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동아시아 페미니즘 시각에서 본 한국여성평화운동에 관한 연구 - '평화여성회'를 중심으로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07-327-B00374
선정년도 2007 년
연구기간 1 년 (2007년 12월 01일 ~ 2008년 11월 30일)
연구책임자 문소정
연구수행기관 서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한국의 여성평화운동단체 '평화를 만드는 여성회'(이하 '평화여성회'로 약침)는 1997년 3월 28일 설립되어 2007년 현재까지 10여년간 활동해오고 있다. 한국여성평화운동의 전개에서 '평화여성회'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것은 첫째, 여성의 경험과 관점에서 평화운동을 한다는 점이다. 둘째, 한국의 사회역사적 과제인 군사적 충돌을 막고 통일과 군축, 탈군사화, 반전을 운동의 과제로 삼은 여성평화운동단체라는 점이다. 셋째, '87체제이후 가부장제적 틀 속에서 사유하고 운동해온 흐름을 바꾸어 여성문제를 사회역사적 구조와 연관하여 인식하는 틀을 회복하고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통일과 군축, 탈군사화, 반전을 운동의 과제로 삼은 10여년간의 '평화여성회'의 사고와 행동에 대하여 동아시아 페미니즘 시각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즉 가부장제, 군사주의, (신)식민주의의 동아시아체제에 대하여 갖는 탈식민성과 동시에 동아시아 체제가 내장한 국가안보이데올로기, 민족주의, 서구(일본)페미니즘의 영향과 관련한 (신)식민성을 살펴보고자 하며, 이러한 탈식민성과 (신)식민성의 인지틀에서 '평화여성회가' 갖고 있는 인지적 실천(cognitive praxis)의 특성과 딜렘마를 분석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첫째, 본 연구는 1980년대 이후 서구페미니즘의 도입, '87체제이후 사회운동사회(social movement society)의 대두와 함께 한국여성운동이 활발하게 분출되어 왔지만, 이에 비해 여성운동 연구가 상대적으로 지체되어 있는 현실, 그리고 한국여성운동에 대한 평가기준으로서의 보수/진보 구도로 인해 진보적 여성운동에 대한 과학적 성찰이 유보되거나 편향되어 있는 현실에서 소위 '진보적' 여성운동으로 알려진 '평화여성회'의 사고와 행동을 분석함으로써 넓게는 한국여성운동, 좁게는 한국여성평화운동에 대한 연구를 한단계 진전시킨다. 둘째, 본연구는 동아시아 페미니즘 시각에서 '평화여성회'를 중심으로 1990년대 이후 한국여성평화운동을 보수/진보라는 이항대립적 구도, 일국주의적 패러다임을 벗어나서 동아시아 체제라는 국제적 맥락에서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민족적 현실과 역사적 특수성에 기초한 평화개념 및 여성평화운동론을 제안하는데 기여한다. 셋째, 본 연구는 1990년대 탈냉전후 긴장과 갈등이 고조되고 있는 동아시아에서 동아시아 평화체제구축을 위한 동아시아 여성의 연대운동에서 한국의 입장과 서구(특히 미국)와 일본의 입장의 차이를 살펴보고 국제적 여성평화연대운동에서 한국의 입장을 관철해내는 주체적인 사고에 기초하여 인종, 민족, 국가의 경계를 횡단하는 탈식민적 초국적 동아시아 페미니스트 정치학의 가능성을 전망하는데 기여한다. 넷째, 1990년대부터 여성연구나 사회과학계에서는 동아시아 페미니즘 시각이 모색되고, 동아시아 페미니즘 시각의 이론적 타당성과 분석의 능력을 검증하는 연구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실정에서 한국여성운동경험에 대한 동아시아 페미니즘 시각에서의 적용은 동아시아 페미니즘의 이론적 능력을 검증하는데 기여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의 연구방법론은 동아시아 페미니즘 시각과 사회운동론 중 구성주의 사회운동론의 일환인 인지적 실천론을 통합하여 분석한다. 인지적 실천론은 사회운동을 "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 새로운 지식, 사상과 관념을 확산시키는 활동"을 말하는 인지적 실천을 수행하는 집합적 과정으로 정의하고 사회운동의 분석에서 운동가집단, 즉 운동지식인의 역할에 주목하는 접근이다. 이와 같은 인지적 실천론으로서의 여성평화운동, 그리고 그것에 대한 분석시각으로 동아시아 페미니즘에 입각하여 진행한다. 자료는 '평화여성회'의 인지적 실천을 보여주는 각종 문서자료를 수집하고 '평화여성회' 운동집단에 대한 구조화된, 심층적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생산하여 활용한다.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1990년대 이후 사회역사적 공간으로서의 동아시아 체제가 어떻게 변동되었는지, 그리고 동아시아체제에 대한 동아시아 행위주체들의 의식공간으로서의 동아시아가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살펴본다. 그리고 동아시아의 의식적 공간에서 '평화여성회'의 위치와 의미를 규명한다. 둘째, '평화여성회' 운동집단, 즉 운동지식인의 사고와 이념적 지향을 살펴본다. 크게 세가지로 분류하여 살펴본다. 즉 1) 1990년대 초 '아시아의 평화와 여성의 역할' 남측 실행위원회, 2) 방위비삭감운동에 참여한 사람들 , 3) 이들 외 '평화여성회'에 합류한 사람들이다. 셋째, '평화여성회'의 인지적 실천의 특성과 딜렘마를 동아시아 페미니스트 정치학 의제인 가부장제, 군사주의, (신)식민주의의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에 대하여 '평화여성회'가 어떻게 사고하고 담론을 구성해왔는지 살펴본다. 이러한 인지틀 분석을 통해 가부장제, 군사주의, (신)식민주의에 대한 '평화여성회'의 균열된 혹은 연결된 사고를 분석한다. 동시에 이러한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동아시아체제의 국가안보이데올로기, 민족주의, 서구(일본)페미니즘의 영향을 분석한다. 넷째, '평화여성회'의 탈식민성과 식민성의 인지틀에서 보여지는 인지적 실천의 딜렘마를 규명한다. 즉 젠더, 민족, 국가관계에서 착종되어 나타난 여러가지 쟁점들, 즉 평화개념, 일본의 군사화 군국주의에 대한 입장, 한국의 군축문제, 여성평화운동의 피해자 관점과 어머니관점 등을 살펴본다 .
  • 한글키워드
  • 의식공간,동아시아 페미니즘,탈식민성,식민성,초국적 페미니즘,탈식민주의,사회역사적 공간,인지적 실천,군사주의,가부장제,'평화를 만드는 여성회',운동지식인,한국여성평화운동,(신)식민주의
  • 영문키워드
  • Patriarchism,Coloniality,Postcolonialism,'Women's Making Pace',Korea Women's Peace Movement,Militarism,(Neo)colonialism,East-Asian Feminism,Consciousness Space,Social-histoic Space,Trans-national Feminism,Postcoloniality,Movement Intellectual,Cognitive Praxis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평화여성회'는 탈냉전을 맞아 한국에서 여성들이 결성하여 만든 여성평화운동단체이다. 1997년 3월 결성되어 현재까지 한국의 평화통일, 동아시아와 전세계의 평화를 위하여 활동하고 있다. '평화여성회'는 1987년 이후 여성의 권익향상만을 추구하는 많은 여성단체들과는 달리 한국의 사회역사적 문제를 여성의 억압적 경험과 연계하여 활동하는 이념을 추구하고 있다. 이 연구는 1997년부터 2007년까지 '평화여성회'의 운동 중, 특히 '인지적 실천(cognitive praxis)에 초점을 맞추어 '평화여성회'의 운동을 동아시아 페미니즘 시각에서 해석하였다 . 인지적 실천은 사회운동과정에서 "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 새로운 지식, 사상과 관념을 만들어내고 확산시키는 "지식기획과 생산이 일어나며, 이러한 지식생산 차원을 운동의 한 형태로 이해하는 개념이다. 한편 동아시아 페미니즘 시각은 한국 여성의 경험을 동아시아 맥락에서 주목하여 이해하려는 지적 실험이다. 그런데 동아시아 맥락에 주목하게 되면 한국여성의 억압적 경험을 주조하는, 근대이래 현재까지의 포스트식민성에 주목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1997년부터 2007년까지 '평화여성회'의 인지적 실천에 주목하여 동아시아의 포스트식민성에 대하여 어떠한 인지적 실천을 펼쳤는지 고찰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평화여성회'는 여성평화운동의 과제로 한국적 맥락, 동아시아 맥락에서 세가지를 도출하고 정의하였다. 그것은 평화통일문제, 평화군축문제, 평화문화문제였다. 이러한 운동과제는 서구 여성평화운동과 다른 것이다. 즉 한국적 여성평화운동의 과제인 것이다. 둘째, 이러한 세가지 과제에 대한 '평화여성회'의 인지적 실천은 한국의 맥락,동아시아 맥락에서 탈식민주의적 인지적 실천으로 전개되었다. 특히 주한미군문제, 일본의 재군사화를 비롯한 동아시아 군사화에 대하여 저항하고 변화를 추구하였다. 셋째, 평화통일, 평화군축, 평화문화과제에 대한 '평화여성회'의 탈식민주의적 인지적 실천은 현실적으로 제약당하여 딜렘마를 보여주었다. 즉 평화군촉이 서구에 비해 전면적이고 완전한 군축 내용을 담지 못하였고, 평화문화도 탈식민주의적으로 기획된 것과 달리 평화통일, 평화군축과 연계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한계를 보여준 것은 동아시아 모순의 결절점에 위치한 한국의 현실적 상황과 서구의 평화운동과 페미니즘의 지식, 문화적 코드에서 인지적 실천이 구성되었기 때문이다. 예컨대 인간안보개념, 적극적 평화개념, 미국의 친우봉사회의 평화문화 교육 프로그램 등과 접합되면서 한국적 여성평화운동의 의제가 부분적으로 탈지역화되었다.
  • 영문
  • This research examines the cognitive praxis of Korean women's peace movement from East-Asian feminist perspective.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t studies the peace movement of ' Women's Making Peace'. 'Women's Making Peace', or 'WMP' is a women's organization of peace movement in Korea. Women's peace movement in Korea by WMP began in the late 1990s, focusing on the peaceful reunification and the peace in East-Asia.
    1) Perspective and theory :By using the term of cognitive praxis, it is relationed to productive role of knowledge in particular womem's movement. And knowledge is concepts, ideas and the intellectual activities that characterize particular social movement. Namely, cognitive praxis is the core activity of social movement. Therefore it is precisely in the creation, articulation , formulation of new thoughts and ideas,new knowledge that a social movement defines itself in society. Another characteristics of this research is that it seeks to read postcolonial cognitive praxis of WMP in East-Asian political historical context.
    2) Data-collection:Data are constituted of documents of WMP and oral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in 2008 with six women recruited through WMP. These women are WMP staff-member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open-ended question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WMP's peace movement.
    3) Findings:Several findings of this research have been the followings. First, WMP's main issues in the peace movement so far have constructed are peaceful reunification, disarmament and peace culture(education). These three issues are defined in(neo)colonial political historical context of East-Asia. Therefore WMP's issues of peace movement have the characteristics of postcolonial cognitive praxis. This cognitive praxis is compared with Western women's peace movement groups focusing anti-war,anti-nuclear and demilitarization campaign in the 1990s. Especially, peaceful reunification of a divided peninsula is a special agenda of Korean women's peace movement. Second WMP's postcolonial cognitive praxis of peace movement made it difficult to realize perpectly in Korea. Because there are two obstacles to postcolonial cognitive praxis of WMP's peace movement. On one hand, militarist culture is embedded in Korea society. In that situation, the WMP's cognitive praxis on the issue of disarmament is filled with the contents of reduction of military expenditure, objection to the U.S. army in Korea and remilitarization in Japan and so on. Not contained the abolition of mandatory military service and armed forces and weapons. On the other hand, WMP's cognitive praxis of peace movement based on the ideas,conceps and knowledge developed in Western peace movement and peace studies. Namely ,the examples are human-security, positive peace, structural and cultural violence and so on. Especially,in the early 2000s WMP strongly seeks to develop method of peace education. And WMP seeks to apply the HIPP(Help Increase The Peace Program), a conflict resolution program of AFSC(American Friends Service Committee) to Korean women for peace and reconciliation. But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e relevance of these programs to Koran women. Finally, when viewed through East-Asian perspective postcolonial cognitive praxis of WMP's peace movement has dilemma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한국여성평화운동사에서 '평화를 만드는 여성회(이하 평화여성회 약칭)"은 중요한 위치를 지닌다. 즉 '평화여성회'는 한국 여성의 경험에서 한국의 사회역사적 과제인 반전과 통일, 군축, 탈군사화를 운동 과제로 삼은 전문적인 여성운동단체이다. 또한 '평황여성회'는 '87체제 이후 가부장제적 인식틀에서 여성문제를 사유하는 지배적인 흐름 속에서 여성문제를 사회역사적 구조와 연관지어 인식하는 틀을 이어온 여성운동단체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1997년 결성되어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는 '평화여성회'의 운동을 동아시아 페미니즘 시각에서 해석한 것이다. 즉 동아시아 페미니스트 정치의 의제인 가부장제, 군사주의, (신)식민주의에 대하여 평화여성회가 어떻게 사고하고 변화시키고자 하였는지 그 탈식민주의적 성격을 규명하고, 이러한 탈식민주의적 실천에서 보인 한계와 딜렘마를 고찰하고자 한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네가지 연구내용에 초점을 맞추었다. 첫째, '평화여성회'가 결성된 배경, 주체가 한국여성운동 지형에서 어떤 사고와 이념적 지향을 가졌는지, 어떤 운동궤적을 가진 집단인지 고찰하였다. 둘째, '평화여성회'의 이념과 운동목표, 운동과제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셋째, 평화여성회가 가부장제, 군사주의, (신)식민주의 동아시아 체제에 대하여 전개한 탈식민주의적 실천을 고찰하였다. 넷째, '평화여성회'의 탈식민주의적 실천과정에서 보여지는 한계와 딜렘마를 군사안보이데올로기, 서구페미니즘과 평화운동지식의 영향 등에서 고찰하였다. 이러한 연구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인지적 실천론으로서의 사회운동이론과 동아시아 페미니즘 시각을 연계하였다. 인지적 실천론(cognitive praxis)는 사회운동을 인지적 실천, 즉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 새로운 지식, 사상과 관념을 확산시키는 집합적 활동으로 보는 이론이다. 자료는 '1997년부터 2007년까지 10년 동안 '평화여성회'가 생산한 문서자료, 즉 워크샵자료, 창립선언문, 성명서, 기타 문서자료 및 '평화여성회'의 핵심적 활동가 6인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통해 생산한 구술자료를 수집, 분석, 해석하였다. 특히 심층 인터뷰에 의한 구술자료를 통해 문서자료의 이면에 있는 맥락과 의미를 파악하고, '평화여성회'의 탈식민주의적 인지적 실천과 그 딜렘마에 대한 활동가의 운동경험을 수집하였다 .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평화여성회'가 결성된 것은 1990년대 탈냉전의 흐름, 1970년대 부터 이어져온 한국여성평화운동의 흐름과 동력, 평화운동의 글로벌라이제이션을 배경으로 이루어졌다. '평화여성회'의 주체집단은 '평화여성회 창립준비위원회'의 여성들을 통해 볼 때, 한국여성운동지형에서 여성단체연합 소속의 진보적 여성, 교회여성연합회 등 기독교 여성단체 소속 여성들이 주류였다. 둘째, '평화여성회'의 이념은 단지 '여성의 권익향상'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여성의 경험에서 여성의 억압을 주조하는 사회구조의 변화를 목적으로 추구하는 이념적 지향을 지녔다. '평화여성회'의 운동목표는 민족의 평화통일, 나아가 동아시아와 전세계의 평화를 만들어가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평화여성회'는 평화통일문제, 평화군축문제, 평화문화문제를 핵심적 운동과제로 정의하였다. 셋째, '평화여성회'의 탈식민주의적 인지적 실천을 보면, 평화통일, 평화군축, 평화문화를 한국여성의 경험에서 평화적 과제로 정의해내고 있었다. 서구의 여성평화운동과 비교할 때 평화통일을 운동과제로 정의한 것, 그리고 평화군촉과 평화교육의 내용이 서구의 것과 완전히 달랐다. 또한 평화통일 문제, 평화군축 문제, 평화문화 문제를 '평화여성회'는 가부장제, 군사주의,(신)식민주의 동아시아 체제에서 연관지었고 이에 저항하는 인지적 실천을 추구하는 탈식민주의적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넷째, '평화여성회'의 탈식민주의적 인지적 실천은 현실적으로 제약받았고 문화적으로 제약받았다. 우선 현실적으로 한국에는 군사안보에 입각한 국가안보, 부국강병적 민족주의 문화가 배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문화적으로는 인간안보, 적극적 평화개념 등 서구 페미니즘과 평화연구의 지식이 지구화되면서 '평화여성회'의 의제도 이러한 서구의 문화적 지식 코드에서 재구성되었기 때문이다. 그 결과 평화군축의 인지적 실천이 방위비삭감, 군개혁 등 우회적인 내용으로 채워졌고, 이것조차도 대중적인 공감과 지지를 받지 못했으며, 전반적이고 완전한 군축으로 실천되지 못하였다. 그리고 평화문화 운동에서도 미국의 친우봉사회 프로그램의 적용 등 평화통일, 평화군축과 연계되지 못하는 한계와 딜렘마를 보여주었다. 이 연구는 한국과 해외의 한국학이나 여성학의 교육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색인어
  • 평화를 만드는 여성회, 여성평화운동, 동아시아 페미니즘 , 인지적 실천, 탈식민주의적 인지적 실천, 평화통일, 평화군축, 평화문화, 가부장제, 군사주의, (신)식민주의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