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음성 분석을 기반으로 한 몽골어․중국어 화자 중심의 한국어 발음 교수법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기초연구지원인문사회& #40;창의주제연구&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8-321-A00081
선정년도 2008 년
연구기간 2 년 (2008년 07월 01일 ~ 2010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장우혁
연구수행기관 단국대학교& #40;천안캠퍼스& #41;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정윤자(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목표를 가지고 있다.
    ① 한국어를 학습하는 몽골어․중국어 화자의 한국어 발음을 과학적으로 분석한다.
    ② 이를 바탕으로 몽골어 화자와 중국어 화자에게 한국어 발음을 효율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맞춤식 교수법을 개발한다.

    우리나라는 몽골, 중국과 역사‧지리‧문화적으로 밀접한 관계에 있다. 그런데 언어적으로는 몽골어와 유사성이 있는 반면, 중국어와는 전혀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지니고 있는 삼국의 언어를 비교‧대조해 연구함으로써 언어적 유사성이 발음 습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하는 일은 매우 흥미롭다. 지금까지는 외국어 교육을 연구하기 위해 두 언어만을 비교‧대조한 연구가 중심이 되어 왔다. 세 언어를 비교‧대조함으로써 동일한 음소의 상이한 발음 양상을 여러 관점에서 살필 수 있다는 점이 새롭다. 또한 최근 세계적으로 한국과 한국어가 관심을 모으고 있는 시점에서 한국어 발음교수법을 연구하는 것은 국가의 위상을 제고하는 일이다.
    언어 교육에서 발음은 가장 기본적인 것이다. 따라서 몽골어․중국어 화자가 한국어 발음을 정확하게 습득하지 못하면 듣기나 말하기에서 어려움을 겪고, 결과적으로 읽기나 쓰기에서도 오류를 범하게 된다. 아무리 한국어 지식이 많더라도 발음의 정확성과 유창성이 떨어지면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어렵다.
    이런 이유로 하여,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발음 교육이 적잖이 연구되어 왔다. 그런데 대부분 영어나 일본어 화자 대상으로 연구되었고 최근에는 중국어에 대한 연구도 꽤 있다. 그러나 그 밖의 언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발음 교육 연구는 매우 적은 편이다. 게다가 지금까지 연구되어 왔다고 해도 청력으로 구분되는 발음 오류 내용을 유형화하고 이에 발음 습득이 어려운 음운을 목록화한 것에 불과하다. 최근 음성실험을 한 논문이 몇 편 나왔으나, 음소 전체가 아니라 극히 일부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몽골어 중국어 화자에게 각각 알맞은 맞춤식 한국어 발음 교수법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몽골어·중국어와 한국어의 음운을 전체적으로 비교․대조하고 음성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발화음을 과학적으로 분석할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많은 연구에서 이루어졌던 일반적이고 전반적인 한국어 발음교육은 물론, 단편적으로 이루어진 한국어 음성에 대한 음성적 분석을 지양한다.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들을 모국어별로 구분하고, 이를 대상으로 한국어 음의 인지와 발화에 나타나는 문제점을 음성학적 실험을 통하여 밝혀내고 분석하여 그 원인을 찾고, 이를 한국어의 발음교육에까지 연계를 시켜 나갈 것이다.

    대다수 학습자들의 한국어 학습 목적은 한국어 화자와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함이다. 지금까지는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한국어 음운의 현실음을 과학적으로 파악하여 제시하지 못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의사소통의 장애를 초래하는 발음 오류의 양상을 음성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발음을 교정‧지도할 수 있는 실제적인 교수법을 제안할 것이다.
  • 연구요약
  • 첫째, 몽골어 화자와 중국어 화자의 한국어 자음과 모음의 발음에 나타나는 오류를 찾아낸다.
    둘째, 찾아낸 오류를 분석하고 오류에 따른 한국어 발음교육에 관한 교수법을 제안한다.

    (1) 먼저 오류를 찾아내기 위한 방법으로 인지실험인 음성판별실험(AX Discrimination Task)과 음성식별실험(ABX Identification Task)을 실시한다. 실험 자료로는 한국어의 자음에 대하여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이 대조적으로 나타나는 대립쌍으로 이루어진 목록을 작성한다. 실험대상자는 세 언어 집단에서 모두 70명(몽골어 화자: 30명, 중국어 화자: 30명, 대조 표준 그룹인 한국어 화자 10명)이 참가할 예정이다.
    (2) 본 연구에 앞서 몽골어와 중국어 화자 두 명씩을 시범적으로 실험해 본 결과 음성판별실험에서는 중국어 화자와 몽골어 화자가 모두 다 잘 하였지만, 음성식별은 전반적으로 중국어 화자와 몽골어 화자 모두 평음과 격음의 구별을 못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국어 화자의 경우는 예상과 달리 평음과 격음의 구별을 못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몽골어 화자의 경우도 모든 한국어 장애음의 구별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했는데 평음-경음과 격음-경음의 구별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중국어 모국어 화자나 몽골어 모국어 화자는 한국어의 평음, 경음, 격음이 음성학적으로는 서로 다른 소리인지는 알지만 평음과 격음이 변별적 음소로 음운론적인 범주화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식별이 어려운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3) 발화실험을 위한 실험 자료와 실험대상자는 인지실험의 경우와 같으며 인지실험에서 작성한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의 목록을 90명의 실험대상자들(몽골어 화자: 30명, 중국어 화자: 30명, 한국어 화자: 30명)에게 발음하게 하여 녹음한 다음 음향음성학적인 분석을 할 것이다. 본 실험에 앞서 대표적으로 한국인을 비롯하여 중국어 화자와 몽골어 화자 1명씩을 실험해 본 결과 세 집단 간에 두드러진 차이가 나타났다. 첫째, VOT의 비교에서 한국인이 발음한 평음은 모음과 모음사이에서 유성음화가 일어났는데 반해 제2언어학습자들은 유성음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둘째, 폐쇄지속시간은 한국인이 (경음 > 격음 > 평음)의 순서인데 반해 몽골어 화자는 (경음 > 격음 ≒ 평음)의 순서이고 중국어 화자는 (경음 ≒ 평음 > 격음)의 순서로 모두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음의 높이(pitch)는 실험대상자 모두에게서 공통적으로 경음에서 제일 높게 나타났지만 음의 높이가 성대를 지나는 공기가 빨라짐에 따라 순간적으로 높아지는 perturbation 현상은 세 집단 모두 격음에서 나타났다. 특이한 점은 중국어 화자는 평음에 있어서도 이러한 현상이 관찰된 점으로 보아 평음을 격음과 같이 발음한 것으로 분석된다.
    (4) 인지실험을 통하여 살펴본 중국인 화자와 몽골인 화자의 오류 양상을 바탕으로 발음교육의 적용범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유형이 나온다. 첫째, 음성판별(Discrimination), 음성식별(Identification), 발음에 이르기까지 모두 못하는 경우와 둘째, 음성판별은 잘 하는데 음성식별과 발음에 문제가 있는 경우가 있으며 셋째, 음성판별과 음성식별은 잘 하면서 발음에 문제가 있는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다.
    (5) 따라서 이러한 세 가지의 경우에 있어서 서로 다른 교수법을 적용시키는 차별화된 발음교육을 제안할 것이다. 특히, 한국어의 음에 대해서 음향음성학적으로 분석한 자료를 학습자들에게 직접 보여주면서 소리의 차이를 인식시키는 작업을 시작으로 하여 단계적으로 학습자들에게 조음 음성학적인 설명을 가미하여 발음원리를 가르칠 것이다.
    (6) 학습자들은 발화 방법의 변화가 음향음성학적으로 어떠한 변화를 초래하는지를 음성분석을 통하여 직접 확인하게 되고 그러한 변화된 방법으로 발음을 연습할 수 있도록 지도 받게 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발음교육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학습자를 대상으로 발음교육을 실시하기 전과 실시한 후로 구분하여 인지와 발화실험을 하고 발음이 향상된 정도를 분석할 것이다.
  • 한글키워드
  • 변별적 자질,최소대립쌍,모음,음성식별실험,음성판별실험,음성발화,음성인식,언어 간의 비교분석,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제2언어습득,발음교수법,한국어 발음 교육,파찰음,마찰음,한국어 파열음,발음오류분석,음향음성학적 분석
  • 영문키워드
  • cross-linguistic analysis,speech perception,ABX Identification Task,Chinese L2 learners of Korean,Mongolian L2 learners of Korean,second language acquisition,minimal pairs,distinctive features,vowels,affricates,fricatives,Korean stops,pronunciation error analysis,acoustic analysis,AX Disrimination Task,Methodology: teaching pronunciation,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speech production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1) 몽골어와 중국어, 한국어의 폐쇄음에 대한 음향음성학적인 분석을 실시하여 세 언어의 폐쇄음에 대한 음성학적인 특징을 밝히는 것 (2) 몽골인과 중국인이 발음한 한국어 폐쇄음이 한국인이 발음한 것과 어떻게 다른지를 알아보는 것 (3) 몽골인과 중국인이 한국어의 폐쇄음을 인지할 때 어떤 음을 인지하지 못 하는 지를 밝히는 것 (4) 한국어의 폐쇄음을 몽골인과 중국인에게 교육할 때 폐쇄음 간의 성조의 차이를 중심으로 하는 발음 교육이 효과가 있는 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먼저 몽골어의 폐쇄음에 대한 선행연구가 부족하고 폐쇄음의 음성학적인 특징이 불분명한 점을 인식하고 몽골어의 폐쇄음을 분석한 결과 몽골어 폐쇄음은 어떠한 환경에서도 유성음으로 실현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냈다. 따라서 몽골어 폐쇄음은 유성음과 무성음으로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유기음과 무기음으로 구분된다는 것을 전제로 한국어를 배우는 몽골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하였다. 몽골어와 중국어의 폐쇄음이 한국어와 차이를 보이는 가장 큰 부분은 한국어의 경음에 해당하는 음소가 없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몽골인과 중국인은 한국어의 경음을 배우기에 가장 어려워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인지실험에서는 예상과는 달리 몽골인과 중국인 모두 평음과 격음을 구별하지 못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화실험에서는 한국인은 성조에 의해서 폐쇄음을 구분하는 데에 반해 몽골인과 중국인은 격음과 평음의 성조에 있어서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단어 중간에서는 폐쇄구간에 있어서 한국인이 발음한 평음은 경음과 격음에 비해서 짧았는데 몽골인과 중국인은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격음과 평음의 성조의 차이도 없어서 구별을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이 한국어의 폐쇄음을 평음, 경음, 격음으로 구별하는데 가장 중요한 자질은 성조인 것을 밝혀졌으므로 다음으로 발음교육에서 성조의 차이를 교육하는 것이 효과적인지 살펴보았다. 몽골인과 중국인을 한국어의 폐쇄음을 성조를 중심으로 교육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을 비교했을 때 성조의 차이를 가르친 집단이 단순 듣고 따라 하는 훈련을 받은 집단에 비해서 발음이 많이 개선된 것으로 드러났다.
  • 영문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figure out phonetic characteristics of Mongolian, Chinese, and Korean stops by conducting acoustical analyses of them; (2) to examine how Mongolian and Chinese speakers’ production of Korean stops is different from Korean speakers’ one; (3) to investigate which of the Korean stops is problematic to Mongolian and Chinese people when they perceive them; (4) to justify the effectiveness of the method of teaching pronunciation that focuses on the different values of pitches in Korean stops. First of all, we should notice that Mongolian stops are controversial in that they are either classified into voiced and voiceless stops or aspirated and plain stops. What we found through the experiment was that Mongolian stops were not realized as voiced sounds in any environments, such as syllable-initial position, syllable-final position, and even intervocalic position. Moreover, when voiceless stops were placed intervocalically, the preceding vowel underwent devoicing process.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it was claimed that Mongolian stops should be classified into aspirated stops and plain stops rather than voiced and voiceless stops. In addition, the devoiced vowels before aspirated stops in intervocalic position could be explained by spreading the feature of aspirated stops into the preceding vowel. For the study of second language production, we first need to compare Korean phonemes with Mongolian and Chinese ones. It is found that Mongolian and Chinese do not have tense consonants. Thus, we can predict that both Mongolian and Chinese people have some difficulty in perceiving and producing tense consonants. In the perception test, both Chinese and Mongolian subjects failed to identify plain and aspirated sounds, which is different from what we expected. This finding showed that they were likely to identify plain sounds as aspirated ones, and vice versa. Comparing the Chinese and Mongolian subjects, it was found that the Mongolian subjects showed a poorer performance in identifying plain and aspirated sounds than the Chinese subjects. According to production experiment, Korean speakers produced aspirated stops with a higher pitch than plain stops, bu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pitch between aspirated and plain sounds produced by Mongolian and Chinese speakers. In the word-medial position, while Korean speakers pronounced aspirated sounds with longer closure duration (CD) and plain stops with shorter CD, Mongolian and Chinese speakers did not produce aspirated and plain sounds distinctively in that the CD in plain stop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one in aspirated stops. In addition, the measured pitch in the word-medial position also confirms that Mongolian and Chinese speakers failed to distinguish aspirated stops from plain stops becaus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pitch values. Given the fact that pitch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 discriminating Korean stops, we divided Mongolian and Chinese learners of Korean into two different groups. For example, one group was taught the pronunciation of Korean stops, focusing on the difference of pitch in Korean stops. The other group was taught the pronunciation of them by employing audio-lingual method of teaching pronunciatio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confirmed that the former teaching method is much more effective than the latter in improving the learners’ pronunciation of Korean stop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한국어를 학습하는 몽골어․중국어 화자의 한국어 발음을 음향음성학적 방법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몽골어 화자와 중국어 화자에게 한국어 발음을 효율적으로 가르칠 교수법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몽골어•중국어와 한국어의 음운을 전체적으로 비교․대조하고 몽골인과 중국인이 발음한 몽골어와 중국어를 비롯하여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발음까지 음성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음향음성학적인 분석을 실시하여 발화된 음소에 대한 음성학적인 특징을 규명하였다. 먼저 몽골인과 중국인에 대한 한국어 실험에 앞서서 몽골어와 중국어에 대한 음성학적인 선행연구가 취약한 것을 인식하고 몽골어와 중국어의 음소에 대한 음성학적인 실험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몽골어와 중국어에 대한 실험은 한국어 자음•모음에 대한 몽골어•중국어 화자의 인지 양상과 한국어 발화시 나타나는 발음의 오류의 원인을 찾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몽골어와 중국어의 음소에 대한 음성학적인 특징이 정확히 규명되어야만 한국어의 음소에 대한 음성학적인 특징과 비교해서 몽골인과 중국인의 한국어 발음에 나타나는 오류의 원인을 정확히 밝혀낼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몽골인•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음을 들려주고 실험을 하는 인지실험과 한국어 음을 직접 발음하게 한 후 녹음하여 음향음성학적 분석을 하는 발화실험을 실시하였다. 인지실험은 다시 한국어의 서로 다른 음을 구별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음성판별실험과 세 음을 들려주고 마지막에 들은 음이 앞의 두 음 중에서 어느 것과 같은지를 찾는 음성식별실험으로 나누어 실시했다. 음향음성실험을 통하여 한국어의 폐쇄음과 파찰음의 평음, 경음, 격음을 구별하는 지각 단서를 찾고자 동일한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발화실험과 인지실험을 실시하였다. 1차년도 실험을 통해서 밝혀진 가장 중요한 점은 한국어의 폐쇄음은 성조(pitch)에 의해서 구분이 되는데 중국인과 몽골인들이 발음한 한국어의 폐쇄음은 평음, 경음, 격음의 성조(pitch)가 전혀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즉, 중국인과 몽골인은 한국어의 폐쇄음을 제대로 구별해서 발화하지 못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인지실험에서는 중국인과 몽골인이 모두 한국어의 평음과 격음을 구별해서 인지하지 못 하는 것으로 드러났는데 이는 폐쇄음의 VOT값이 언어마다 차이를 보이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하였다. 다시 말해, 중국어와 몽골어의 격음의 VOT값은 한국어의 평음과 격음의 VOT값을 모두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인과 몽골인에게는 한국어의 평음과 격음 서로 다른 음으로 구별되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2차년도에서는 발음교육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중국인과 몽골인을 각각 두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에 참여시켰다. 한 그룹은 음성분석프로그램과 성조(pitch)를 활용하여 발음 교육을 실시하였고 다른 그룹은 단순히 듣고 따라하는 청화식 교수법 위주로 발음 교육을 실시하였다. 교육을 마친 후와 교육 전에 실시한 발화실험의 결과를 서로 비교해본 결과 pitch를 활용한 교수법으로 발음교육을 받은 그룹의 학생들이 청화식 교수법에 의해서 발음교육을 받은 그룹의 학생들에 비해 한국어 폐쇄음을 pitch값에 따라서 잘 구별하게 되어 발음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VOT값과 pitch값 중에서 어떠한 것이 음성인지실험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인지 불분명한 상태에서 pitch를 활용한 교수법이 음성발화 뿐만 아니라 음성인지에서도 효과를 보일 수 있을지는 여전히 의문스럽다. 따라서 차후 음성인지실험이 추가로 실시되어 인지실험에서도 효과가 검증된다면 성조(pitch)를 활용한 교수법의 효과가 더욱 지지를 받게 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발화실험은 피실험자의 모국어 발화실험과 한국어 발화실험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먼저 중국인이 발화한 한국어의 폐쇄음 중에서 경음은 한국인이 발화한 경음과 비슷한 음향적 특성을 보이지만 한국어의 평음과 격음에 대한 한국인과 중국인의 발화는 음향학적으로 많은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중국인은 한국어의 평음과 격음을 제대로 구별해서 발화하지 못 하고 평음을 pitch가 높게 발화하여 격음에 가까운 발음을 하였다. 한국인의 경우 어두에서 Pitch 값이 평음<경음<격음의 일정한 차이를 보였고 이중 평음과 격음 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어중에서도 평음과 경음 간, 평음과 격음 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에 비하여 몽골인은 어두와 어말 위치에서 폐쇄음의 종류에 따라 둘씩 서로 비교했을 때 대부분의 경우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음성인지실험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중국인과 몽골인은 한국어의 폐쇄음(평음, 경음, 격음) 중에서 평음과 격음을 구별하지 못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간의 비교에서는 몽골인이 중국인에 비해 더 잘 구별하지 못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몽골어와 중국어의 폐쇄음과 한국어의 폐쇄음의 VOT값을 비교해봄으로써 그 원인을 유추할 수 있다. 한국어의 평음과 격음의 VOT값은 몽골어와 중국어의 격음의 VOT값과 겹치기 때문에 구분해서 인지하기가 어렵다고 해석할 수 있다. 한국어 폐쇄음의 발음교육에 관해서는 한국어의 평음, 경음, 격음을 구별(특히 평음을 다른 음과 구별)하는 데 가장 결정적인 단서가 Pitch인 것을 감안하여 Pitch를 통한 발음 교육을 중국인과 몽골인 학습자에게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발음 교육이 Pitch를 통한 교육이었으므로 성조어인 중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학습자가 비성조어인 몽골어를 모국어로 하는 학습자에 비해 교육의 효과가 더 좋을 것으로 예상했으나 두 언어권의 학습자가 동일하게 Pitch를 통한 발음 교육 후에 발음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몽골인 학습자에게 모국어의 영향은 부정적으로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Pitch를 폐쇄음의 결정적 단서로 감안하여 발음 교육의 방법을 제시하고 그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녹음한 학습자의 발음을 들려주고 프라트의 음성분석 결과 화면을 동시에 보여주며 학습자와 한국인의 음성을 프라트의 음성분석 결과 화면을 통해 함께 보여주고 설명하였다. 발음 교육을 받은 실험군의 학습자들은 대조군의 학습자들에 비해 한국인이 발음한 평음:경음:격음에 가깝게 Pitch 값이 변화하였고 이로 인해 한국어 폐쇄음에 대한 발음이 많이 개선이 된 것으로 드러났다. 즉, Pitch를 활용한 발음 교육은 격음을 확실히 구분하는 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평음과 경음의 구분도 가능하게 하였다. 본 연구는 몽골어·중국어 화자의 한국어 발음 오류의 원인을 진단·분석하고 효율적인 한국어 발음 교수법을 개발하기 위해 음성 분석 프로그램 Praat를 활용하였다. 학습자들이 흔히 범하는 한국어 폐쇄음의 발음 오류의 원인을 밝히고 검증 과정을 통해 효율적인 발음 교수법을 제시하였다. 현재 대부분의 국내 대학에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각 언어권에 맞는 교수법은 물론, 특히 발음 교수법의 경우 교수 여건이 더욱 빈약한 형편이다. 본 연구가 종결된 현재, 연구 참여자들은 그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에서 외국인에게 한국어 폐쇄음을 구분하여 발음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있다. Pitch를 구별하여 발음하는 한국어 폐쇄음 발음 교육 방식은 충분히 효과가 있음을 교육 현장에서 직접 확인하고 있다. 앞으로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어 폐쇄음을 교육할 때 Pitch를 활용한 교수법이 적극 활용되고 또한 대학에서의 표준 한국어 발음 교수법으로도 발전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나아가, 본 연구 과제를 통해 축적되는 연구 결과는 여러 부문에 걸쳐 활용될 것이다. 무엇보다도 지금까지 효율적인 발음 교수법을 기반으로 한 발음 교재 개발의 필요성을 제안한 경우는 많았다. 그러나 언어권에 맞게 발음 교수법을 반영한 전문적인 발음 교재와 부교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한국어와 몽골어·중국어 간의 조음음성학적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고 대응 관계를 밝힘으로써 효율적인 발음 교수법을 제안하였다. 한국어 폐쇄음을 바탕으로 하여, 다른 자음과 모음을 대상으로 음성학적 특성을 비교한 교수법이 반영된 발음 교재를 개발한다면 몽골과 중국어권 학습자에게 적절한 발음 교재가 될 것이다.
  • 색인어
  • 음성발화실험, 음성인지실험, 한국어 폐쇄음, 중국어 폐쇄음, 몽골어 폐쇄음, 음성구동시간 (VOT), 폐쇄구간 (closure duration), 성조 (pitch),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교육, 청화식교수법, PRAAT, 발음교육의 효율성, 몽골어 폐쇄음의 음향음성학적 특징, 성조(pitch)를 활용한 발음교육, 몽골어 자음과 모음에 대한 한글 표기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