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s

연구과제 상세정보

북한이탈주민을 활용한 학교 통일교육 프로그램 개발 - 대구와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협동연구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4-042-B00007
선정년도 2004 년
연구기간 1 년 (2004년 12월 01일 ~ 2005년 11월 30일)
연구책임자 배한동
연구수행기관 경북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성장환(대구교육대학교)
이정희
이희갑(대구광역시교육청)
김영하(경북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과제는 급속히 늘어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들을 학교 통일교육의 요원(강사)으로 활용하는 수업 모듈들을 개발하고, 교육현장에서 이를 직접 검증함으로써 학교 통일교육의 수월성이나 효율성을 확보하고자 하는데 일차적인 목적을 두고 있다. 다양한 자원이나 배경을 보유하고 있는 이들 가운데 통일교육의 요원을 선발하여 이를 적극적으로 교육현장에 투입함으로써 최근 사회문제로 부상하고 있는 이들의 남한사회에서의 체제 부적응 문제를 해소하는 하나의 해법으로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이들에게 직접적으로 경제적 도움을 주는 것뿐만 아니라 자신의 대사회적 역할에 대한 자긍심을 심어줌으로써 남한 사회의 건전한 일원으로 거듭 태어나도록 하기 위한 청사진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취업이나 체제 적응 프로그램이 장기적인 시각에서 조속히 개편되어야 하겠지만, 가장 단기간에 남한 사회에 이들이 기여할 수 있는 무엇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북한이탈주민의 위치에서 객관적인 북한의 실상을 전달하는 것이라고 본다. 우리 사회 전반에 걸쳐 시들고 있는 통일의지를 고취시키는 등 통일교육의 전령사가 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아쉽게도 현재 우리 학계에는 본 연구과제에 대한 선행연구가 없다. 최근 북한이탈주민들이 큰 폭으로 증가하여 2004년 6월 현재 5,170명이 넘어가고 있는 시점에서, 이들의 남한 사회에서의 체제 부적응의 문제가 대두되는 가운데 이제 이들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접근방법이 필요하다고 본다. 즉, 북한이탈주민들은 하나의 수동적인 관리의 대상이 아니라 이들이 능동적으로 우리 사회의 통일교육의 장에서 활동할 수 있는 자원이 될 수 있다는 인식도 그 한 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우리 사회의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노정되고 있는 통일의지의 약화 추세의 현실을 비추어보면, 현행의 학교 통일교육이 아직도 구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은 마땅하다고 본다. 그러므로 북한이탈주민을 활용한 학교 통일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본 연구과제는 학교 통일교육의 현장에 학생들의 흥미를 불러일으키고 통일의지를 고취시키는 등 신선한 충격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사회 통일교육에로의 확산이라는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본다.
  • 기대효과
  • 1) 학문발전 공헌도

    본 연구과제의 연구진들은 그동안 지역사회의 북한이탈주민들에 대한 방대하고 심층적인 면담조사가 이루어져 많은 자료들이 축적되어 있고, 활발한 인적 교류를 추진해 온 「북한이주민지원센터」와 유기적인 연대를 형성해 왔다. 특히, 본 연구진이 이 센터의 상담원들을 연구보조원으로 활용하는 등 이들의 노하우를 최대한 흡인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큰 연구성과가 기대된다. 아울러 공동연구자들이 지역사회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통일교육관련 민간단체(NGO)와도 깊은 유대를 형성하고 있는 점도 본 연구과제 수행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뿐만 아니라 북한 및 통일 분야(특히, 통일교육)에 대한 경험적인 연구업적이 많은 본 연구진의 강점과 지역사회의 일선 교육현장의 풍부한 경험을 공유하고 있는 교육청의 공동연구원들(공동연구원 병과 정)과 결합함으로써 본 연구과제의 수월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따라서 현장의 실무 경험들이 학계로 흡인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도 본 연구과제에서는 북한이탈주민들을 활용한 학교 통일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정에서 여러 가지 교수방법(브레인스토밍방법 등)들이 검토된다는 점에서 통일교육의 방법론적 쇄신을 통해 학계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2) 대사회 기여도

    본 연구과제의 수행 결과로 인해 얻을 수 있는 성과 가운데는 첫째, 앞서 북한이탈주민들에게 정신(심리)적, 물질적으로 안정된 생활의 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큰 의의가 있다. 특히 최근에 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 사회 체제 부적응 문제가 사회문제로 부상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본 연구과제는 매우 시의적절하다고 생각된다. 이들 가운데 우수한 인적자원들이 방치되는 것이 아니라 재개발되어 우리 사회에 시급히 요청되는 통일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측면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수도권 편중을 지양할 수 있는 즉, 지역사회에 분산 배치시키려는 현재의 북한이탈주민들에 대한 정부 정책에도 일정 부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지역사회의 북한이탈주민들이 갖고 있는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지역사회의 특성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앞으로 다른 지역들에 미칠 효과를 고려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 연구요약
  • 북한이탈주민을 활용한 학교 통일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는 본 연구과제는 크게 4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수행하고자 한다.
    첫째, 제2장의 ‘북한이탈주민의 통일교육 활용 가능성 분석’에서는 먼저, 북한이탈주민의 성, 연령, 학력, 직업, 경력 및 남한 사회에서의 거주 기간, 거주 형태, 가족관계 등 여러 객관적인 기초 D/B[데이터베이스] 자료들을 수집 분석할 것이다. 이것은 이들의 자원을 토대로 통일교육에 활용하기 위하여 여러 각도에서 분석해 볼 필요성 때문이다. 즉, 이 기초자료를 토대로 이들의 통일교육 강사로서의 활용 가능성(능력)을 측정해 보고자 한다. 그 다음으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재사회화 과정 및 남한 사회에의 체제 적응 실태 분석을 위해서는 하나원을 비롯하여 민간단체의 교육과정․훈련 과정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을 것이다. 이는 본 연구진이 이들의 남한 사회에서의 체제 적응 여부를 직접 조사하기 위한 사전 작업이다. 그리고 나서 북한이탈주민들을 대상으로 체제 적응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조사 등의 개별면담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할 것이다. 이 프로그램에 대한 낮은 만족도를 예상하면서 그 대안의 하나로서 본 연구의 제4장에서 본격적으로 논의될 통일교육 자원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특히 이 장에서는 과연 북한이탈주민들이 통일교육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가의 문제의식 속에 이에 대한 경험적인 자료의 분석을 통해 그것을 입증해 내고자 설계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개별면담조사를 실시하여 이들이 북한사회와 통일문제에 대하여 어떤 인식구조를 갖고 있는지를 조사하고 이들이 통일교육 강사로서의 기회가 주어졌을 때 참여의사가 있는지 등 통일교육 프로그램의 운영에 대한 이들의 주관적인 평가도 함께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은 이들과 긴밀한 인간관계를 형성해 온 「북한이주민지원센터」나 관련 시민단체(NGO) 등의 협조없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그런 의미에서 본 연구진은 이 센터나 시민단체와의 그간의 교분을 십분 활용할 것이며 아울러 이 센터의 상담원들 가운데서 연구보조원이나 개별면담조사의 조사요원으로 활용할 것이다. 이를 통해 북한이탈주민들 가운데 통일교육에 활용할 자원들의 특성들은 어떠한 경향을 띠는지 종합적으로 평가해 보고 그 결과를 진술하게 될 것이다.
    둘째, 제3장에서는 통일교육의 피교육자들인 각급 학교 학생들이 북한사회에 대해 어떤 인식을 하고 있으며, 통일문제에 대해 어떤 의식구조를 갖고 있는지 의식조사를 통해 분석해 볼 것이다. 그리고 통일교육과 관련하여 그 목표, 내용, 방법 그리고 평가 등에 대해서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 지에 대해 분석할 것이다. 다시 말해 각급 학교별로 학생들이 어떤 통일교육을 원하고 있는지 수요자 중심의 의식구조를 살펴 보고자 하는 것이다. 나아가서 북한이탈주민을 활용한 통일교육 프로그램의 활용 방안에 대한 의견도 분석의 대상에 포함시킬 것이다. 이러한 작업들은 모두 통일교육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기초 자료들로 활용될 것이다.
    셋째, 제4장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의 통일교육 프로그램을 초․중등․대학교별로 세분하여 각각 개발하고 실제 교육현장에서 적용한 후 문제점들을 평가하여 그 활용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특히 초․중등교육과정은 현행 제7차 교육과정상의 교육내용을 충분히 반영하면서도 제8차 교육과정에 대비한 북한이탈주민을 활용한 모듈(표준교안, 학습지도안)을 개발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통일교육관련 문제점들을 최대한 반영하는 새로운 통일교육 방향 즉, 통일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 그리고 평가(피드백)에 이르는 항목들을 모두 점검하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 북한 및 통일관련 교과과정과 함께 교재 내용에 대한 분석을 실시할 것이다. 그리고 대학의 경우 교양강좌를 가상하여 표준교안이 모색될 것인데 역시 관련 교양강좌의 강의계획서들을 수집하여 비교 분석해 볼 계획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진 가운데 일부는 이에 대한 선행연구가 이미 확보되어 있어서 각 대상별 표준교안의 개발에 많은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 때 개발될 표준교안은 북한이탈주민들이 통일교육의 주체(강사 등)가 되어 활용된다는 점을 전제한 것인데, 여기서는 수업 내용과 교수방법 및 평가방법 등도 함께 고려될 것이다. 특히, 교수방법과 관련하여서는 북한이탈주민이 참여하는 브레인스토밍, 직소우(jigsaw)토의모형, 집단탐구방법, 비교분석 방법, 가치갈등수업모형, 토론식 수업, PMR방법, 웹(Web)기반교육 등 다양한 교수학습 모형들을 고려하도록 설계할 것이다. 한편, ‘북한이탈주민의 통일교육 프로그램 적용과 피드백’ 결과도 진술될 것이다. 초․중등 및 대학 등 각 대상별로 개발된 프
  • 한글키워드
  • 통일의지,통일관,교육프로그램,통일,교수학습법,통일교육,북한이탈주민,탈북자,학교통일교육,북한,표준교안,북한사회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분단이 장기화되면서 통일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이 젊은 층을 중심으로 확산되는 경향 특히, 점점 더 통일에 대한 의지가 줄어들고 있고, 그런 가운데 남한과 북한 사이의 사회문화적 이질화는 가속화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통일을 이루어가는 과정뿐만 아니라 훗날 통일이 되었을 때, 하나의 사회로 통합되는데 따른 혼란을 줄여줄 수 있는 해법의 실마리를 우리와 더불어 지역사회에서 삶의 터전을 찾아가고 있는 북한이주민들을 통해 제시해 보고자 한다. 지역사회 단위의 선행 조사연구가 없는 가운데 본 연구는 대구지역에 거주하는 104명의 북한이주민들의 적응 실태를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각도로 분석하고 문제점 및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분석 결과를 통해 우리 사회의 통일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중점적으로 논의하면서 학교 통일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자원(강사)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대구와 경북지역의 초⋅중등 및 대학교를 각각 1개교씩 선정하여 이들 학생들에게 북한이주민을 활용한 통일교육 프로그램(수업지도안)을 개발하고 적용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학생들의 통일교육관련 수업에 대한 관심도 내지 흥미도가 높게 나타났고 수업의 효율성 또한 제고된 것으로 설문조사 결과 나타나고 있다. 이는 본 연구가 의도하였던 북한이주민을 활용한 통일교육 프로그램의 적실성이 입증되었다는 종합적 평가를 제시하기에 충분할 것이다. 다만, 프로그램의 적용 기간이 짧고 수업 준비과정이 다소 미흡하였다는 점 외에도 학교 당국으로부터의 행정 및 재정적 지원이 충분히 뒷받침되지 못했던 점도 각각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북한이주민을 활용한 통일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후의 평가를 토대로 향후 북한이주민의 학교 통일교육 프로그램 참여 확대와 지원 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하면서 이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 있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북한이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인력풀의 구축과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북한이주민들에 대한 재교육 시스템의 개발과 운영의 필요성이 제시되고 있다. 또한 정부차원의 행정적⋅재정적 지원과 함께 지역사회의 통일관련 NGO들과의 유기적인 연대의 필요성도 지적해 볼 수 있다.
  • 영문
  • This paper is an essay for applying increasing North Korean Escapees recently as resources of the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can show a solution for some adaptation problems of North Korean Escapees in local community, and also this can lessen students' indifference to unification problems and enhance unification will.
    In other words, this is to seek qualitative improvement of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through North Korean Escapees' participa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s that introduce social and real condition of North Korea.
    For the purpose of the paper,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s were developed, and these were applied to elementary, secondary and university students chosen in Daegu and Kyungbook area. On the basis of this estimation, this paper shows some suggestions for these, together with examining North Koreans' participation extension and support plan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분단이 장기화되면서 통일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이 젊은 층을 중심으로 확산되는 경향 특히, 점점 더 통일에 대한 의지가 줄어들고 있고, 그런 가운데 남한과 북한 사이의 사회문화적 이질화는 가속화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통일을 이루어가는 과정뿐만 아니라 훗날 통일이 되었을 때, 하나의 사회로 통합되는데 따른 혼란을 줄여줄 수 있는 해법의 실마리를 우리와 더불어 지역사회에서 삶의 터전을 찾아가고 있는 북한이주민들을 통해 제시해 보고자 한다. 지역사회 단위의 선행 조사연구가 없는 가운데 본 연구는 대구지역에 거주하는 104명의 북한이주민들의 적응 실태를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각도로 분석하고 문제점 및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분석 결과를 통해 우리 사회의 통일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중점적으로 논의하면서 학교 통일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자원(강사)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대구와 경북지역의 초⋅중등 및 대학교를 각각 1개교씩 선정하여 이들 학생들에게 북한이주민을 활용한 통일교육 프로그램(수업지도안)을 개발하고 적용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학생들의 통일교육관련 수업에 대한 관심도 내지 흥미도가 높게 나타났고 수업의 효율성 또한 제고된 것으로 설문조사 결과 나타나고 있다. 이는 본 연구가 의도하였던 북한이주민을 활용한 통일교육 프로그램의 적실성이 입증되었다는 종합적 평가를 제시하기에 충분할 것이다. 다만, 프로그램의 적용 기간이 짧고 수업 준비과정이 다소 미흡하였다는 점 외에도 학교 당국으로부터의 행정 및 재정적 지원이 충분히 뒷받침되지 못했던 점도 각각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북한이주민을 활용한 통일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후의 평가를 토대로 향후 북한이주민의 학교 통일교육 프로그램 참여 확대와 지원 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하면서 이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 있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북한이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인력풀의 구축과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북한이주민들에 대한 재교육 시스템의 개발과 운영의 필요성이 제시되고 있다. 또한 정부차원의 행정적⋅재정적 지원과 함께 지역사회의 통일관련 NGO들과의 유기적인 연대의 필요성도 지적해 볼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주요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북한이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남한사회의 정착에 필요한 심리적 안정과 물질적 지원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학교 통일교육 프로그램의 참여에 대해서는 일부 북한이주민들이 참여의사를 보여 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자원 즉, 성, 연령, 학력, 북한에서의 직업, 취업 현황 등에 대한 통계자료를 함께 수집하여 이들 가운데 통일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인사들이 존재한다는 점을 밝혔다. 아울러 본 연구가 의도하고 있는 것처럼 이들이 학교 통일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 자체로도 남한 사회의 적응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점을 입증한 것이라 하겠다.
    둘째, 피교육자들을 대상으로 북한 및 통일관련 의식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우려하였던 것처럼 이들의 통일문제에 대한 관심도가 낮게 나타나고 있고 통일의지 또한 높지 않았다. 또한 당연한 논리적 귀결이겠지만 북한 사회 및 통일문제에 대한 체계적인 인식도 결여하고 있는 것으로 상관관계 분석 결과 나타나고 있다. 두 번째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북한이주민을 활용한 학교 통일교육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주었는데 이로써 이 프로그램의 효과가 기대되었다.
    셋째, 북한이주민을 활용한 학교 통일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으며, 수업을 받은 후 학생들의 해당 수업에 대한 반응을 측정하였다. 대구와 경북지역의 초⋅중등 및 대학교를 각각 1개교씩 선정하여 이들 학생들에게 북한이주민을 활용한 통일교육 프로그램(수업지도안)을 개발하고 적용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학생들의 통일교육관련 수업에 대한 관심도 내지 흥미도가 높게 나타났고 수업의 효율성 또한 제고된 것으로 설문조사 결과 나타나고 있다. 이는 본 연구가 의도하였던 북한이주민을 활용한 통일교육 프로그램의 적실성이 입증되었다는 종합적 평가를 제시하기에 충분할 것이다. 다만, 프로그램의 적용 기간이 짧고 수업 준비과정이 다소 미흡하였다는 점 외에도 학교 당국으로부터의 행정 및 재정적 지원이 충분히 뒷받침되지 못했던 점도 각각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넷째, 북한이주민을 활용한 학교 통일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에 대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북한이주민의 학교 통일교육 프로그램 참여 확대와 지원 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하면서 이에 대한 몇 가지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북한이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인력풀의 구축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둘째, 프로그램의 적용과정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북한이주민들에 대한 재교육 시스템의 개발과 운영의 필요성이 제시되고 있다. 셋째, 정부차원의 행정적⋅재정적 지원과 함께 넷째, 지역사회의 통일관련 NGO들과의 유기적인 연대의 필요성도 지적해 볼 수 있다.
    앞으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북한이주민들에 대한 체제 적응의 일환으로서 그리고 학생들에게는 추락하고 있는 북한 및 통일문제에 대한 관심과 통일의지를 제고시켜 통일교육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북한이주민을 활용한 학교 통일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따른 적용이 다른 일반 학생들에게 확대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끝으로 제언하고자 한다.
  • 색인어
  • 북한이주민, 탈북자, 학교 통일교육, 통일교육 프로그램, 의식조사, 대학생, 중등학생, 초등학생, 북한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