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환경친화적 실내디자인을 위한 정보제공 시스템 구축-실내마감재의 지속가능성을 중심으로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선도연구자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4-041-G00036
선정년도 2004 년
연구기간 1 년 (2004년 12월 01일 ~ 2005년 11월 30일)
연구책임자 천진희
연구수행기관 상명대학교& #40;천안캠퍼스& #41;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최근 웰빙, 가족건강, 환경에 대한 관심에 힘입어 주목받고 있는 친환경적 삶을 위한 실내환경 개선의 정보기반 구축에 목표가 있다.
    친환경 디자인은 자연친화적 정서와 부합되면서 중요성에 대한 총체적 인식과 함께 최근 급부상된 연구 주제이나 해양, 수질, 대기, 토양 등 옥외환경에 연구가 집중되어 있어 실내환경에서 사용자가 구체적으로 적용하고 실천하기에는 정보가 체계화되어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내환경 개선에 필요한 최신 정보를 수집, 종합, 분석하여 정보제공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다시말해, 환경친화적 실내디자인을 위해 지속가능한 마감재, 공기, 에너지, 폐기물 등에 대한 지침과 전략을 고찰하고 최종목표 설정 후 생산, 소비, 재활용 등 각 단계별로 고려해야할 세부 사항과 대응방안을 사용자, 환경, 디자인 측면에서 제시하고 국외 친환경 프로젝트 현장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한국적 현실에 적용가능한 인프라 구축을 위해 기술적 정보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아울러 연구결과의 확산과 실용화를 위해 실내디자인 분야의 공급자와 수요자가 디자인과 건물에 대해 손쉽게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여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학문적 기대효과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인 실내마감재, 공기, 에너지, 폐기물은 지구 오염의 원인임과 동시에 인간의 건강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인자이지만 지금까지의 연구를 보면 미시적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접근한 사례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측면에서 지속가능한 실내마감재/공기/에너지/ 폐기물 관리에 대한 원칙과 전략을 문헌연구, 성공사례 현장조사, 제품 생산업체의 기술적 정보 등을 종합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것이므로 축적된 자료는 친환경디자인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건축가, 실내디자이너, 환경전문가에게 학문적 정보와 식견을 제공할 수 있어, 실용학문으로서의 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회적 활용방안
    본 연구결과는 국내 실정에 적용 가능하도록 데이터베이스화될 것이며, 연구결과를 발전시켜 실행을 위한 유기적 분석도구를 개발할 예정이므로 사회적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차적으로 공공건물에 실제 적용(On-going Public Input)시켜 평가, 검증, 발전의 과정을 거친 후 공공건물 이외의 사무공간, 주거공간 등의 실태조사에도 확대적용하며, 건물의 계획, 신축, 리모델링에도 활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연구자, 사용자, 정부, 산업체 모두 주체가 되어 한국적 현실에 적합한 다각적이고 창조적인 지침이 개발된다면 환경적 측면의 선진화 전략과 발전에 보탬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교육현장에서의 파급효과
    연구 결과를 교육 현장에서 접목하거나 교육프로그램으로 발전시켜 연구를 확산시키는 것은 매우 바람직한 일이다. 환경문제는 미래의 주인공이 될 후속세대에 대한 교육이 철저히 이루어져야하며,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때 효과가 배가될 것이다. 따라서 대학생들에게는 프로젝트 수행 시 친환경적 철학과 가치관을 가지고 컨셉을 발전시키도록 하며, 나아가 청소년들에게는 Future Korea 사업과 연계하여 연구결과를 교육대상의 수준에 맞게 각색하여 교육시킴으로써 효과가 학생->학교->가정->사회로 환원되도록 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최근 웰빙, 가족건강, 환경에 대한 관심에 힘입어 주목받고 있는 친환경적 삶을 위한 실내환경 개선에 관한 것으로, 연구관련 최신 정보를 수집, 종합, 분석하여 정보제공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 및 포탈사이트를 검색하여 친환경 디자인 관련 지침과 프로젝트 사례 보고서 등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연구의 기초로 활용하고자하며, 전문적인 학회, 연구기관이 주최하는 학술대회, 세미나, 워크샵 등에 적극 참여하여 친환경 디자인에 대한 신개념, 빌딩 디자인 평가 도구, 인간과 환경을 고려한 개발 등에 대한 최신의 전문적 정보를 수집하여 연구의 질을 높이고자 한다. 아울러 미국과 캐나다에서 녹색도시, 친환경도시로 부상하고 있는 도시의 우수 프로젝트를 방문조사하여 실증적 연구가 되도록 한다.
    연구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친환경적 실내디자인의 컨셉, 원칙, 전략에 대한 선진국의 지침 고찰
    *친환경 측면에서 지속가능한 마감재에 대한 세부 접근:
    원자재->생산->분배->설치->사용->재활용 단계마다 고려하여야할 세부 사항에 대해 사용자, 환경, 디자인 측면에서 연구한다.
    *친환경 측면에서 지속가능한 공기에 대한 세부 접근:
    청정공기-적정습도-적정온도-환기에 대한 세부 사항과 조성 기법에 대해 사용자, 환경, 디자인 측면에서 연구한다.
    *친환경 측면에서 지속가능한 에너지에 대한 세부 접근:
    실내환경에서 에너지의 최고효율-최저충격-적정사용 등 자연과 에너지 자원을 보전하고 환원하는 방안을 사용자, 환경, 디자인 측면에서 연구한다.
    *친환경 측면에서 지속가능한 폐기물에 대한 세부 접근;
    자원분리->회수->재활용 등에 대한 세부방안을 사용자, 환경, 디자인 측면에서 연구한다.
    *친환경 프로젝트 현장 분석
    친환경적 컨셉을 디자인에 도입한 국외 사례를 조사 분석하여 프로그램 적용 방법과 결과에 대해 조사 분석한다.
    *실내마감재, 공기, 에너지, 폐기물에 대한 정보제공 시스템 구축
    국내 실정에 적용 가능한 원칙과 전략에 대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정량적으로 실내환경을 평가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여 연구의 확산을 도모한다.


  • 한글키워드
  • 정보제공,실내디자인,시스템 구축,공기,친환경,폐기물,실내마감재,에너지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1. 지속가능한 건축디자인을 위한 기초방안에 관한 고찰- 미국 미네소타 주 친환경사례의 실내 건축자재를 중심으로 -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실내디자인을 위해 실내건축자재를 어떤 개념과 원칙으로 선택하고 있으며 친환경 프로젝트에서 건축자재를 어떻게 접근하는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 미네소타 주의 MSDG의 지침과 실행방법을 조사하였고 MSDG와 MOEA에서 추천한 6사례를 조사분석하였다. 사례조사 결과, 1.교육적 차원의 홍보를 위해 건축된 경우, 새로운 기술채용으로 초기 건축비가 높은 경우가 있었으나 건물의 전 생애비용을 감안하다면 경제성이 있으므로 우리나라에서도 이와 같은 실험건축을 시도해볼 필요가 있다. 2. 친환경 원자재 사용, 기존 자재 재사용, 폐자원 재활용, 근거리 제조상품 구매는 자재의 전 라이프사이클 동안 환경 및 에너지 부하절감 효과가 있으므로 우리나라에서도 이에 대한 재교육 및 소비자 구매 촉진을 위한 다각적 노력이 필요하다. 3. 미국에서 현재된 친환경 자재들은 건물증후군을 일으키는 VOCs 저방출 자재로 환경오염원을 줄임과 동시에 인체에 미치는 악영향이 적고 경제적이며 디자인적으로 훌륭한 제품이 많으므로 우리나라 업계에서도 재활용자재에 대한 시장점유율을 높여야한다. 4. 지속가능한 건물은 일반건물에 비해 에너지 절약, 공해배출 저감,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미래지향적 기술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초기 단계로 복합주거 및 공공건물의 극히 일부에 인증이 되어있으나 평가, 검증, 발전의 과정을 거친 후 다양한 공간에 확대 적용할 필요가 있다.

    2. 캐나다 밴쿠버의 지속가능한 빌딩을 위한 접근방안 - 건축자재와 마감재를 중심으로 -
    본 연구는 친환경적 환경개발과 지역사회 개발, 그리고 정책 수행에 있어 국제적으로 모델이 되는 도시 중의하나인 Vancouver 의 친환경 디자인 컨셉으로 완성된 사례를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포탈 사이트 검색을 통한 예비조사를 거쳐 친환경 디자인 관련 지침과 프로젝트 사례 보고서 등에 대한 자료 수집 후, 7사례의 친환경 건물에서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적용한 방법, 즉 프로그래밍 단계에서 수행된 내용, 진행단계에서 해결된 구조적 문제, 마무리 단계에서 부과된 디자인적 요소 파악 등에 대해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대상시설들은 환경친화적 건물을 위한 해결책으로 기존건물 폐기시 발생하는 폐기물을 현장에서 분리수거 후 재사용하는 방법, 건물 신축 시 재생재료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방법, 폐자재를 활용하는 방법, 향후 건물의 폐기 시 자재의 분리 사용이 용이하도록 설계, 총체적 친환경건물을 위해 LEED의 평가기준에 부합되도록 디자인하는 방법 등을 통해 자원사용과 환경부하를 최소화하는 순환적 시스템에 역점을 두고 있었다. 친환경빌딩 건설은 도시의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볼 때 경제적, 건강한 환경 획득을 위해 필수적인 것이므로 우리나라에서 적용 가능한 실천적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 영문
  • 1. A Study on the Basic Solution for Sustainable Buildings - Focused on the Interior Materials of Eco-Buildings in Minnesota, USA -
    This study is focused on interior materials and wastes among other diverse environmental strategies for sustainable construction. The case study was carried out by using MSDG, mainly utilized in evaluating performance of sustainable constructions in Minnesota, the US, as an evaluation tool, in order to analyze American practices. In this study, a field inspection was conducted to 6 Minnesota cases, following a preliminary examination through literature study and portal site search, and then, constructive reports, interviews with people in charge, and empirical data including photos were added to the basic data provided by MSDG and MOEA. As a result, it turned out *that sustainable materials were mainly used even in newly constructed buildings and wastes were properly managed in an environment-friendly, economical, and ethical manner, *that life cycle assessment showed reduction in some constructive costs even when the basic costs were high, *that some recycled finish materials were widely used in diverse areas, *that minimum consumption of raw materials, minimum environmental damage by materials, minimum effect of materials on IAQ were found in the examined cases, and *that many attempts were made to minimize resource consumption and constructive wastes from diverse perspectives.

    2. The Solutions for Sustainable Buildings in Great Vancouver - Focused on the Construction Materials and Finishing Materials -
    Over the past few years, the research and solution for sustainable buildings have made significant strides in many developed countries. In Korea, we have tried to establish the green building assessment tools such as 'Green Building Rating System' and 'Certification of Environment-friendly Building Design' as one of the solutions due to the demand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ince the launch of the KICTEAC(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Environment Assessment Criteria) in 1998. And not only has some certified sustainable buildings constructed, but there has been enormous growth in the number of business providing services, products and technologies to support the emerging market.
    Among many cities, Vancouver has garnered international recognition, including LEED certification and BOMA's Earth Award, for recent green building projects. Because the city of Vancouver has adopted a Green Building Strategy that sets high environmental standards for all new civic buildings greater than 500 square met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nvironmental friendly public or residential buildings in Vancouver which is a leading city in terms of the sustainable policy and construction of new buildings as a part of the research project to suggest the developed solution about the Korean sustainable buildings. For this purpose, analysis of evaluation items about construction material and finishes for 6 cases was preceded through field survey and interview.
    Case Study for sustainable buildings showed how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can be incorporated into urban public space as well as living space that will reduce environmental impacts, save money, and make space more safe and comfortable. The sustainable buildings featured : recycling the demolished material; reusing the demolished material in the job-site; using the products containing recycled content; renewing the salvage material; using the non-toxic products for indoor air quality; choosing the material to meet the LEED criteria.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환경친화적 실내디자인을 위해 지속가능한 마감재에 대한 지침과 전략을 고찰하고 국외 친환경 프로젝트 현장을 분석하여, 한국적 현실에 적용가능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선진국에서 지속가능한 실내디자인을 위해 실내건축자재를 어떤 개념과 원칙으로 선택하고 있으며 어떠한 전략을 지향하고 있는지 파악하기위해 미국 미네소타 주의 CSBR에서 개발한 MSDG와 캐나다 친환경협의회에서 건물의 성능 평가를 위해 시행하고 있는 LEED 분석항목 중 재료에대해 고찰하였고 친환경적 컨셉을 디자인에 도입한 국외사례를 조사 분석하여 프로그램 적용 방법과 결과에 대해 조사하였다.
    미국의 경우 MSDG와 MOEA에서 추천한 미네소타 주 소재 우수 건축물 6사례, 캐나다의 경우 밴쿠버 소재 LEED 인증 건축물과 환경상 수상 건물 등 6사례를 조사분석하였다. 사례조사 결과, 이들은 MSDG와 LEED에서 제공하고 있는 평가도구를 사용하고 있으며 환경친화적 접근을 위해 실내건축자재 선택과 사용, 사용후 고려하여야할 사항을 단계별로 숙지하여 실천하고 있었다. 기존건물 폐기 시 발생하는 폐기물을 분리수거하여 신축건물에 용도전환하거나 사후관리를 철저히 하는 방법, 자재 선정 시 재활용 물질이 함유된 재료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방법, 건설현장 인근에서 추출되거나 생산되는 자재를 사용하는 방법, MSDG나 LEED의 평가기준에 부합되도록 디자인하는 방법 등을 통해 자원사용과 폐기물로 인한 환경부하를 최소화하는 순환적 시스템에 역점을 두고 있었다.
    또한 친환경 측면에서 우리나라의 지속가능한 실내마감재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위해 국내 제품의 원자재 상태부터 사용 후까지의 전 라이프사이클에 걸친 친환경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 CSI 코드, 업체의 홈페이지, 제품 카탈로그를 비롯하여 친환경상품진흥원, 한국공기청정협회, 산업자원부의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환경마크 취득제품, 우수재활용제품 인증취득 품목, 친환경건축자재 인증취득 제품에 대한 정보를 활용하였다. 조사결과, 업체에서는 웰빙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마케팅 전략의 일환으로 친환경 개념을 강조한 제품개발과 신제품 출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친환경 제품에 대한 개념이 인체 유해물질 저방출과 생산 과정에서 주성분 이외에 기능성 성분을 첨가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실정이었고 제품의 전 라이프사이클 측면에서 보면 원자재에 관한 정보가 없고 재활용제품이 개발되어 있지 않으므로 폐기물을 이용한 건축내장재 활성화를 위해 재활용 기술수준 향상과 지속가능한 소비를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
    본 연구의 범위 및 내용은 1.친환경적 실내디자인의 컨셉, 원칙, 전략에 대한 선진국의 지침 고찰 2.친환경 측면에서 지속가능한 마감재에 대한 세부 접근방안 3.친환경 프로젝트 현장 분석 4.실내마감재에 대한 정보제공 시스템 구축이다.
    이상의 내용 중 1, 2, 3의 내용은 ‘지속가능한 건축디자인을 위한 기초방안에 관한 고찰- 미국 미네소타 주 친환경사례의 실내 건축자재를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5권 2호 통권55호, 2006.04, pp174-182), ‘캐나다 밴쿠버의 지속가능한 빌딩을 위한 접근방안’ (디자인학연구, 2005 가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5.10, pp84-85)의 논제로 발표되었고, 4의 내용은 2006년 8월 말 발표를 위해 ‘친환경측면에서 본 우리나라 실내건축자재의 현황 고찰'이라는 논제로 현재 심사대기 중에 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친환경 원자재 사용, 기존 자재 재사용, 폐자원 재활용, 근거리 제조상품 구매는 자재의 전 라이프사이클 동안 환경 및 에너지 부하절감 효과가 있으므로 우리나라에서도 제품개발 시 자재의 라이프사이클에 대한 이해는 물론 이에 대한 재교육 및 소비자 구매 촉진을 위한 다각적 노력이 필요하다.
    2. 미국에서 현재 개발되어 사례조사 시설에서 사용되고 있는 친환경 자재들은 건물증후군을 일으키는 VOCs 저방출 자재로 환경오염원을 줄임과 동시에 인체에 미치는 악영향이 적고 경제적이며 디자인적으로 훌륭한 제품이 많으므로 우리나라 업계에서는 재활용 자재에 대한 바른 인식과 꾸준한 연구, 개발의지 고양으로 재활용자재에 대한 시장점유율을 높여야한다.
    3. 지속가능한 건물은 일반건물과 비교할 때 에너지 절약, 공해배출 저감,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미래지향적 기술이다.
    4. 본 연구의 조사대상 시설 중 교육적 차원의 홍보를 위해 건축된 경우, 새로운 기술채용으로 초기 건축비가 높은 경우가 있었으나 건물의 전 생애비용을 감안하다면 경제성이 있으므로 우리나라에서도 이와 같은 실험건축을 시도해볼 필요가 있다.
    5. 우리나라에서 지속가능한 건물에 대한 접근은 초기 단계로 복합주거 및 공공건물의 극히 일부에 인증이 되어있으나 평가, 검증, 발전의 과정을 거친 후 다양한 공간에 확대 적용할 필요가 있다.
    활용방안
    본 연구결과는 학술지에 발표됨으로서 친환경디자인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건축가, 실내디자이너, 학생들에게 학문적 정보와 식견을 제공할 수 있으며,연구 결과를 교육 현장에서 접목하거나 교육프로그램에서 활용함으로써 학문후속세대에게 연구를 확산시킬 수 있다. 가장 적극적인 활용방안으로 현재까지의 연구성과와 향 후 일부내용에 대한 보완을 거쳐 데이터베이스화될 것이므로 사회적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색인어
  • 키워드 : 지속가능한 건물, 친환경디자인, 실내 건축자재, 라이프사이클, 사례연구, 미네소타, 밴쿠버, Sustainable Buildings, Ecological design, Interior Material, Life cycle, Case Study, Minnesota, Great Vancouver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