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국 청소년의 일탈행동 형성과정에 대한 종단 분석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선도연구자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5-041-B00495
선정년도 2005 년
연구기간 1 년 (2005년 12월 01일 ~ 2006년 11월 30일)
연구책임자 박영신
연구수행기관 인하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한국 사회에서 청소년 일탈행동이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날로 심각해져 가고 있고, 사회문제로까지 인식되고 있는 실정(박영신, 김의철, 2005)이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 청소년의 일탈행동이 청소년기 동안에 어떻게 형성되며, 나아가서 어떠한 변화를 하는지를 종단자료를 통해 규명하고, 보다 종합적인 분석을 시도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이미 자료를 수집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고등학생 시기에서 종단적으로 계속 추적하여 수집한 자료를 기초로, 청소년 일탈행동의 변화 추이와 이러한 일탈행동이 청소년의 심리 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1) 학문적 측면에서의 의의
    * 한국 청소년의 일탈행동 변화에 대한 종단 연구의 시도
    * 한국 청소년 일탈행동의 토착심리 규명
    * 변인들의 관계에 대한 인과적 모형 검증:
    인간관계와 일탈행동의 관계에 있어 도덕적 이탈의 매개변인 역할 검증
    2) 사회적 측면에서의 의의
    * 청소년의 일탈행동 감소를 위한 방안의 모색
    * 급격한 사회변동에 따른 청소년 일탈행동의 특성에 대한 분석
    3) 연구결과의 활용방안
    * 한국의 토착적인 인간관계에 초점을 둔 구체적인 청소년 지도 방안
    * 부모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실천에 적극적인 활용
    * 도덕적 이탈 감소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방략의 제시
  • 연구요약
  •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 일탈행동의 변화 추이와 이러한 일탈행동이 청소년의 심리 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초등학생 시기에서 고등학생 시기까지 종단적으로 추적하여 분석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로 요약된다: 1) 양적으로 증가하고 질적으로 흉포화되고 있는 청소년 일탈행동에 대한 체계적 연구의 필요. 2) 한국 청소년 일탈행동의 형성과정을 종단적 자료에 기초하여 분석. 3) 다양한 인간관계가 청소년의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과적 분석. 4) 청소년의 심리적이고 행동적인 특성과 일탈행동의 관계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

    이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일탈행동과 인간관계 및 다양한 심리 행동 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선행연구 결과들에 기초하여 제작한다. 예컨대 부모자녀관계, 교사학생관계, 친구관계, 도덕적 이탈,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생활만족도 변인 등이 포함된 측정 도구를 제작한다. 이러한 도구들은 양적인 측정방법을 채택하게 될 것이다. 도구의 제작 과정에서, 적절한 하위변인을 설정하고 각 하위변인을 측정하는데 적절한 문항들을 구성한다.
    둘째, 제작된 측정도구를 기초로 청소년기의 일탈행동 변화과정에 대해 종단자료에 토대하여 분석한다. 즉 청소년의 일탈행동뿐만 아니라 인간관계와 심리적 특성들이 초등학생에서 고등학생으로 됨에 따라 어떠한 변화를 거치며, 결과적으로 그러한 특징이 일탈행동과는 어떠한 유기적 관련과 영향력을 갖는지를 살펴본다.
    셋째, 한국 청소년의 토착적인 심리특성과 인간관계 특성들이, 일탈행동과 어떠한 관련을 갖고 있는지를 심도있게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다양한 변인간의 관계를 종단적으로 분석하는 연구모형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모형을 활용하여 변인간의 인과관계를 검토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 연구의 표집대상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계획된다. 즉 7년 전에 초등학교 6학년으로서 횡단연구에 표집되었던 학생들은 2000명이었다. 그 학생들을 종단적으로 추적하는 작업을 그동안 꾸준히 해 왔는데, 만약 이 연구계획서가 채택된다면 그러한 종단 자료 수집을 계속하여, 종단 자료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처음에 표집되었던 표집대상들을 최대한 많이 표집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예컨대 타 지역으로 멀리 이사를 갔다든가, 중학교까지 졸업한 뒤에 학업을 중단한 경우라든가, 사망한 경우 등 불가피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최대한의 추적을 통해 원래 표집되었던 대상들을 재표집 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측정도구는, 앞으로 지속적으로 한국 청소년의 심리와 행동을 연구할 수 있는 종단자료를 구축하는데 적절할 수 있도록, 응답자의 연락망을 구축할 수 있는 양식을 포함하고자 한다. 또한 청소년의 일탈행동만이 아니라, 관련되어 있는 다양한 변인들을 측정하는 질문지로 구성하고자 한다. 질문지에 포함하고자 하는 측정변인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환경변인 예] ① 부모의 사회적 지원 (정서적 지원, 정보적 지원), ② 부모자녀관계 (적대, 애정, 성취압력, 통제, 거부), ③ 친구관계 (애정, 따돌림), ④ 교사학생관계 (애정, 적대)
    [심리변인 예] ① 도덕적 이탈 (도덕적 이탈), ② 자기효능감 (학업성취효능감, 자기조절학습효능감, 관계효능감, 어려움극복 효능감, 자기주장효능감, 사회성효능감), ③ 학업포부수준, ④ 스트레스 증상 (신체적, 심리적),
    [행동변인 예] ① 일탈행동 (사소한 문제행동, 심각한 일탈행동), ② 학교폭력행동 (폭력피해경험, 폭력가해행동, 폭력행동관찰), ③ 학업성취도 (평균성적, 다른 학생과 비교된 성적), ④ 공부시간 (개인과외 공부시간, 학원 공부시간, 학교외 공부시간),
    [배경정보] 성별, 소속 학교 등
  • 한글키워드
  • 학교처벌경험, 따돌림,종단분석,학교 폭력행동,일탈행동,한글: 청소년,자기효능감,스트레스,인간관계,거부,적대, 도덕적 이탈
  • 영문키워드
  • adolescent,rejection, exclusion,self-efficacy,stress,school punishment,hostility,human relationship,delinquent behavior,school violence, moral disengagement,longitudinal analysis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종단 자료의 분석을 통해 한국 청소년의 일탈행동 형성과정을 이해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1,012명 표집하였으며, 중학교 1학년을 거쳐, 중학교 3학년까지 3차에 모두 응답한 739명이 최종 분석대상이었다. 중다회귀분석 결과, 청소년의 일탈행동을 의미있게 예언하는 변인은 폭력가해행동, 과거 일탈행동, 학교처벌경험, 폭력피해경험, 사회성효능감, 도덕적 이탈이었다. 경로분석 결과, 6개 예언변인들의 일탈행동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 외에도, 인간관계 변인들의 간접적인 영향과, 도덕적 이탈 및 사회성효능감의 매개변인으로서 역할이 확인되었다. 친구 따돌림은 사회성효능감을 감소시키며, 낮아진 사회성효능감은 폭력피해경험을 증가시키고, 피해경험이 많을수록 폭력가해행동을 많이 하며, 가해행동을 하는 청소년들이 다양한 일탈행동을 하였다. 부모의 거부, 친구의 따돌림, 교사의 적대 및 과거의 일탈행동은 도덕적 이탈을 증진시키며, 도덕적 이탈은 폭력가해행동과 일탈행동의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성적이 낮을수록 학교에서 처벌경험이 많고, 처벌을 받을수록 폭력가해행동과 일탈행동에 더욱 개입하였다. 한국 청소년의 일탈행동 형성과정과 관련된 이러한 결과들에 토대하여, 일탈행동 형성과정에서 도덕적 이탈과 사회성효능감의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 부정적 경험의 누적을 통한 일탈적 삶의 구성, 일탈행동을 가속화시키는 친구 따돌림의 다양한 심리적 기제들, 부모의 거부가 청소년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일탈행동으로 연결되는 하나의 경로로서 낮은 학업성취가 논의되었다.
  • 영문
  • This study examines factors that influence delinquent behavior among Korean adolescents using longitudinal analysis. A total of 1,012 stud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when they were Grade 6 and 739 students completed a follow-up questionnaire when they became Grade 9.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 that the following variables predicted delinquent behavior of Grade 9 students: Bullying, previous delinquency, experience of punishment, victimization, social efficacy, and moral disengagement. The above six variables have direct and mediating influence of delinquent behavior. Relational factors also influenced delinquent behavior. Social exclusion from friends reduce social efficacy, which increases victimization and which in turn increases bullying, leading to greater delinquency. Parental rejection, social exclusion from friends and hostility from teachers increase moral disengagement, which increases bullying, leading to delinquency. Low academic achievement increases the likelihood of being punished, which increases bullying, leading to delinquency. The results indicate that moral disengagement and social efficacy are mediating factors of delinquency and negative life-events (i.e., social exclusion from friends, rejection from teachers, hostility from parents and low academic achievement) increase the likelihood that Korean adolescents will engage in delinquent behavior.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종단 자료의 분석을 통해 한국 청소년의 일탈행동 형성과정을 이해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1,012명 표집하였으며, 중학교 1학년을 거쳐, 중학교 3학년까지 3차에 모두 응답한 739명이 최종 분석대상이었다. 중다회귀분석 결과, 청소년의 일탈행동을 의미있게 예언하는 변인은 폭력가해행동, 과거 일탈행동, 학교처벌경험, 폭력피해경험, 사회성효능감, 도덕적 이탈이었다. 경로분석 결과, 6개 예언변인들의 일탈행동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 외에도, 인간관계 변인들의 간접적인 영향과, 도덕적 이탈 및 사회성효능감의 매개변인으로서 역할이 확인되었다. 친구 따돌림은 사회성효능감을 감소시키며, 낮아진 사회성효능감은 폭력피해경험을 증가시키고, 피해경험이 많을수록 폭력가해행동을 많이 하며, 가해행동을 하는 청소년들이 다양한 일탈행동을 하였다. 부모의 거부, 친구의 따돌림, 교사의 적대 및 과거의 일탈행동은 도덕적 이탈을 증진시키며, 도덕적 이탈은 폭력가해행동과 일탈행동의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성적이 낮을수록 학교에서 처벌경험이 많고, 처벌을 받을수록 폭력가해행동과 일탈행동에 더욱 개입하였다. 한국 청소년의 일탈행동 형성과정과 관련된 이러한 결과들에 토대하여, 일탈행동 형성과정에서 도덕적 이탈과 사회성효능감의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 부정적 경험의 누적을 통한 일탈적 삶의 구성, 일탈행동을 가속화시키는 친구 따돌림의 다양한 심리적 기제들, 부모의 거부가 청소년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일탈행동으로 연결되는 하나의 경로로서 낮은 학업성취가 논의되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

    <목차>
    연구 목적: 청소년들이 왜 일탈행동을 하게 되는가
    연구 내용: 청소년 일탈행동 형성과정에서 무엇을 다룰 것인가
    인간관계가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의미있는 타인의 거부가 남기는 상처들
    심리특성과 일탈행동의 관계: 도덕적 이탈,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일탈행동의 경험, 그리고 누적의 메커니즘
    방법
    표집대상: 표 1. 표집대상
    측정도구: 표 2. 측정변인의 구성과 신뢰도
    실시방법
    결과
    일탈행동과 인간관계, 심리특성, 행동특성의 관계
    표 3. 일탈행동, 인간관계, 심리특성, 행동특성의 상관관계
    일탈행동 요인을 구성하고 있는 변인들
    그림 1. 일탈행동과 학업성취 요인의 요인구조
    일탈행동을 의미있게 예측하는 변인들
    표 4. 일탈행동을 예측하는 변인 탐색을 위한 중다회귀분석
    표 5. 일탈행동을 예측하는 변인들과 인간관계, 심리특성, 행동특성 변인들간의 관계
    청소년 일탈행동의 형성에 대한 경로분석
    그림 2. 청소년 일탈행동의 형성과정 기본모형
    그림 3. 청소년 일탈행동의 형성과정 대안모형
    그림 4. 청소년 일탈행동의 형성과정 기본모형: 경로분석
    그림 5. 청소년 일탈행동의 형성과정 대안모형: 경로분석
    논의
    도덕적 이탈: 일탈행동 형성과정에서의 매개변인
    삶의 양식으로서 일탈: 반복되는 부정적 경험
    친구 따돌림의 다양한 심리적 기제들
    부모의 거부가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낮은 학업성취: 일탈행동으로 연결되는 또 하나의 경로
    후속연구 제안: ‘생각의 주머니’

    결론: 마음의 진주를 찾아서
    청소년 일탈행동 지도를 위한 시사: 개별적 일탈행동 지도에서 학습환경 리모델링으로
    마음의 진주를 찾아서
    한국 사회의 관계문화 맥락 속에서 청소년 일탈행동의 토착심리 탐구

    2. 연구결과의 활용방안
    * 한국의 토착적인 인간관계에 초점을 둔 구체적인 청소년 지도 방안
    * 부모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실천에 적극적인 활용
    * 도덕적 이탈 감소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방략의 제시
  • 색인어
  • 청소년 일탈행동, 도덕적 이탈, 사회성효능감, 폭력가해행동, 폭력피해경험, 학교처벌경험, 친구 따돌림, 인간관계, 종단분석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