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불교생태학에 있어서 존재의 평등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교수연구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4-003-A00069
선정년도 2004 년
연구기간 1 년 (2004년 07월 01일 ~ 2005년 07월 01일)
연구책임자 안옥선
연구수행기관 순천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주지하다시피 현재 인류가 처한 생태위기, 빈부격차, 국가/계층 간 갈등 등의 문제는 우리의 세계관과 삶의 방식에 대한 근본적 성찰을 요구하고 있다. 미래의 번영은 현재 추구되고 있는 것과 같은 한 개인만의, 한 국가만의, 인간 종만의 번영이 아니다. 그것은 전체의, 모든 국가의, 모든 종의 번영이어야 한다. 뭇 존재의 생성과 소멸을 상호적인 관계․연관․의존 속에서 파악하는 공생의 전일적(holistic) 패러다임에 대한 연구가 요청되는 까닭이 바로 여기에 있다.
    전일적 패러다임의 한 유형으로서 생태학은 본래 생물개체를 군집으로 이해하는 생물학의 한 방법론이었으나, 오늘날은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그 기본 아이디어가 활용되고 있다. 생태학의 관계적, 시스템적, 전일적 존재이해의 개념이 다양한 학문영역에서 공유되고 있는 것이다. 과학에서의 체계이론, 인문학에서의 에코페미니즘, 심층생태학, 사회생태학 등이 일례일 것이다.
    미래문명 패러다임으로서 전일적 패러다임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한 과정을 통해 보다 온전한 전일적 패러다임 정립이 가능할 것이기 때문이다. 불교생태학에 대한 연구와 정립이 필요한 까닭도 여기에 있으며, 그 접근 또한 다양해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불교생태학(Buddhist Ecology)’은 응용불교학의 한 분야로서, 불교 고유의 전일적 패러다임을 생태학적 관점에서 설명하려는 분야라고 할 수 있다. ‘불교생태학’은 아직 구성중인 개념으로 정의가 통일된 개념이 아니다. 또 이 말의 성립자체에 대한 회의적 비판도 없지 않다. 그러나 그 중심내용이 존재들의 ‘관계’ 방식을 밝혀서 인간을 포함한 뭇 존재들이 조화롭게 사는 방식을 제시코자 하는데 있다는 데는 누구나 동의할 것이다. 특히, 전일적 패러다임의 한 유형으로서 불교생태학은 전일적 패러다임이 요청되는 이유제시에 그치지 않고, 요청되는 전일적 패러다임이 ‘어떠한’ 유형이어야 하는지, 존재들간 ‘어떠한’ 관계맺음이어야 하는지, 또 그것은 어떻게 실천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 독특한 입장을 견지한다.
    본 연구는 전일적 패러다임의 한 유형으로서 불교생태학에 대한 이상과 같은 연구의 필요성 인식에서 출발한다.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거시적으로는 불교적 관점의 전일적 세계관과 삶의 방식을 제시하고, 미시적으로는 생태위기의 문제에 대한 불교생태학적 원인과 해소방안을 밝히는데 있다. 방법론적으로는 ‘평등’의 관점에서 문제를 분석하고 그 해결법을 제시해 보려는데 있다. 특히 본 연구는 지금까지 연구들과 달리, 불교 특유의 생태학을 평등의 개념으로 설명해 보려는 목표를 갖는다. 그리하여 심층생태학이나 불교생태학이 내포하고 있는 문제―예컨대 인간종에 대한 우선배려를 정당화하기 어려운 전체주의적/등가적 평등론이 갖는 문제―를 ‘차이존중의 평등’ 개념을 제시함으로써 해소해 보고자 한다.
  • 기대효과
  • 학문적으로는, (1) 거시적으로는 불교적 관점에서 본 전일적 패러다임을 제시함으로써 인류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하나의 미래문명 패러다임을 모색한다. 미시적으로는 보다 정교하고 구체적인 불교생태학의 정립에 기여한다. (2) ‘평등’ 개념을 통해 불교생태학에 접근함으로써, 불교생태학에 대한 하나의 새로운 해석을 시도한다. (3) 불교가 추구하는 진정한 ‘평등’의 의미를 밝힌다. 더 나아가서 인간중심주의적인 평등개념을 탈피한 범존재 존중적 평등개념을 제시함으로써 ‘평등’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실천적으로는, (1) 인간이 세계와 관계 맺는 올바른 방식의 일례를 제시함으로써, 생태문제에 대한 불교적 해법을 제시한다. (2) 불교생태학은 궁극적으로 인간의 의식과 삶의 양식의 전환을 위한 구체적 방법에 대한 제시이므로, 본 연구는 환경운동의 철학적 근거를 다지는 데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3) 생태교육 자료와 교육관련 콘텐츠 개발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1)연구요약: 연구자는 불교생태학의 두 축을 연기와 자비로 이해하고, 연기와 자비를 중심으로 불교가 제시하는 존재들간 관계의 속성을 존재의 ‘평등한’ 실상과 삶에 대한 비젼으로서 해석하려고 한다. 불교생태학을 ‘평등’의 개념으로 접근할 때 관건이 되는 것은 ‘평등’의 의미와 그 실천이 갖는 의미가 무엇이냐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불교생태학적 관점에서 평등의 의미와 근거, 그리고 그 실천론을 밝히는데 주력할 것이다.
    글을 구성해 가는 방식은 ‘생태위기’의 원인과 해소를 논구하는 방식이다. 즉 불교생태학적 관점에서, 생태위기는 평등한 존재실상에 어긋난 인간의 반평등적 행위나 삶에서 비롯된 것이므로 그 해소는 당연히 평등적 행위의 회복에 달려 있다고 생각된다. 구체적인 내용은 크게 네 부분으로 나뉘어 구성될 것이다.
    1장의 ‘불교생태학의 의미’에서는 불교생태학의 의미를 규정하고 불교생태학의 핵심을 개략적으로 밝힌다. 불교생태학을 ‘생물과 무생물의 전존재가 경계 없이 이루는 하나의 전일적 생명과정에 대한 불교의 입장’이라고 규정한다. 불교생태학의 핵심은 생태위기가 전일적 생명과정에 어긋난 인간의 태도에서 비롯되었으므로, 이러한 생명과정에 합치하는 삶을 회복함으로써 위기극복이 가능하다고 본데 있다.
    2장의 ‘불교생태학의 관점에서 존재 평등의 의미와 그 인식적 근거’에서는 ‘평등’을 의미하는 팔리어 ‘samānatta’의 의미 분석과 세 가지 형태의 버려야할 자만(열등, 우월, 같음)에 대한 성찰을 통해서 ‘뭇 존재의 차이 인정․존중으로서의 평등’의 의미를 밝혀낼 것이다. 더 나아가서 ‘연기공식’과 ‘쾌추구 고회피’라는 유정의 보편속성에 대한 붓다의 입장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이러한 평등개념의 인식적 근거를 밝히고자 한다.
    3장의 ‘생태위기의 원인으로서 인간의 반평등적 행위/마음’에서는 뭇 존재의 평등에 배치되는 인간의 삶의 방식(반평등적인 행위/마음인 탐진치의 행위와 마음)에 대한 붓다의 입장을 살펴볼 것이다. 연구자는 생태위기를 야기하는 반평등적 삶을 주관과 대상, 혹은 인간과 자연의 ‘불이(不二 )’를 실천하지 못한 삶으로 설명할 것이다. 이를 위해 “업/행위에 의해 세계와 인간이 존재한다”, “세계는 마음작용의 표현이다”, “일체는 12입처이다” 등의 교설이 집중적으로 분석될 것이다.
    4장의 ‘생태위기의 치유법으로서 평등적 행위의 실천’에서는 평등을 실천하는 구체적 방법인 탐진치 지멸의 마음과 탐진치 지멸의 청정행으로서 불살생(ahiṁsā), 자비(karuṅā), 자애(mettā) 등에 관해서 검토할 것이다. 평등실천의 방법으로서 이 세 가지는 인간과 유정은 물론 세계의 모든 존재에게 적용되는 개념임을 밝히고, 그 핵심이 인간 개개인의 성품의 전환에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그리고 자애/자비의 성품의 사람이 되는 것이 뭇 존재의 평등을 실천하는 것이며, 이것이 바로 불교생태학의 한 특징임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 같은 논의를 통해 주장하려는 바를 간추리면 다음과 같다. 현재의 생태위기는 반평등적 삶의 양식―삼독심(三毒心) 혹은 신구의(身口意) 불청정의 삶―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그 해소는 평등한 삶의 실천에 의해서 가능한데 그 구체적 방법은 자비, 불살생, 자애의 실천이다. 이러한 평등적 삶, 즉 전일적 한 생명(one holistic life)을 이루는 모든 구성원을 ‘나와 같이’ 존중하는 삶이 바로 불교생태학의 본질이다.
    (2)본 연구의 특징: 본 연구는 ‘불교생태학’이라는 주제를 다루되, 지금까지의 국내외의 논의들과는 달리 ‘평등’의 개념으로 접근한다는데 그 특징이 있다. 특히 연구자가 해석하는 ‘평등’은 ‘뭇 존재들이 똑같다’는 식의 무구별적 평등이 아니라, 차이를 인정/존중한 ‘평등’이기 때문에, 보다 실천적인 평등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지금까지의 해석과 달리, 불교생태학이 ‘뭇 존재평등을 주장하는 단순한 전일적 세계관’ 이상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여타의 생태학이 내포하고 있는 ‘존재의 무구별적․등가적 평등론’의 한계도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3)연구방법과 기존 연구성과 활용: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텍스트에 의존하는 문헌적 방법과 주요 불교개념들의 해석에 의존하는 해석학적 방법을 활용한다. 활용될 1차 문헌은 남방부 전승의 팔리어 초기불교경전이다. 기존의 연구로는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중심의 연구(예컨대 박경준과 고영섭), 메시를 중심으로 한 그린불교(Green Buddhism) 이론, 슈미타우젠과 스폰버그의 입장을 참조한다.
  • 한글키워드
  • 존재존중,초기불교윤리,자애(mettā),전일적 한 생명(one holistic life),응용불교(applied Buddhism),불살생(ahiṁsā),평등(samānatta),12입처(āyatana),18계(dhātu),육근수호(saḷindriyagutti),탐진치 지멸,신구의 청정(visuddhi),불교생태학(Buddhist ecology),자비(karuṅā),연기(paṭiccasamuppāda)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