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s

연구과제 상세정보

창의성 루브릭 개발 과정이 아동의 메타인지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메이킹북 프로그램을 기초로(The Effects of Designing Rubrics for Creativity on Young Children's Metacognition and Creativity : Based on Making-Book Program)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박사후연수과정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4-037-B00075
선정년도 2004 년
연구기간 1 년 (2004년 11월 01일 ~ 2005년 10월 31일)
연구책임자 변윤희
연구수행기관 연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목표은 (1) 아동의 평가자로서 역할에 대한 교육 현장의 인식과 아동에 대한 교육 평가의 실태을 살펴보고, (2) 메이킹북 프로그램 수행 과정을 기초로 창의성 루브릭(Rubrics, 평가기준)을 개발하여 이것이 아동의 메타인지(metacognition)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3) 유아와 교사에 의해 개발된 루브릭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살펴보는 것이다.
  • 기대효과
  • 본 연구가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을 때 예상되는 기대 효과 및 파급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루브릭의 개발과 수집은 수준별 교육과정을 만드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둘째, 다양한 루브릭을 개발함으로써 이미 개발된 루브릭을 분석․평가․기술하기 위한 메타-루브릭(meta-rubric)의 개발이 가능하다. 셋째, 교사는 루브릭을 제작하고 평가하는 과정을 통해서 평가자이자, 교육과정의 설계자 겸 운영자로서의 전문적 자질을 키울 수 있다. 넷째, 교육지식경영(knowledge management of education) 차원에서 교사를 위한 루브릭 인터넷 사이트를 개발할 수 있다. 교사는 인터넷을 통하여 루브릭을 개발하는 것을 안내받고, 개발된 루브릭은 이 사이트를 통해 수집되고 관리되어 지식 창고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섯째, 평가기준을 구성하는 능동적인 평가자로서의 유아와 초등학교 저학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통하여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여섯째, 창의성을 메타인지와 연관지어 살펴봄으로써, 창의성에 대하여 심리학적이고 교육학적인 관점에서 새롭게 접근해 볼 수 있도록 한다. 일곱째, 아동의 메타인지에 대한 범위를 넓히고 새로운 연구방법에 의한 후속 연구를 파생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의 목적은 (1) 아동의 평가자로서 역할에 대한 교육 현장의 인식과 아동에 대한 교육 평가의 실태을 살펴보고, (2) 메이킹북 프로그램 수행 과정을 기초로 창의성 루브릭(Rubrics, 평가기준)을 개발하여 이것이 아동의 메타인지(metacognition)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3) 유아와 교사에 의해 개발된 루브릭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음의 연구 1, 2, 3을 수행하고자 한다.

    <연구1> 평가자로서의 아동의 역할과 아동 평가에 대한 교육 현장의 인식 및 실태 조사:

    연구 대상은 전국의 유아교사 200명과 초등학교 저학년 담임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방법을 사용하여 실시한다. 설문에 포함할 내용은 아동 평가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평가자로서 아동의 능동적 역할이 고려되고 있는지, 평가기준을 만드는데 아동이 참여하는 지, 평가의 전에 평가기준이 제시되고 있는 지 등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설문을 통하여 현재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아동평가와 아동의 역할에 대해 살펴볼 수 있다.

    <연구 2> 메이킹북 프로그램 수행 과정을 기초로 창의성 루브릭(Rubrics, 평가기준)의 개발과 아동의 메타인지(metacognition)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Arts PROPEL의 지각->제작->반성의 과정을 틀로 하여 반성의 과정에서 루브릭을 만들고 이를 통해 평가하는 활동을 포함하는 메이킹북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이 프로그램은 언어와 미술이라는 두가지 상징기호를 통하여 아동이 자신의 개념과 이야기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그림책 만들기 프로그램이다. 이를 만 5세와 만 7세 아동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시하고 사전과 사후 창의성 검사를 통한 양적 분석과 메타인지 척도와 포트폴리오 분석을 통한 질적분석을 사용하여 아동의 메타인지와 창의성의 변화를 살펴본다.

    <연구 3> 유아와 교사에 의해 개발된 루브릭의 신뢰도와 타당도:

    메이킹북 프로그램의 실시과정에서 교사와 아동에 의해 개발된 루브릭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TTCT, KK-MIDAS와의 상관을 통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다.
  • 한글키워드
  • 창의성 메타인지 루브릭 메이킹북 교육평가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평가에 대한 교육 현장의 인식을 살펴본 후, 메이킹북 프로그램 수행 과정을 기초로 창의성 루브릭(Rubrics, 평가기준)을 개발하고 이것이 아동의 메타인지(metacognition)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 1]에서 유치원 교사 186명과 초등학교 교사 15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으며, 그 결과로 첫째, 아동이 평가와 평가 준거 개발에 참여하는 것이 어느 정도 필요하고, 이러한 것이 아동의 발달에 어느 정도 도움을 줄 것이라 반응하였고, 둘째, 루브릭에 대해서 전혀 모르거나 들어본 적이 있는 정도였으나, 루브릭의 개념에 대한 설명을 읽고 나서는 루브릭 평가의 결과를 신뢰할 수 있을 것이라 대답하였고, 셋째, 유치원의 경우에는 창의성 평가의 실시 유무의 비율이 비슷하였으나, 초등학교의 경우에는 실시하지 않는 것이 93.5%로 매우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이는 교육과정의 목표에서 창의성 개발을 강조하는 것과는 대비되는 결과로서 교사가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창의성 평가의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또한 [연구 II]에서는 Arts PROPEL(Winner, 1991), rubric((Goodrich, 1996), 책만들기 활동(Johnson, 1993)을 기초로 창의설 루브릭 개발 과정을 포함하는 메이킹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메타인지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창의성 루브릭 개발과정을 포함하는 메이킹북 프로그램은 메타인지와 창의성 증진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가지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평가 참여와 창의성 평가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나 이에 대한 정보의 부족으로 실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태를 밝히었으며, 이를 위한 연구들과 프로그램들이 교육현장에 보급되어야 함을 제시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둘째, 그동안 교육현장에서 사용되지 않은 북아트를 활용한 다양한 책만들기 활동을 개발하여 제시하고 이러한 활동이 메타인지와 창의성 증진에 효과적임을 밝히어서 다양한 교육활동의 영역을 개척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survey the teachers' awareness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in the educational scene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designing rubrics of creativity on young children's metacognition and creativity through the activities of Making-book Program.
    In Study I, the questionnaire for 186 preschool teachers and 153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administr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s positive participation in both performance assessments and criteria developments was somewhat necessary, and that would be helpful to young children's development. Second, ones who had never heard of the rubrics, one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tools, or known about it just a little admitted that the rubrics would be an effective tool to measure creativity in young children. Third, in the case of preschool, almost 50 per cent of the teachers examined young children's creativity. But, 93.5 per cent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swered that they didn't examine young children's creativity. This result suggested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the more useful and easier tool to measure creativity in young children.
    In Study II, Making-book Program based on Arts PROPEL(Winner, 1991), rubric(Goodrich, 1996) and Making-book Activities (Johnson, 1993), which includ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rubrics of creativity, was developed. And then, the effects of designing rubrics of creativity on young children's metacognition and creativity was examined. As a result, Making-book Program includ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rubrics of creativity was significantly effective in enhancing young children's metacognition and creativity.
    In Sum, this paper has the significant results as the following: First, even though most of the teachers admitted that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in performance assessment as well as a test for young children's creativity was necessary, they didn't carry out it properly because of the lack of the information. It suggested that more researches and programs to improve the educational scene should be carried out. Second, the various activities of Making-book Program made the best use of Book Art was developed, and its effects in boosting the young children's metacognition and creativity was demonstrat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평가에 대한 교육 현장의 인식을 살펴본 후, 메이킹북 프로그램 수행 과정을 기초로 창의성 루브릭(Rubrics, 평가기준)을 개발하고 이것이 아동의 메타인지(metacognition)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 1]에서 유치원 교사 186명과 초등학교 교사 15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으며, 그 결과로 첫째, 아동이 평가와 평가 준거 개발에 참여하는 것이 어느 정도 필요하고, 이러한 것이 아동의 발달에 어느 정도 도움을 줄 것이라 반응하였고, 둘째, 루브릭에 대해서 전혀 모르거나 들어본 적이 있는 정도였으나, 루브릭의 개념에 대한 설명을 읽고 나서는 루브릭 평가의 결과를 신뢰할 수 있을 것이라 대답하였고, 셋째, 유치원의 경우에는 창의성 평가의 실시 유무의 비율이 비슷하였으나, 초등학교의 경우에는 실시하지 않는 것이 93.5%로 매우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이는 교육과정의 목표에서 창의성 개발을 강조하는 것과는 대비되는 결과로서 교사가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창의성 평가의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또한 [연구 II]에서는 Arts PROPEL(Winner, 1991), rubric((Goodrich, 1996), 책만들기 활동(Johnson, 1993)을 기초로 창의설 루브릭 개발 과정을 포함하는 메이킹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메타인지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창의성 루브릭 개발과정을 포함하는 메이킹북 프로그램은 메타인지와 창의성 증진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가지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평가 참여와 창의성 평가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나 이에 대한 정보의 부족으로 실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태를 밝히었으며, 이를 위한 연구들과 프로그램들이 교육현장에 보급되어야 함을 제시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둘째, 그동안 교육현장에서 사용되지 않은 북아트를 활용한 다양한 책만들기 활동을 개발하여 제시하고 이러한 활동이 메타인지와 창의성 증진에 효과적임을 밝히어서 다양한 교육활동의 영역을 개척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동 평가의 실태 - 첫째, 아동이 평가와 평가 준거 개발에 참여하는 것이 어느 정도 필요하고, 이러한 것이 아동의 발달에 어느 정도 도움을 줄 것이며, 둘째, 교육 현장에 루브릭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나, 교사와 아동에 의해 실시되는 루브릭 평가 결과의 신뢰도에는 긍정적이었으며, 셋째, 유치원의 경우에는 창의성 평가의 실시 유무의 비율이 비슷하였으나, 초등학교의 경우에는 실시하지 않는 것이 93.5%로 매우 높은 비율이었다. (2) 창의성 루브릭 개발과정을 포함하는 메이킹북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이 프로그램은 메타인지와 창의성 증진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의 활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평가 참여와 창의성 평가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나 이에 대한 정보의 부족으로 실행되지 못하고 있기에 교사가 교육 현장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창의성 평가 도구 개발의 의의를 제공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이것은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창의성 평가 도구와 척도의 개발 연구들을 촉진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둘째, 그동안 교육현장에서 사용되지 않은 북아트를 활용한 다양한 책만들기 활동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이렇게 개발된 교육 활동들은 교육현장에 적용되어 아동에게 다양한 경험을 통해 메타인지와 창의성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연구 결과를 확대 발전 시켜 새로운 교과간 통합을 위한 활동으로 적용할 수 있다. 셋째, 창의성 평가 루브릭 개발 과정이 메타인지와 창의성 영향을 미침을 밝히면서 창의성과 메타인지가 상관이 있음을 밝히었기에 이 두 요인간의 관계를 탐색하는 다양한 연구들을 촉발할 수 있다.
  • 색인어
  • 루브릭, 메타인지, 창의성, 메이킹북 프로그램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