad miques du th tre de rue ni en Occident ni en Cor e. Nous souhaitons que ce travail peut contribuer la compr hension du nouveau genre du th tre et la production cr ative du th tre de rue en Cor e; par la m me la vie urbaine de notre soci t pourra reprendre la richesse culturelle et le r ve fantastiqu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연극의 한 양태로 출발하여 근래 그 범위와 영향력을 점점 더 확산해 가고 있는 '거리극(street theatre, theatre de rue)'의 공연 양상을 대상으로 그 본질적인 특성, 심미적인 효과 및 사회적 기능을 규명해 봄으로써 거리극의 보다 창조적인 창작과 수용, 그를 통한 현대 도심의 삶에 대한 문화적 개혁 등에 기여하고자 한다.
    1970년 대 부터 본격적으로 공연되기 시작한 거리극은 연극의 역사가 이룩한 정형적 실내 극장 무대 및 극장 제도와 그 공연미학의 틀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의도에서 출발한다. 즉 거리극은 공간적 자유 뿐 아니라 공연의 형식과 미학적 특성에 있어서도 비관습적 공연공간에서의 비관행적 공연을 총괄하는 개념으로 확장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거리극이라는 특정한 양상의 공연이 기존의 공연에술의 정형적 틀로 부터 어떻게 벗어나고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 그리고 공연의 각요소 별로 어떠한 특성을 가지는지, 스용과정에서의 심미적, 문화적 기능과 작용은 어떠한지 등에 대한 다각도의 분석과 심층적 이해를 통하여 거리극의 공연미학적 특성을 포괄적으로 파악한다.
    이는 다음과 같은 세부적 연구를 포괄하고 있다. 첫째, 거리극의 본질적 특성을 연극의 역사로 부터 확인해 본다. 그리고 근래 유럽을 중심으로 발현한 현대 거리극의 발전과정을 정치적, 사회적 의미와 함께 고찰해 보면서 거리극의 개념을 명확히 한다. 둘째, 거리극의 공연양상을 공연미학적인 시각에서 분석하여 기존의 정형화된 공연예술의 형태에서 어떻게 벗어나 있는디, 공연의 요소 별로 점검해 보고 거리극 공연의 특성을 이론적으로 규명한다. 세째, 거리극의 공연이 제공하는 관객에 대한 심미적 효과와 공연의 사회적 환경에 대하여 제공하는 문화운동적 기능을 규명한다.
    이러한 연구의 과정은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의 거리극 공연의 실례와 우리나라에서 제작된 몇편의 거리극에 대한 섬세한 관찰과 분석을 통하여 뒷받침되고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거리극에 관한 연구는 국내 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아직 뚜렷한 연구 성과가 축적되어 있지 못한 상황이다. 유럽에서 거리극 축제 등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공연되고 있으나 이론적 규명작업이 제한적으로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는 여러 모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우리나라 공연에술계와 연극학계에 거리극 장르에 대한 전문적 소개를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세계의 연극학계에도 거리극의 공연양상에 대한 새로운 학문적 성과로서 소개될 만한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는 완료형 사례와 자료 중심적 학문 경향에서 탈피하여 현재 진행 중인 거리극의 역동적 창작활동과 그 변화 과정에 일익을 담당함으로써 동시대 세계연극의 한 흐름에 동참하면서 그 미래를 모색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에서도 거리극의 본격적 창작활동이 활발하게 전개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위축되어 가고 있는 국내 연극 창작의 현장과 황폐한 도심의 삶에 문화적 풍요가 넘쳐날 수 잇기를 기대해 본다.
  • 색인어
  • 거리극, 공연양상, 탈정형성, 사회성, 문화운동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