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계량서지적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중심성 척도에 관한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우수논문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07-325-H00010
선정년도 2007 년
연구기간 1 년 (2007년 12월 01일 ~ 2008년 11월 30일)
연구책임자 이재윤
연구수행기관 경기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 연구의 목표는 사회 네트워크 분석 분야에서 사용되어온 전통적인 중심성 척도를 개선하여 계량서지적 네트워크에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중심성 분석은 중심성 척도라는 지표를 이용해서 조직 내 개체의 지위와 역할을 해석하는 기법으로서 Freeman(1979)이 정리한 세 가지 중심성 척도가 대표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사회 네트워크 분석 분야의 중심성 척도는 연결 여부만 구분하는 이진 네트워크에 적용하기 위한 것이고, 링크에 가중치가 부여된 가중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제대로 적용할 수가 없다. 동시인용이나 동시링크와 같이 계량서지적 분석의 대상이 되는 자료는 대부분 빈도행렬로 표현되며 이를 네트워크로 나타내면 연결 가중치가 있는 가중 네트워크가 된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 중심성 척도를 참고하여 계량서지적 네트워크에서 중심성을 분석하기 위한 네 가지 새로운 척도를 제안하고, 실제 계량서지 자료에 적용하여 그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 기대효과
  • 이 연구의 기대 효과는 다음과 같다. ① 제안한 새로운 중심성 척도로 계량서지적 자료에 대한 중심성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개별 연구자, 연구집단, 문헌, 학술지 등의 입지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기존의 저자동시인용 분석과 같은 계량서지학 연구에서는 개별 연구자가 어떤 군집에 속하는지 여부만 파악할 수 있었으나, 제안된 척도를 이용하면 어느 영역에서 특정 연구자가 어느 정도 중심에 위치하는가를 수치로 나타낼 수 있다. ② 계량서지적 자료를 시각화함으로써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정보손실을 피하고 계량적인 분석에 충실할 수 있다. 전통적인 지적 구조 분석 연구에서 군집분석과 다차원척도법 등을 통해서 생성된 지도를 연구자나 주제전문가가 주관적으로 해석하였던 점에 비하면 중심성 척도는 계량서지학의 본질에 더 가까운 계량적 분석 도구가 된다. ③ 이 연구에서 제안한 여러 중심성 척도를 통해서 개별 개체의 입지 뿐만 아니라 분석 대상 네트워크의 구조적인 특성(밀집 여부, 소수 과점 여부 등)을 전반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④ 학술지나 대학, 혹은 국가를 단위로 하여 이 연구에서 제안한 척도로 중심성을 파악하면 단순 빈도에 의한 순위가 아닌 구조적인 측면에서의 성과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⑤ 제안한 척도는 계량서지학 분야 이외에 링크가 가중치로 표현되는 모든 네트워크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최근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네트워크 과학의 발전에 폭넓게 기여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계량서지적 네트워크에 대한 중심성 분석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새로운 중심성 척도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척도 중에서 최근접중심성은 지역 중심성을 측정하는 척도이고, 평균연관성, 평균프로파일연관성, 삼각매개중심성은 전역 중심성을 측정하는 척도이다. 지역 중심성을 측정하기 위한 용도로는 최근접중심성 이외에도 삼각매개중심성의 측정 범위를 주변 5개 노드로 제한한 근접 5노드 삼각매개중심성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역 중심성을 측정하는 척도중에서는 평균연관성보다 상관계수를 활용한 평균프로파일연관성이 구조적인 중심을 더 잘 찾아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 중심성을 측정할 때에는 최근접중심성과 근접 5노드 삼각매개중심성을 적용하고, 전역 중심성을 측정할 때에는 삼각매개중심성과 평균프로파일연관성을 적용하면 효율적인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제안된 척도를 검증하기 위해서 저자동시인용 네트워크, 용어 동시출현 네트워크, 웹 사이트 동시링크 네트워크와 같은 다양한 계량서지적 자료에 적용해서 중심성을 분석해보았다. 분석 결과 다차원척도법이나 군집분석, 패스파인더 네트워크와 같은 시각적인 분석 기법에 비해서 각 노드의 전체적인 입지와 국지적인 입지를 모두 더 분명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역 중심성 척도 중에서도 삼각매개중심성 척도는 영향력의 넓이를 반영하는데 반해서, 평균프로파일연관성 척도는 구조적으로 중심에 위치하는 정도를 반영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영향력 면에서 대표적인 노드를 찾기 위해서는 삼각매개중심성 척도를 활용하고, 중립적 혹은 중간적인 위치의 노드를 찾기 위해서는 평균프로파일연관성 척도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근접 5노드 삼각매개중심성 척도는 여러 소주제를 망라하여 고르게 대표 노드를 파악할 때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근접 5노드 삼각매개중심성이나 군집내 삼각매개중심성과 같이 삼각매개중심성 척도는 측정 범위를 임의대로 정하여 파악할 수 있는 융통성을 가지고 있다. 삼각매개중심성의 측정 범위를 최소에서 최대까지 달리하면서 중심성을 분석하면 각 노드를 ①지역 및 전역 중심 유형, ②지역 중심 유형, ③전역 중심 유형, ④주변 유형의 네 가지로 구분할 수가 있었다. 이는 기존의 지적 구조 분석 방식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정보이며, 단순히 각 노드가 중심성이 높거나 낮다는 평면적인 분석으로부터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어느 정도 입체적인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고 판단된다.
  • 한글키워드
  • 용어동시출현 분석,계량서지학,중심성 분석,가중 네트워크,저자동시인용 분석,중심성 척도,네트워크 분석,동시링크 분석
  • 영문키워드
  • Bibliometrics,Author Co-citation Analysis,Co-link Analysis,Co-word Analysis,Weighted Network,Network Analysis,Centrality Analysis,Centrality Measures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