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중학교 체육교과서 내 무용단원내용 분석을 통한 디지털무용교육콘텐츠 개발 및 현장 적용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 #40;박사후국내연수&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8-354-G00093
선정년도 2008 년
연구기간 1 년 (2008년 09월 01일 ~ 2009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배수을
연구수행기관 서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 현행 중학교 무용수업의 원인 분석과 대안 모색
    1955년 8월 1일 공포한 제1차 교육과정부터 현재 7차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무용은 체육교과서의 한 단원으로 존재해 왔다. 그렇기에 무용은 타 예술 교과와는 다르게 독립된 교과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으며 무용교육이 갖는 교육적인 가치와 중요성을 제대로 학생들에게 전달하지 못하는 안타까운 실정에 놓여 있다. 또한 실제 무용수업에 교과서를 배제하고 프린트된 유인물을 사용하는 사례들도 종종 나타나고 있다.
    본 연수를 통해 현재 중학교 체육교과의 일부영역으로 지도되고 있는 무용수업의 운영현황을 알아보고 학생들의 만족도를 조사하여 이에 따른 원인을 파악하고 대안을 모색함으로서 보다 발전적이고 효율적인 중학교 무용교육의 설계 및 개발과 지도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 학습자를 고려한 디지털무용교육 환경 구축
    학습자가 가정이나 학교 등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장소에 있으면서 사이버공간을 통해 하는 학습하는 ‘e-러닝’, PC 없이도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시대의 교육을 뜻하는 ‘u-러닝’, 이동하면서 무선 인터넷과 같은 사이버공간을 통해 하는 학습하는 ‘m-러닝’ 등 디지털교육과 관련된 신조어들이 탄생하고 있는 현 시대적 과제에 부응하며 학습자를 고려한 디지털무용교육 환경을 구축하기 위하여 기초작업을 수행하고자 한다.
    무용작품의 감상과정 또는 실습과정에서와 같이 전체적인 움직임을 다방면적 시각에서 관찰, 모방 학습할 필요성이 큰 경우 3차원적 멀티미디어의 활용은 학습자들에게 다양한 시공간적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학습과정에 매우 긍정적인 효과를 초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수를 통해 개발되는 디지털무용교육콘텐츠는 시청각적 자극을 통하여 무용학습 효과를 제고하고 자가학습을 가능케 하기 때문에 무용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 교수설계의 학습자원으로 활용
    본 연수에서는 현재 교육인적자원부장관의 검정을 받아 (사)한국검정교과서의 회원출판사들이 발행하고 있는 기존의 다양한 체육교과서 내 무용단원 내용들을 모두 비교분석한 후, 현장 교사 및 교과서 집필자, 지도교수 외 해당 교과 관련 대학교수뿐만 아니라 디지털 기술 전문인력 등의 참여를 통해 질 높은 디지털무용교육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는 집합 형태의 off-line 수업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전자메일, 관련 사이트 지원 등 사이버 공간의 교육적인 기능을 보충하고 각종 디지털 정보를 통해 시․청각적으로 흥미로운 학습을 유도하게 됨으로서 정보 및 자원의 공유, 상호작용의 용이성, 학습자 중심 학습의 용이성 등 교수자-학습자 간 상호작용할 수 있는 교수설계의 학습자원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창조적 지식의 창출과 활용이 중시되는 지식기반사회에서의 주역이 될 청소년들을 위하여 양질의 학습자료로서 디지털무용교육콘텐츠의 개발을 통한 현장 적용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고 하겠다.
  • 기대효과
  • ❍ 교과서 내용에 기반한 디지털무용교육콘텐츠 개발
    무용이 문화예술진흥법에는 예술의 분야로 포함되어 있지만 교육법상으로는 체육의 일부분으로 교육하도록 되어 있는 구조적 모순에 대해 공론화시키고자 하는 무용계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무용교과독립의 가능성이 희박하다면 현재 시행되고 있는 교육제도 안에서 무용교육의 질적 향상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절실하다. 본 연수를 통해 결과적으로 개발되어질 디지털무용교육콘텐츠가 현장에서 쓰임새 있게 활용되어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면 무엇보다도 기존 교과서의 내용과 같은 맥락을 형성해야 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수에서는 중학교 체육교과서 내 무용단원내용 구성의 적절성을 분석하기 위해 현재 발간되고 있는 11종 교과서를 모두 비교분석하고, 학년별 무용지도 내용의 로드맵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렇게 해서 개발되어진 디지털무용교육콘텐츠는 학습자의 입장을 고려하여 시대적 과제에 부응하기 위한 디지털무용교육 환경을 구축한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교수자-학습자 간 상호작용할 수 있는 교수설계의 학습자원으로 활용
    본 연수에서는 중학교 체육교과서 무용단원 내용에 기반하여 정규수업을 보다 흥미롭게 진행할 수 있도록 오프라인과 온라인 수업을 결합하는 유형의 혼합형 디지털무용교육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한다.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이라고도 불리는 이 유형은 오프라인과 온라인 교육을 결합한 형태로 집합 교육을 중심으로 온라인 교육을 보완하거나 자율 학습 방식에 온라인 협동 학습을 접목하는 방식, 다양한 온라인 학습 전략에 오프라인으로 보조하는 방법 등 각 교육 주체마다 다양한 전략이 가능하기 때문에 학습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고 학습 효과의 극대화를 가능케 하는 장점이 있다. 본 연수를 통해 개발되어진 혼합형(blended) 디지털무용교육콘텐츠는 교수자-학습자 간 상호작용할 수 있는 교수설계의 학습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공교육의 내실화를 통한 학교교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
    중등교육에 있어서 제1차 교육과정부터 현재 7차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무용은 체육교과서의 한 단원으로 존재해 오면서 독립된 교과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강미영(2002), 김정아(2004), 박종호(2005), 김현아(2006), 박은경(2006), 유지영(2007)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실제 무용수업에 교과서를 배제하고 프린트된 유인물을 사용하는 사례들도 종종 있는 것으로 나타나 무용교육이 갖는 교육적인 가치와 중요성을 제대로 학생들에게 전달하지 못하는 안타까운 실정에 놓여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수는 개발된 디지털무용교육콘텐츠를 중학교 무용교육현장에 적용해보고 교수자와 학습자의 입장에서 요구되는 바를 보완함으로서 실제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을 두었기에 이는 궁극적으로 공교육의 내실화를 통한 학교교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게 될 것이라 사료된다.
  • 연구요약
  • ❍ 국내 현황분석
    교육은 각 단계마다의 중요성이 강조되지만 현재 초등학교 무용교육은 통합교과로, 고등학교 무용교육은 선택교과로 시행되고 있어 무용이라는 예술영역에 대한 적절한 교육을 실현하기 어려운 여건인데 비해 중학교 무용교육은 체육교과 내에 포함되어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 의무교과로 시행되고 있기 때문에 무용전공학생이 아닌 일반학생들에게 공교육 현장에서 무용을 통한 교육의 본질적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따라서 본 연수에서는 중학교 체육교과서 내 무용단원내용 구성의 적절성을 분석하기 위해 현재 발간되고 있는 11종 교과서를 모두 비교분석하고, 학년별 무용지도 내용의 로드맵을 구축하고자 한다.

    ❍ 국외 사례연구
    본 연수에서는 우선적으로 국내 중학교 11종 체육교과서 내 무용단원 내용 비교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문화선진국인 미국의 중학교 무용교과서 사례 연구를 토대로 유익한 시사점 및 발전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미국은 1965년 제정된 초·중등교육법(ESEA)의 제정 목적과 취지를 이어받은 ‘No Child Left Behind Act’에서 유치원부터 12학년까지의 교육과정을 통해 21세기에 경쟁력 있는 청소년들로 성장시키는데 필요한 가장 기초적인 9개 과목을 영어, 수학, 역사, 일반사회, 정치경제, 지리, 과학, 외국어, 예술로 선정한 바 있다. “예술교과는 무용, 음악, 연극, 시각예술의 4개 교과로 세분화되어 미국의 청소년들은 12학년 전 교육과정을 마치게 될 때까지 누구나 예외 없이 4개 부분의 예술교과를 이수해야 하며, 적어도 한 부분의 예술영역에 대해서는 상당한 수준의 기량과 실력을 요구받게 된다. 또 부시 대통령의 취임 이래 무용을 포함한 예술교육은 기초과목으로 인정받아 학교교육 현장에서 더욱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무용을 포함한 예술교육이 국가교육 시스템에서 일익을 담당하고 평생학습을 조장하는 측면에서 그 역할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김현아, 2006, 8).

    ❍ 디지털무용교육콘텐츠 개발을 위한 전문가 인터뷰 및 직접 참여
    본 연수에서는 중학교 체육교과서 무용단원 내용에 기반하여 정규수업을 보다 흥미롭게 진행할 수 있도록 오프라인과 온라인 수업을 결합하는 유형의 혼합형 디지털무용교육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에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와 관련된 심층적인 인터뷰를 실시하여 본 연수의 개발연구에 근거자료로 활용할 것이며 직접적으로 참여하고자 한다. 디지털무용교육콘텐츠 개발을 위한 전문가 인터뷰 및 직접참여는 일선교사, 교과서 집필자, 디지털 기술 전문인력, 지도교수 외 관련 대학교수, 본 과제의 연수자를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인터뷰 시에는 반구조화 면접(Semi-Structured Interview)을 실시함으로써 정해 놓은 핵심 질문들을 중심으로 면접을 진행하되 최대한 자유롭게 응답을 유도하여 디지털무용교육콘텐츠 개발제작 과정에서의 다양한 사항들을 파악하고, 발전 방안을 논의하는 데 근거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현장적용 및 설문조사
    개발된 디지털무용교육콘텐츠는 국내 서울․경기지역에 소재하고 있으며 무용수업을 실시하고 있는 여자중학교 3개교를 대상으로 2009년 4월부터 6월에 걸쳐 현장교육에 적용하게 될 것이며, 이렇게 무용수업에서 디지털무용교육콘텐츠를 체험한 각 중학교의 교수자(일선무용교사)와 학습자(중학생) 1, 2, 3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자 한다. 디지털 무용수업의 필요성, 만족도, 개선 방안 등에 대한 의견을 설문조사 내용으로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발전방안을 모색할 것이다.
    조사방법은 본 설문조사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여자중학교 3개교를 선정하고 직접 해당 학교를 방문하여 먼저 해당 학교별 일선무용교사에게 본 연수와 현장적용, 그리고 설문조사에 대한 목적을 충분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후 디지털무용교육콘텐츠를 개발하는 과정에도 현장의 요구에 더욱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일선교사들과의 인터뷰를 수시로 시행할 것이다.

    ❍ 디지털무용교육콘텐츠에 대한 종합분석 및 발전방안 제시
    문헌고찰, 현황분석, 사례연구, 개발연구, 현장적용, 설문조사의 결과들을 기반으로 디지털무용교육콘텐츠에 대한 종합분석을 실시한다. 종합적인 논의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효율적이고 발전적으로 중학교 무용교육이 활성화되도록 기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본 연수의 목적에 부합되는 총체적인 결론을 도출하고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한글키워드
  • 디지털무용교육콘텐츠,체육교과서,무용교육,중학교
  • 영문키워드
  • Dance Education,Digital Contents for Dance Education.,Textbook for Physical Education,Middle School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에서는 2009년 현재 교육현장에 적용되고 있는 11종 33권의 중학교 체육교과서 내 무용단원내용을 분석하여 그 산출물을 토대로 디지털무용교육콘텐츠를 개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중단원 구성: ‘이론편 → 실기편(기본기 연습 → 작품 표현)’의 합일점 도출
    중단원 구성에 있어서는 전학년에 걸쳐 차후 학생들이 참여하게 될 실기수업에 앞서 이론적 이해가 선행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어지는 실기편에서는 먼저 기본기를 익힌 후에 작품을 표현하는 것으로 통일성을 나타냈다. 7학년 창작무용 단원에서는 이론편(무용의 이해, 창작무용의 이해) → 기본기 연습(창작무용의 원리) → 작품 표현(창작과정 및 작품감상)으로, 8학년 우리나라 민속무용 단원에서는 이론편(우리나라 민속무용의 이해) → 기본기 연습(우리나라 민속무용의 기본 동작) → 작품 표현(우리나라 민속무용의 실제: 강강술래, 소고춤, 탈춤)으로, 9학년 외국 민속무용 단원에서는 이론편(외국 민속무용의 이해, 나라별 민속무용의 특징) → 기본기 연습(외국 민속무용의 기본 움직임) → 작품 표현(외국 민속무용의 실제)으로 이루어진 구성의 합일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2) 소단원 구성: (포괄적) 상위개념에서 (부분적) 하위개념으로의 구체화 요구
    소단원 구성에 있어서 상위개념(上位槪念)에서 하위개념(下位槪念)으로의 내용 전개가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는 특히 무용의 개론적 이해를 위한 구성에서 부각되고 있다. 7학년 창작무용 단원에서는 ‘무용의 본질’을 개념화 시킨 후 ‘창작무용의 특성 및 가치’를 파악하는 것으로, 8학년 우리나라 민속무용 단원에서는 ‘우리나라 춤의 역사와 분류’에 대해 바로 알고 그 속에서 ‘민속무용의 특성 및 효과’를 이해하는 것으로 상위>하위개념 간의 구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단, 9학년 외국 민속무용 단원의 경우는 여러 나라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각국의 춤 역사를 일일이 다루지 않고, 사(史)적 관점에서 바라본 전반적인 외국 민속무용의 자연발생적 생성과 발달에 대한 흐름을 소개한 뒤 외국 민속무용의 특성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는 형식의 내용구성이 주를 이루고 있다.
    (3) 구성내용 비교분석을 통한 개선점
    7학년 창작무용 단원에서는 준비 및 정리 운동에 대한 동작예시를 제공할 때 비전공자의 수준에서 거부감이 없도록 적절한 난이도의 사진이나 삽화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8학년 우리나라 민속무용 단원에서는 기본동작 용어의 통일이 시급하다. 특히 ‘팔 동작’과 ‘걷는 동작’에서 용어의 혼용, 동작 설명의 오류 및 누락이 빈번하게 나타나 정확한 지식을 전달하지 못하고 있기에 일반적으로 통용 가능한 한국무용 춤사위 용어의 정립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강강술래와 소고춤을 소개하는 부분에서 주요동작만 제시하고 대형예시가 누락된 사례가 있었다. 두 작품 모두 군무 형식을 취하기 때문에 주요 대형의 변화를 알려주는 것은 학생들이 작품 전체의 그림을 이해할 수 있는 유익한 정보가 될 것이다. 9학년 외국 민속무용 단원에서는 ‘기본 자세’와 ‘기본 동작’을 소개하는 부분에서 외래어의 원어 표기가 누락된 사례들이 다수 지적되었다. 외래어의 정확한 이해를 위해 원어의 발음을 한글로 쓰고 괄호 안에 원어를 삽입하여 함께 표기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나라별 민속무용의 특징에서는 가능한 한 다수의 국가를 대상으로 하되 일목요연한 구성과 적절한 이미지 제공으로 다양한 문화의 이해를 배가시키도록 해야 한다.
    (4) 지식, 기능, 태도 학습 측면에서의 합일점
    학년별 무용단원은 각각 지식, 기능, 태도 학습 측면에서 균형 있는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져야 한다. 7학년 창작무용 단원은 지식(무용의 본질 이해, 창작무용의 특성 및 가치 파악) / 기능(기본 움직임 익히기, 창작과정에서 표현 능력 기르기) / 태도(창작무용의 가치 인식, 창의적 표현, 협동심 배양) 학습을 실행하도록 한다. 8학년 우리나라 민속무용 단원은 지식(우리나라 춤의 역사와 분류 이해, 민속무용의 특성 및 효과 인지) / 기능(우리나라 민속무용의 기본 동작 익히기, 우리나라 민속무용 작품 춤추기) / 태도(우리나라 민속무용의 문화적 가치 인식, 민족의 정서 공감, 자긍심 고취) 학습을 실행하도록 한다. 9학년 외국의 민속무용 단원은 지식(외국 민속무용의 특성과 효과 인지, 각 나라별 민속무용의 특징 파악) / 기능(외국 민속무용의 기본 동작 익히기, 여러 나라의 민속무용 작품 춤추기) / 태도(각국의 민속무용에 내포된 문화적 다양성 이해, 예의바른 태도 형성) 학습을 실행하도록 한다.
  • 영문
  • Titl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gital Contents for Dance Education based on Contents Analysis of Dance in Middle School Textbook for Physical Education//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units on dancing in the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11 types and 33 books in total. Our purpose was to obtain study results at a level that complements evidentiary documents. We have offered a plan to improve the current practice through the following conclusion and suggestions.
    (1) Composition of middle units: coherence through "theory → practical technique (basic skills → performance)
    The middle units of the textbooks in all three grades are composed in a way that students learn theory before moving on to practical techniques. Coherence was achieved in the section on practical techniques to allow students to learn basic skills before art performance.
    (2) Composition of small units: need to move from a comprehensive concept to a specific concept
    The contents of the smaller units should move from a higher concept to a lower one. Such issues can especially be found in the section on the introduction to dancing.
    (3) Improvem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In the unit on creative dancing, adequate photos and illustrations should be utilized so that a layman can understand. Terminology on the basic moves needs to be standardized in the unit on Korean folk dancing. The sections on Korean folk dances Gang-gang-sullae and Sogochum should display how the key formations change since they are danced in groups. In the units on foreign folk dances, the original words should be included in the introduction on the basic stances and moves so as to help in accurately understanding the terminology. The sec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folk dances by country should cover as many countries as possible while being easy to understand at a glance and offering illustrations where appropriate.
    (4) Coherence aim in terms of learning knowledge, function and behavior
    The unit on creative dancing for the 7th grade, the unit on Korean folk dancing for the 8th grade and the unit on foreign folk dancing for the 9th grade should be composed in a way that enhances balanced learning of knowledge, function and behavior.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2009년 현재 교육현장에 적용되고 있는 11종 33권의 중학교 체육교과서 내 무용단원내용을 분석하여 그 산출물을 토대로 디지털무용교육콘텐츠를 개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중단원 구성: ‘이론편 → 실기편(기본기 연습 → 작품 표현)’의 합일점 도출
    중단원 구성에 있어서는 전학년에 걸쳐 차후 학생들이 참여하게 될 실기수업에 앞서 이론적 이해가 선행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어지는 실기편에서는 먼저 기본기를 익힌 후에 작품을 표현하는 것으로 통일성을 나타냈다. 7학년 창작무용 단원에서는 이론편(무용의 이해, 창작무용의 이해) → 기본기 연습(창작무용의 원리) → 작품 표현(창작과정 및 작품감상)으로, 8학년 우리나라 민속무용 단원에서는 이론편(우리나라 민속무용의 이해) → 기본기 연습(우리나라 민속무용의 기본 동작) → 작품 표현(우리나라 민속무용의 실제: 강강술래, 소고춤, 탈춤)으로, 9학년 외국 민속무용 단원에서는 이론편(외국 민속무용의 이해, 나라별 민속무용의 특징) → 기본기 연습(외국 민속무용의 기본 움직임) → 작품 표현(외국 민속무용의 실제)으로 이루어진 구성의 합일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2) 소단원 구성: (포괄적) 상위개념에서 (부분적) 하위개념으로의 구체화 요구
    소단원 구성에 있어서 상위개념(上位槪念)에서 하위개념(下位槪念)으로의 내용 전개가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는 특히 무용의 개론적 이해를 위한 구성에서 부각되고 있다. 7학년 창작무용 단원에서는 ‘무용의 본질’을 개념화 시킨 후 ‘창작무용의 특성 및 가치’를 파악하는 것으로, 8학년 우리나라 민속무용 단원에서는 ‘우리나라 춤의 역사와 분류’에 대해 바로 알고 그 속에서 ‘민속무용의 특성 및 효과’를 이해하는 것으로 상위>하위개념 간의 구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단, 9학년 외국 민속무용 단원의 경우는 여러 나라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각국의 춤 역사를 일일이 다루지 않고, 사(史)적 관점에서 바라본 전반적인 외국 민속무용의 자연발생적 생성과 발달에 대한 흐름을 소개한 뒤 외국 민속무용의 특성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는 형식의 내용구성이 주를 이루고 있다.
    (3) 구성내용 비교분석을 통한 개선점
    7학년 창작무용 단원에서는 준비 및 정리 운동에 대한 동작예시를 제공할 때 비전공자의 수준에서 거부감이 없도록 적절한 난이도의 사진이나 삽화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8학년 우리나라 민속무용 단원에서는 기본동작 용어의 통일이 시급하다. 특히 ‘팔 동작’과 ‘걷는 동작’에서 용어의 혼용, 동작 설명의 오류 및 누락이 빈번하게 나타나 정확한 지식을 전달하지 못하고 있기에 일반적으로 통용 가능한 한국무용 춤사위 용어의 정립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강강술래와 소고춤을 소개하는 부분에서 주요동작만 제시하고 대형예시가 누락된 사례가 있었다. 두 작품 모두 군무 형식을 취하기 때문에 주요 대형의 변화를 알려주는 것은 학생들이 작품 전체의 그림을 이해할 수 있는 유익한 정보가 될 것이다. 9학년 외국 민속무용 단원에서는 ‘기본 자세’와 ‘기본 동작’을 소개하는 부분에서 외래어의 원어 표기가 누락된 사례들이 다수 지적되었다. 외래어의 정확한 이해를 위해 원어의 발음을 한글로 쓰고 괄호 안에 원어를 삽입하여 함께 표기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나라별 민속무용의 특징에서는 가능한 한 다수의 국가를 대상으로 하되 일목요연한 구성과 적절한 이미지 제공으로 다양한 문화의 이해를 배가시키도록 해야 한다.
    (4) 지식, 기능, 태도 학습 측면에서의 합일점
    학년별 무용단원은 각각 지식, 기능, 태도 학습 측면에서 균형 있는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져야 한다. 7학년 창작무용 단원은 지식(무용의 본질 이해, 창작무용의 특성 및 가치 파악) / 기능(기본 움직임 익히기, 창작과정에서 표현 능력 기르기) / 태도(창작무용의 가치 인식, 창의적 표현, 협동심 배양) 학습을 실행하도록 한다. 8학년 우리나라 민속무용 단원은 지식(우리나라 춤의 역사와 분류 이해, 민속무용의 특성 및 효과 인지) / 기능(우리나라 민속무용의 기본 동작 익히기, 우리나라 민속무용 작품 춤추기) / 태도(우리나라 민속무용의 문화적 가치 인식, 민족의 정서 공감, 자긍심 고취) 학습을 실행하도록 한다. 9학년 외국의 민속무용 단원은 지식(외국 민속무용의 특성과 효과 인지, 각 나라별 민속무용의 특징 파악) / 기능(외국 민속무용의 기본 동작 익히기, 여러 나라의 민속무용 작품 춤추기) / 태도(각국의 민속무용에 내포된 문화적 다양성 이해, 예의바른 태도 형성) 학습을 실행하도록 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을 창출할 수 있다.

    (1) 디지털교육의 시대적 과제에 부응하는 양질의 학습자료로 활용
    본 연구의 결과는 학습자가 가정이나 학교 등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장소에 있으면서 사이버공간을 통해 하는 학습하는 ‘e-러닝’, PC 없이도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시대의 교육을 뜻하는 ‘u-러닝’, 이동하면서 무선 인터넷과 같은 사이버공간을 통해 하는 학습하는 ‘m-러닝’ 등 디지털교육과 관련된 신조어들이 탄생하고 있는 현 시대적 과제에 부응하며 학습자를 고려한 디지털무용교육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기초작업을 수행한 것이다. 개발된 디지털무용교육콘텐츠는 교수 설계 및 학습에 있어 학생들에게 보다 흥미로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양질의 학습자료로서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고 하겠다.

    (2) 무용학습 효과 제고로 인한 무용교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
    개발된 결과물은 이론 강의안과 함께 무용전공자가 시범을 보인 사진 및 동영상 보기, 다이어그램 등의 비쥬얼 자료로 구성하여 학습자들에게 다양한 시․공간적 정보를 함께 제공함으로서 기존의 종이책에 비해 보다 생동감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학습과정에서 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초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되는 디지털무용교육콘텐츠는 시청각적 자극을 통하여 무용학습 효과를 제고하고 자가학습을 가능케 하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무용교육의 질적 향상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 국문 keyword: 중학교, 체육교과서, 무용교육, 디지털무용교육콘텐츠. ▪ 영문 keyword: Middle School, Textbook for Physical Education, Dance Education, Digital Contents for Dance Education.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