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21세기 헌정주의와 민주주의의 갈등과 조화의 동학: 4개국 (한국, 일본, 미국, 브라질) 헌정공학의 이론과 실제 비교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인문사회분야지원심화연구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5-079-BS0018
선정년도 2005 년
연구기간 1 년 (2005년 09월 01일 ~ 2006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박성우
연구수행기관 중앙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한병진(서울대학교)
장성훈(건국대학교)
김영민(인하대학교)
김용호(인하대학교)
이경주(인하대학교)
신영란(한국외국어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비교 대상으로 선택된 네 개의 국가에서 전개되고 있는 개헌 논의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들 국가들이 헌정주의와 민주주의를 어떻게 조화롭게 발전시켜 나오고 있는지를 밝혀내는 <헌정공학>이론을 개발하여, 궁극적으로는 한국의 민주적 헌정질서를 수립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 본 연구는 21세기에도 여전히 전 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한 정치사회 구성 원리로 작동하고 있는 헌정주의와 민주주의의 상호관계에 대한 이론을 개발하는 것을 기본 목적으로 한다.

    법의 지배(rule of laws)를 기본 원칙으로 하는 헌정주의(constitutionalism)와 인민의 지배(rule by people)를 기본 원칙으로 하는 민주주의(democracy)는 역사적으로 이 두 원칙이 바람직한 정치적 이상으로 받아들여진 이래로 늘 갈등과 조화의 경험을 반복하여 왔다.

    그 동안 헌정주의와 민주주의는 갈등의 관계에 놓이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민주주의의 역사가 짧은 나라에서는 양자간의 관계가 매우 갈등적인 경향을 보여 주었다. 민주주의 발전을 위해서는 나라 안팎의 변화에 따라 분출되는 시민의 다양한 요구 사항을 수렴하여 새로운 헌정질서를 마련하려고 여러 가지 정치적 명분과 구실을 앞세워 기왕의 헌정체제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적나라하게 파헤치는 것은 물론 이를 전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깨뜨리고자 하는 시도가 나타나기 마련이다. 반면, 법의 지배라는 원칙이 엄격히 실현되기 위해서는 오로지 법을 통해 인권이 보장되고 정부의 통치력이 확보되며, 공동체의 질서가 유지되어야 하므로, 이미 수립된 헌정 질서는 되도록 보존되어야 하고, 민주적 요구에 의한 헌정 질서의 파괴도 결코 용납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헌정주의와 민주주의의 상호관계가 이렇게 늘 갈등의 요소만 안고 있는 것은 아니다. 헌정주의와 민주주의는 이념적 갈등의 요소에도 불구하고, 조화로운 상호관계를 낳을 수 있는 실천적 차원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민주주의 혁명을 통한 민주적 성과물들이 헌정 질서가 완전히 파괴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헌정체제 속에 수용되고, 또 헌정주의에 대한 존중으로 민주적 인권이 보장되고, 비민주주적 요소들이 점차로 배제된다면, 헌정주의와 민주주의가 선순환적 관계에 놓일 수 있는 실천적 차원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헌정주의와 민주주의의 상호관계가 이렇게 갈등과 조화를 반복해 온 상황은 세계화, 정보화, 탈근대화의 경향 속에 급속도로 변모하고 있는 21세기에도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이를테면, 전체 국민의 상대적 다수표를 획득한 후보를 대통령으로 선출하지 못했던 2000년 미국의 대선에서,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을 가결시킨 2004년 한국의 국회에서, 보통국가론을 내세우며 자위대의 국제적 지위 변화를 시도하고 있는 일본 정가의 개헌 노력 등에서 우리는 헌정주의와 민주주의의 상호관계가 21세기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의 현실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정치 사회의 구성원리로서 가장 대표적인 두 원칙인 민주주의와 헌정주의가 어떤 상황과 조건에 의해서 갈등과 조화의 양상을 보이고 있는가에 대해 4개국의 비교연구를 실시하고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한국의 헌정주의와 민주주의의 상호관계가 어떻게 선순환적 관계로 자리 잡을 것인가를 모색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이상과 같은 연구 방법틀을 토대로 비교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질문에 대한 답을 추적할 것이다.

    o 4개 국가에서는 헌정주의와 민주주의에 대해 어떤 정치적, 사회적 합의가 존재하고 있나? 다시 말해 이들 국가들이 지금까지 어떤 유형의 (내용의) 헌정주의와 민주주의를 추구해 나오고 있나? 그리고 이에 대한 사회적 정치적 합의의 정도는 어떠한가?

    o 각국의 최근 헌법개정논의와 관련해서 각국의 정치적 목적과 의도가 무엇인가? 각국은 어떤 동인에 의해서 헌법개정논의가 진행되고 있는가? (ex. governability, 민주주의의 공고화, 영토이슈, 인권, 등)

    o 각국은 헌법개정논의에서 어떤 조항을 구체적으로 문제 삼고 있는가? 어떤 사회세력 혹은 정치세력이 헌법개정논의에서 주도적인가?

    o 헌정주의와 민주주의가 갈등을 빚지 않고 조화를 이루어나가는 선순환 관계를 만들려면 어떤 조건이 필요한가?

    o 4개국 중에서 이러한 선순환을 이룬 나라와 그렇지 못한 나라 간에 헌정주의와 민주주의 관련하여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나?

    o 최근 들어 이들 4개국이 어떤 이유와 목적과 배경에서 개헌을 시도하고 있나? 이들 나라들이 헌정주의와 민주주의의 어떤 결함이나 문제점을 시정하려는 것인가? 즉 세계 각국이 개헌을 통해 무엇을 달성하려고 하나? 개헌 세력이 어떤 이론으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나?

    o 이러한 개헌 시도가 과연 현실적으로 성공할 것인가? 성공하려면 어떤 조건이 필요한가?

    o 각국에서 헌법개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예상되는 정치적, 사회적, 국제적 효과는 무엇인가?
  • 연구요약
  • 본 연구의 독창성은 첫째로, 민주주의와 헌정주의의 상호관계를 되도록 “가치 중립적” 입장에서 양자간의 동학(dynamics)을 고찰하는 공학적(engineering) 접근을 시도한다는데 있다. 굳이 막스 베버를 언급하지 않더라도, 엄격한 의미에서 가치중립적 입장을 취한다는 것이 사회과학 연구에 있어서 어리석은 시도로 들릴 수 있으나, 본 연구가 지향하는 헌정공학(constitutional engineering)이란,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민주주의와 헌정주의에 일방적인 가치 선호적 선입견을 갖고 있는 일방적 민주주의자들이나 목적론적 헌정주의자들과는 구분되는 태도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 본 연구는 민주주의와 헌정주의 중 어느 한 쪽에 대한 가치 선호를 전제로 하지 않은 채 (여전히 이것의 가능성에 대해 문제 삼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양자의 상호관계의 동학을 공학적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또한 민주주의와 헌정주의의 상호관계에 대한 문화적, 역사적 환원주의 (reductionism)를 가능한 한 배제한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독창성을 찾을 수 있다. 기왕이 연구는 대부분, 민주주의나 헌정주의의 성패를 헌정체제가 수립된 역사적 기원이나, 국민들의 문화적 성향에서 찾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왜 어떤 나라는 성공하고(즉 민주주의와 헌정주의의 관계가 보다 조화롭고), 어떤 나라는 실패하고 있느냐(즉 양자의 관계가 보다 갈등적이냐)를 묻는 비교 연구의 경우, 그 원인을 만약, 그 헌법이 탄생한 독특한 역사적 기원에서 찾거나, 그 나라의 문화적 성향으로 성패의 원인을 환원시킨다면, 궁극적으로 우리의 헌정주의와 민주주의의 상호관계 설정에 관한 조언을 얻고자 하는 비교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 문화적 성향이나 역사적 기원은 일회적이고 특수한 것이어서, 모방이나 동화가 곤란하기 때문이다.

    “가치 중립적” 관점에서 민주주의와 헌정주의의 동학을 살펴보고자 하는 본 연구는 역사적 문화적 환원주의를 가능한 한 배제하고, 민주주의와 헌정주의의 상호관계에 대한 독창적 규명을 위해 공학적 접근법을 시도할 것이다.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한국의 민주주의와 헌정주의의 선순환적 관계의 모색을 위해 한국, 일본, 미국, 브라질 4개국의 헌정주의와 민주주의의 상호 역학관계를 질적으로 비교하는 방법론(qualitative comparison)을 취한다.

    1) 연구의 기본틀
    한국의 헌정주의와 민주주의의 바람직한 관계의 모색을 위해 한국과 함께 일본, 미국, 브라질 4개국을 선택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헌정주의와 민주주의의 상관관계를 기준으로 나라들을 분류할 수 있는데, 미국과 일본은 선진의 예로, 한국과 브라질은 후진의 예로 분류한다.

    헌정주의와 민주주의의 상관관계는 표면적으로 말하자면, 헌법개정 논의가 정치 권력 구조의 근본적인 변화를 시도하고 있는가, 그렇지 않은가로 되물을 수 있다. 다시 말해 한국과 브라질의 개헌 논의는 권력구조 개편이나 큰 이상으로서의 민주주의 실현과 같은 이슈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반면, 미국이나 일본은 소수자의 인권보호 (gender, ethinic minority, sexual orientation, guest worker) 나 환경문제, 국제적 위상변화 등과 같이 국내 권력구조 문제에 벗어나 소위 탈근대적 이슈를 대상으로 개헌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는 것이다.

    편의상 권력구조 개편을 중심으로 한 개헌 논의를 후진으로, 탈근대적 이슈를 대상으로 한 논의를 선진으로 분류한 이유는 후자의 경우가 헌정주의와 민주주의의 이념적 갈등이 완화되고 실천적 조화의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탈근대적 이슈를 대상으로 하는 개헌 논의도 개별적 민주주의 (예컨대 소수민족 민주주의, 다문화 민주주의, 페미니즘 민주주의, 환경 민주주의 등) 의 지향을 목적으로 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민주주의(demokratia=rule by people)라는 대의명분으로 헌정주의(constitutionalism=rule of law)에 대한 근본적인 도전을 시도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비교국을 선택한 두 번째 이유는 다소 피상적이다. 헌정질서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를 동서양의 법문화의 차이로 구분한다. 대체로 전통적 가치를 중시하는 한국과 일본을 동양의 법문화권으로, 기독교적 가치를 중시하는 미국과 브라질을 서양의 법문화권으로 분류한다.

    같은 서양적 법문화의 영향권 아래 있는 미국과 브라질은 민주주의와 헌정질서의 관계에서 다른 동학을 보이고 있으며, 한국과 일본 또한 다른 동학을 보이고 있다. 반면, 동서양의 상이한 법문화의 영향권 아래에서도 일본과 미국, 한국과 브라질은 비슷한 동학을 보이고 있다. 왜 그러한가? 본 연구는 이 질문에 대해 역사적, 문화적 환원주의를 배제한다고 밝힌 바 있다. 각국의 헌정의 역사에서 그 답을 찾지 않겠다는 것이다. 대
  • 한글키워드
  • 한국 헌법,헌정주의,법의 지배,미국 헌법,브라질 헌법,일본 헌법,개헌,위헌법률심사,민주주의,헌정공학
  • 영문키워드
  • Judiciary Review,Constitutional Revision,US Constitution,Korean Constitution,Japanese Constitution,Brazilian Constitution,rule by people,democracy,constitutionalism,rule by laws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최근 우리 사회에서는 1987년에 도입되어 오늘날까지 효력을 갖고 있는 현행헌법의 개정 논의가 다양한 차원에서 전개되고 있다. 물론 과거와 같이 권력구조 개편만을 목적으로 하는 것은 아니다. 21세기는 세계화 정보화 남북관계의 변화를 반영하는 새로운 국민정체성 담아낼 수 있는 새로운 헌정질서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정치의 맥락에서 우리의 개헌 논의가 권력구조 개편이나 선거제도의 개선 등을 중심으로 전개될 경우, 80년대 이후 꾸준히 성장해온 우리의 민주주의와 헌정주의가 충돌할 가능성은 아주 높다. 이렇듯 민주주의와 헌정주의의 예견되는 충돌에 비추어 볼 때, 이제 우리가 해결해야 할 근본적인 문제는 단순히 기술적 제도적 차원의 개헌논의가 아닌, 우리사회의 민주주의와 헌정주의가 안고 있는 근본적인 갈등이 무엇인지 이해하고 양자의 조화 가능성을 모색하는 일이다. 우리는 어떤 민주주의를 목표로 할 것이며, 또한 우리는 어떤 헌정질서를 만들어 갈 것인지에 대한 사회적인 토론과 합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국가적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학문적 노력의 일환으로 현대 정치사회의 대표적인 구성원리인 민주주의와 헌정주의의 갈등과 조화의 동학을 검토한다.

    본 연구는 크게 3개의 파트로 구성되어 있다. 이론과 역사를 다루는 1부에서는 민주주의와 헌정주의 갈등의 내용이 무엇인가에 대한 사상사적 역사적 검토를 시도하며, 한국적 맥락에서 양자의 갈등과 조화의 동학을 분석하기 위해서 어떤 이론틀을 가질 것인가를 검토한다. 2부에서는 어떤 상황과 조건에 하에서 민주주의와 헌정주의의 갈등과 조화의 양상을 보이고 있는가에 대해 미국, 일본, 브라질의 사례를 비교 검토한다. 민주주의와 헌정주의 관계의 상대적인 안정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미국의 사례에 대한 사상적, 역사적 검토를 시도하고 있으며, 민주주의와 헌정주의의 특수한 관계를 발전시켜 온 브라질과 일본의 사례에 대한 검토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3부에서는 다시 한국의 민주주의와 헌정주의의 선순환 관계의 모색을 위해 지금까지 소홀히 다루어져 왔던 한국행정과 헌정주의 관계, 그리고 한국헌정사의의 특수성을 다루고 있다.

    민주주의와 헌정주의의 관계는 시대와 지역에 따라 갈등과 조화를 반복해 왔다. 본 연구의 궁극적 목적이 한국적 맥락에서 민주주의와 헌정주의의 선순환 관계의 모색이지만, 본 연구를 통해서 밝혀졌듯이, 양자관계의 미묘함과 복잡성으로 인해 성공적인 국가에 대한 단순한 모방이나, 실패국가에 대한 단순한 비방이 문제의 궁극적인 해결이 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가 한국사회의 민주주의나 헌정주의의 청사진을 제공할 수는 없다고 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가 가장 크게 자부할 수 있는 것은 본 연구를 통해 우리 사회 전체가 민주주의와 헌정주의의 근본적 갈등의 내용을 보다 정확히 직시할 수 있도록 하였고, 아울러 다양한 사례의 제시를 통해 우리 사회의 시민과 엘리트들이 양자 관계를 조화로운 관계로 이끌 수 있도록 지혜를 제공하였다는 점이다. 갈등과 조화의 가능성이 모두 열려 있는 민주주의와 헌정주의의 관계가 어떻게 정립될 것인가는 결국 그 사회를 이끄는 주체인 시민과 엘리트의 몫이기 때문이다.
  • 영문
  • Recently various dimensions of Korean society resume debates on constitutional amendment. The recent debates on constitutional amendment are differentiated from the past ones that were stained by nasty power struggles well known in the Korean consitutional history. The recent debates respond to the new environment that requires a new civic identity of the Koreans in the age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al revolution as well as in the new phase of north-south relationship in the Korean peninsula. Nevertheless, as long as the debates on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are involved in the issues of power structure or election systems, constitutionalism is very likely to collide with the principle of democracy( ), the zealot of which has erupted since 1980s-Korean-democratic movement. Having assumed that the conflict between democracy and constitutionalism is to be highly probable-we have already experienced social disturbance due to the conflict in the cases of President Roh's impeachment and capital movement plan- this study attempted to tackle the fundamental problems that hinge upon the conflict between democracy and constitutionalism in Korean society. In order to initiate constructive debates on topos of our democracy and constitutionalism, this study examines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democracy and constitutionalism in four countries (US, Japan, Brazil and Korea)

    The study is composed of three parts. The first part is focused on theory and history on the problematic relationship between democracy and constitutionalism. An article examines origins of the conflict in the context of political thought and seeks the alternative relationship in the ancient Greek context. The other article pursues new framework which makes it possible to accommodate the values of democracy and constitutionalism in Korean society. The second part deals with three foreign cases(US, Japan and Brazil), which show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relating constitutionalism to democracy. The third part approaches to Korean context more concretely by paying special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dministration and constitutionalism on the one hand and to Korean constitutional history on the other hand.
    Since modern era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cracy and constitutionalism has oscillated between conflict and harmony according how effectively democracy is moderated by constitutionalism and, at the same time, vice versa. It seems that this statement is so obvious that the our study looks like redundant. True, our study does not draw a clear picture for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democracy and constitutionalism for the Korean future, since our study is not so naive to suggest blind assimilation to successful case or self-indulging censure to failure case. Instead, our study revealed subtlety and complexity of the relationship. By examining cases abroad and domestic, our study succeeds in offering to our society unbiased and balanced insight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cracy and constitutionalism, the insights which will make both mass and elites prudent in managing the two most precious political valu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최근 우리 사회에서는 1987년에 도입되어 오늘날까지 효력을 갖고 있는 현행헌법의 개정 논의가 다양한 차원에서 전개되고 있다. 물론 과거와 같이 권력구조 개편만을 목적으로 하는 것은 아니다. 21세기는 세계화 정보화 남북관계의 변화를 반영하는 새로운 국민정체성 담아낼 수 있는 새로운 헌정질서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정치의 맥락에서 우리의 개헌 논의가 권력구조 개편이나 선거제도의 개선 등을 중심으로 전개될 경우, 80년대 이후 꾸준히 성장해온 우리의 민주주의와 헌정주의가 충돌할 가능성은 아주 높다. 이렇듯 민주주의와 헌정주의의 예견되는 충돌에 비추어 볼 때, 이제 우리가 해결해야 할 근본적인 문제는 단순히 기술적 제도적 차원의 개헌논의가 아닌, 우리사회의 민주주의와 헌정주의가 안고 있는 근본적인 갈등이 무엇인지 이해하고 양자의 조화 가능성을 모색하는 일이다. 우리는 어떤 민주주의를 목표로 할 것이며, 또한 우리는 어떤 헌정질서를 만들어 갈 것인지에 대한 사회적인 토론과 합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국가적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학문적 노력의 일환으로 현대 정치사회의 대표적인 구성원리인 민주주의와 헌정주의의 갈등과 조화의 동학을 검토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헌법개정논의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따라서 적절한 시점에 이 연구를 헌법개정과 관련된 다른 연구들과 함께 학술대토론회를 개최, 발표할 만하다. 예를 들어 한국정치학회나 헌법학회 등에서 특별학술회의를 기획하여, 본 연구결과를 발표할 수 있다. 학술단체뿐 아니라 주요 정치집단과 시민단체를 포함한 공청회에서 본 연구결과는 현실적인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나아가 헌법개정 참여자들에게는 실질적인 참고자료의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본다. 헌법개정 논의가 기술적 헌법공학적 수준에 머물러 있고, 헌법정치를 둘러싼 포괄적 입문서가 상대적으로 빈약한 한국적 현실을 감안할때, 본 연구결과는 이러한 공백을 메운다. 따라서 헌법개정을 둘러싼 주요 행위자들의 교양자료로 이 연구의 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후 출판될 책을 각 사회단체, 정당, 국회 등에 배포한다. 이와 함께 이 연구는 정치학 전공교육을 위한 교과서로 활용가능하다. 상대적으로 헌법을 정치학적으로 분석 조망한 연구서가 부족한 형편에서 이 연구는 민주화 이후 중요성이 높아지는 헌법정치에 대한 입문서로서 그 역할을 충분히 감당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한국정치학 혹은 헌법정치학 등의 과목에 주요 교재로 채택 활용할 수 있다.
  • 색인어
  • 헌정주의, 민주주의, 법의 지배, 헌정질서, 공화주의, 입헌민주주의, 한국헌법, 미국헌법, 일본헌법, 브라질헌법, 대통령제, 사법심사, 미국 대법원,원본주의, 이중민주주의, 로버트 달,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