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학업 우수 여자 청소년들의 진로발달과정에 관한 종단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협동연구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4-042-B00152
선정년도 2004 년
연구기간 3 년 (2004년 12월 01일 ~ 2007년 11월 30일)
연구책임자 유성경
연구수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홍세희(이화여자대학교)
황매향(한국기술교육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직업세계에서의 남녀불평등의 문제는 제도적 측면에서의 성차별적 구조와 무관하지는 않지만 진로에 대한 여성 자신들의 인식결여, 준비부족 등도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문제이다. 진로지도 영역에서는 여성들의 진로발달을 저해하는 내적인 특성을 '진로장벽'로 규정하고 있다. 여성의 진로장벽에 대한 지각은 실제 직업을 선택하는 특정 한 시점에 갑자기 나타나는 현상이 아니라 여성으로서의 자아정체성 발달과정과 맞물려 장기적으로 형성되어지는 발달적인 특성으로 파악하여야 한다. 실제 생애 초기부터 시작되는 성역할 사회화 과정이 여성들의 일과 진로에 대한 기대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고, 본격적으로 자아정체감의 발달과업을 완수해야하는 청소년기에 여자 청소년들은 진로포부와 성취에 많은 한계를 두는 메시지를 내면화하게 된다. 여자 청소년들 가운데서도 학업적으로 우수한 성취를 보이는 여학생들은 우수 여성 인력의 개발 및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보다 집중적인 관심을 보일 필요가 있다. 전통적으로 우수한 여학생들의 경우 청소년기에 접어들면서 “유능하다”는 것과 “여성이다”라는 것에 동시에 직면하면서 본격적인 성역할 갈등을 겪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학업 우수 여자 청소년들에 대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학업 우수 여아들은 아동기에는 학업 우수 남아들과 유사하게 적극적인 심리적, 행동적 특성을 나타내고, 진로와 관련하여서는 보다 많은 인지방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의 경우에도 여아들이 남아들에 비해 모든 직업영역에 있어서 유의하게 높은 진로포부수준을 지닌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런데, 이들이 청소년기에 접어들면 학업에서는 계속 뛰어난 성취를 보임에도 불구하고, 교육적, 직업적 포부수준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거나, 전통적으로 여성이 지배적인 직업에 대해서만 높은 포부수준을 보인다. 우수 여자 청소년들의 이러한 발달적 변화는 성역할 고정관념, 학업 능력에 대한 낮은 효능감, 낮은 자존감 등 때문인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업 우수 여자 청소년들의 진로발달 과정을 종단연구와 사례연구를 통해 심층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우수 여학생들을 위한 진로 교육 및 상담프로그램을 개발하려고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 결과의 이론적 영역에서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우리나라 학업 우수 여자 청소년들의 진로 발달 과정에 관한 종단적 자료를 최초로 분석함으로써 재능아 연구, 여성학 연구, 발달심리, 진로 상담 등 다양한 학문영역에 이론적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우리나라 학업 우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심층면접 자료는 여성 진로 발달 이론 구축에 필요한 탐색적 자료로서 기여할 것이다. 이제까지 이루어진 우리나라 여성 진로 발달의 자료는 대부분 일회적 실태조사연구를 통해 얻어졌으며, 경험연구의 이론적인 틀은 대부분 서구 여성진로발달 이론에 기초를 두어 왔다. 그러나 여성, 특별히 우수 여성의 진로 문제는 문화적인 영향을 민감하게 받는 주제로서 우리나라의 우수 여성인력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적 면접자료는 우리나라 여성들이 진로와 관련하여 직면하고 있는 다양한 주제들, 이들의 진로발달 과정특성에 대해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셋째, 이제까지 진로발달 연구에서 제안된 주요 진로관련 변인들의 관계를 종단적으로,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들 관련변인들간의 복잡한 관계를 시간적 요인, 개인차의 요인을 고려하여 보다 구조적이고 다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진로발달 모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 결과의 교육 및 상담영역에서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경쟁력과 직결되는 우수인력, 특별히 21세기에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우수 여성인력에 대한 심층적 분석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이들 인력을 충분히 개발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교육모델의 근간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교육 현장에서 우수 여아들을 지도할 수 있는 실제적 개입방안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둘째, 우수 여자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직접 교육, 상담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들이 발달과정에서 경험하는 진로발달 저해요인은 최소화하고, 진로발달 촉진요인은 극대화함으로써 우수 여성 인력의 개인적, 사회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학업 우수 여자 청소년에 대한 집중적인 관심을 부각시키고,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실제적 개입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학업 우수 여자 청소년들간의 네트워크를 활성화하고, 상호지지 체제를 마련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 연구요약
  • 학업 우수 여자 청소년들의 진로발달과정을 분석하기 위한 종단연구는 3년에 걸쳐 진행될 과제이다. 종단연구의 목적은 학업우수 여학생들의 진로포부수준이 초등학교 4학년에서 고등학교 3학년까지 9년 동안에 어떠한 변화를 거치는가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진로포부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로 첫째, 가정 배경변인(가정 사회경제적 지위, 부모-자년 관계, 부모의 성역할 태도)과 개인배경변인(자존감, 성격특성), 둘째, 심리적 변인 (학업효능감, 성역할태도), 셋째, 과정변인 (진로장벽지각)을 설정하고 이들이 진로포분 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려고 한다. 그런데, 여기서 심리적 변인과 과정변인은 진로성숙 수준과 더불어 청소년기 9년 동안 변화할 것으로 예측되는 변인들이다. 이를 고려하여 본 종단연구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학업 우수 여학생의 배경변인(가정, 개인), 그리고 심리적 변인(학업적 효능감. 성역할 태도)의 변화 및 과정변인(진로장벽 지각)의 변화가 진로포부수준 변화에 미치는 효과검증이라고 할 수 있다. 진로포부수준의 변화를 모형화하기 위해 구조 방정식 모형 (structural equation model)의 특별한 형태인 잠재 성장모형 (latent growth model)을 적용할 것이다. 본 연구는 동일집단을 이용해서 9년간의 변화를 관찰하는 것이 아니라 3집단을 대상으로 3년간의 반복관찰치를 구해서 9년간의 변화형태를 추정하는 것이므로 cohort-sequential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할 것이다. 즉, 초등학생집단을 이용해서 초등학교 4-6학년의 변화를, 중학생집단을 이용해서 중학교 3년간의 변화를, 고등학생집단을 이용해서 고등학교 3년간의 변화를 추정하여 공통된 하나의 변화함수를 도출 낼 것이다. 학업 우수아들은 초등학생의 경우는 교육청 산하에 영재교육 대상자들에서 선발할 것이며, 중, 고등학생은 전체 석차 3%이내인 학생들 가운데 선정할 것이다.
    2차년도에는 학업 우수 여자 청소년들의 사례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사례연구방법을 적용하는 것은 복잡한 진로발달과정을 구체적이고 개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서는 질문지를 통한 수량적 분석방법과 더불어 개별면접을 통한 질적 분석 방법이 보다 적합하기 때문이다. 질적 분석 방법은 전통적인 수량적 방법에서는 다루기 어려운 개인의 살아있는 경험을 반영하는 탐색적 연구에 적합하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서 합의에 의한 질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게 될 것이다. 이 방법은 작은 표본을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체계적이고, 엄격한 방법이며, 탐색적인 연구에 적절한 장점이 있다(Hill, Thopmson, & Williams, 1997). 구체적으로 초등, 중등, 고등학교 시기의 학업 우수 여학생들이 진로 결정을 하는데 경험하게 되는 장애 혹은 촉진 요인들을 사례분석하게 될 것이다.
    3차년도에는 종단연구 및 사례연구 결과를 기초로 하여 학업 우수 여자 청소년들의 진로발달을 조력하기 위한 진로 교육 및 상담프로그램을 개발할 것이다. 기존의 여성을 위한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실태조사 연구결과에 기초하거나 서구에서 개발된 여성진로발달 이론에 기초한데 비해 본 연구의 우리나라 우수 여자 청소년들을 대상으로한 종단연구와 사례연구 결과를 통해 보다 과학적 근거가 있고, 대상의 특성을 고려한 프로그램이 될 것이다.
  • 한글키워드
  • 청소년 진로,진로상담,진로교육,사례연구,진로포부,진로장벽,진로효능감,종단연구,재능아,여성 진로 발달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3F (Fiction, Feeling, Female)의 시대로 불리는 21세기의 산업구조는 여성 인력에 대한 혁신적인 시각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고도의 다양성, 전문성 , 창의성을 보유한 우수인력 확보가 국가경쟁력을 좌우하게 될 시대적 흐름 속에서 이제까지 남성 인력의 부속적인 위치를 차지하던 여성 인력은 보다 적극적으로 개발, 활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여성인력 활용률이 극히 저조하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오고 있다. 우수 여성 인력의 활용을 위해서는 우수 여지 청소년들의 직업에 대한 포부 수준이 어떻게 결정, 변화되는지의 추이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전통적으로 우수 여성들은 청소년기에 접어들면서 "여성이다" 라는 것과 "유능하다"는 것에 동시에 직면하면서 본격적인 성역할갈등을 겪게 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업 우수 여자 청소년들이 청소년기를 거치면서 진로발달과정에서 어떠한 변화를 경험하는지를 종단적으로 추적하였다. 초등 4학년, 중등 1학년, 고등 1학년부터 3년간 반복관찰치를 구하고 cohort-sequential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궁극적으로 9년에 결친 학업우수 여아들의 진로 포부 수준의 변화 형태를 추정하고, 이러한 진로 포부 수준 발달 과정 및 패턴이 학업 우수 남아들과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현재 까지 분석된 연구 결과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포부 수준에 있어서 우수아들이 일반아들보다, 그리고,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높은 수준의 직업을 선호하였다. 둘째, 진로포부수준에 영향을 주는 변인, 발달추이에 있어서 우수 남학생들과 여학생들이 차이를 보였다. 여학생들은 진로장벽에 대한 인식이 학업적 효능감을 거쳐 진로포부 수준에 영향을 미쳤으나, 우수 남학생의 경우 진로장벽과 학업효능감 모두 진로포부 수준 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또한 진로포부 수준의 변화 양상에 있어서도 학업 우수 남학생들은 초, 중, 고등을 거치면서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고 계속적으로 높은 포부수준을 보였으나 학업 우수 여학생들의 경우 중, 고등학교로 진급함에 따라 포부수준이 점차 향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영문
  • Women’s career development has been proved to follow the different pattern from that of men. In particular, excellent girls have been shown different characteristics during career developmental process (Betz, 1994; Swanson & Daniels, 1995). However, there has been very little research conducted to inquire the career issues with excellent girls. Previous studies on excellent girls’ career development indicated that "being excellent" and "being feminine" may cause internal conflict, which hinders their excellence fully in their career development (Phillips & Imhoff, 1997). Especially excellent girls growing up in traditional Confusian culture, which emphasizes the women’s subordinate position to men, tend to go through more conflicts in their career development. The concept of perceived career barriers developed by (Swanson & Daniels, 1995) can be well-applied to explain the unique dilemma that excellent girls may confront in their career development. We conducted a 3 year ongitudinal study to explore the career development process of the acd emicallyexcell entfemale adolescents in Korea. Longitudinal data were collected from junior-high or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over 3 years. In the first year of this study, four hundred and thirty five femal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378 students in the second year, and finally 355 students in the third year. All the research participants satisfied the criteria for academic excellence adopted in this study, which was either their GPA being within the upper 3% of the total students or enrolling a school for gifted students in science or in language. We analyzed three year longitudianl data by using staructural equation model (SEQ) to validate the theoretical model with our data. Also, we conducted case studies to explore the any unique process in career development among excellent female adolescents. Through several empirical studies, we found some unique developmental issues among academically excellent Korean female studens compared to the average students and compared to the male counterpart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학업 우수 여자 청소년들의 진로발달과정에 관한 3년 종단연구 가운데 1차년도연구로 진행되었다. 초4, 중1, 고1 여학생들 가운데 학업 우수 여자 청소년(영재교육대상자 혹은 전체 석차 10등 이내)들을 각 집단별 200여명씩을 선정하여 이들의 배경변인(가정, 개인), 그리고 심리적 변인 (학업적 효능감, 성역할 태도)의 변화 및 과정변인(진로장벽 지각), 그리고 진로포부수준을 측정하였다. 본 거사 자료 수집에 앞서, 초등 4학년 부터 고등학교 3학년 까지를 대상으로 동일변인에 대한 측정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일차년도에는 우선 각 척도가 세 연령집단에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예비연구가 진행되었다. 부모애착척도, 성역할 태도 척도 및 성역할 정체감 척도 그리고, 진로장벽 척도에 대해 초,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척도 타당화 연구를 실시하였다. 또한 각 척도별로 초, 중, 고등 여학생들의 잠재평균 분석을 통해 각 척도가 세 집단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 동일한 요인구조를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였으며, 또한 집단별 잠재평균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검사에서 사용할 척도들 가운데 부모에 대한 애착척도, 성역할 태도 척도, 성역할 정체감 척도, 그리고 진로장벽 척도를 한국 초등, 중등, 고등 학생들을 대상(총 900여명)으로 타당화 과정을 거쳤다. 위의 척도들은 대부분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발된 도구이므로 각 문항 내용을 초등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는 어휘와 표현으로 수정하고, 수정된 문항들이 원 문항들과 동일한 내용인지에 관한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확인적 요인분석 과정을 거쳐 원 척도와 동일한 요인구조가 확인되는지를 분석하여 구인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문항의 수정 및 첨삭이 이루어져 최종적으로 한국 초, 중, 고등학생들에게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척도들을 개발하였다.
    여자 청소년들의 진로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요인들을 타당하고, 신뢰롭게 측정할 수 있는 도구들을 개발하여 본 연구의 종단연구 뿐만아니라 여성 진로 관련 다른 연구들에서도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 더구나 초등학생으로 부터 고등학생이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척도로 타당화함으로써 연령별 비교 연구에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여자청소년, 진로발달, 진로장벽, 진로포부, 성역할 태도, 성정체감, 잠재성장모형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