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국행정의 해석학적 이해와 분석에 관한 연구 : 방법론적 대안의 탐색과 한국행정 연구에의 적용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기초연구지원인문사회& #40;창의주제연구&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8-321-B00231
선정년도 2008 년
연구기간 1 년 (2008년 07월 01일 ~ 2009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박광국
연구수행기관 가톨릭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박석희(가톨릭대학교)
이종원(가톨릭대학교)
이광석(경북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그 동안 행정학의 연구와 발전에 있어 철학, 사회학, 정치학 등 인근 인문과학 및 사회과학 연구방법론과의 의사소통이 부족하였다. 이로 인해 행정학 연구정향에 있어 소위 주류사회과학방법론 이외에 다양한 질적인 연구방법론들이 개별적으로 행정학 이론과 연구에 접목되었을 뿐 한국행정연구에 필요한 다양한 질적 연구방법론들에 대한 포괄적이고 종합적인 이해와 분석이 부족하였다.
    최근의 사회과학의 연구 흐름은 다학문적 교류와 협력을 통해 양적 방법론과 질적 방법론이 통합되어 가는(methodological integration) 추세에 있다. 따라서 행정학 이론개발과 연구에 있어 다양한 질적 방법론들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가 행정현상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분석을 위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더욱이 그 동안 학문의 발전과정에서 철학을 중심으로 하는 인문과학과 사회과학의 의사소통이 단절됨에 따라 양 학문분야에서 개발된 이론적 연구들 간에 통섭과 교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로 인해 동일한 이론에 대한 연구를 하면서도 사회에 대한 이해의 방식과 이론적 내용이 서로 소통되지 못하고 단절적인 학문발전을 경험해 오고 있다. 이는 학문의 발전에 큰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사회과학 연구에 있어서는 최근 근거이론(grounded theory)에 입각한 사회현상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행정학 연구에 있어 거버넌스 구현을 위한 행정의 언어분석이 부족하다는 반성을 토대로 행정언어 연구가 강조되고 있고, 유럽 전통의 해석학․현상학․비판이론 등의 이론 및 영미 전통의 민속학방법론․사례분석․스토리텔링 등의 방법론들이 다양하게 행정연구에 접목되고 있다. 이에 따라 행정현상의 해석학적 혹은 현상학적 분석을 위한 학제적 연구의 필요성이 이미 오래 전부터 제기되어 왔음에도 실제 이러한 연구가 부족하여 학문발전에 기여하지 못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치학, 행정학, 사회학, 철학 등 인접 학문분야 연구자들을 포괄하여 다양한 연구방법론 및 이론을 분석함으로써 행정현상 연구에 있어서의 질적 연구에 대한 이론적 지평을 크게 확대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행정학적 관점에서 기존의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발전해 온 이론들과 연구내용에 대한 이론적 지도(theoretical map)를 새롭게 작성하여 21세기 거버넌스 행정에 요구되는 ‘담론과 이해’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다음 우리나라 행정에 대한 토착적 행정현상 이해를 위한 질적 행정분석모델을 구축함으로써 정치학, 사회학, 행정학 등 학제적 연구를 통한 행정이론을 개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틀을 토대로 조직․인사, 정책, 예산 등 행정의 영역별로 한국행정현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1) 연구결과의 학문적․사회적 기여도

    본 연구는 행정학 연구가 지닌 그동안의 기능주의적․실용주의적․현실지향적 연구지향에서 벗어나 이론적․철학적․담론적 분석과 이해를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그 동안 행정학 연구가 지닌 이론적 심층성 부족 및 학문발전에 대한 낮은 기여도 등을 극복하고 한국행정의 학문적 질을 한 단계 제고하고, 국제적 위상을 강화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행정의 질적 이해와 분석을 위한 인근 학문분야의 이론적 내용에 대한 이해와 분석을 토대로 한국행정현상에 대한 대안적 분석모델을 구축하고, 한국행정 연구에의 적용 및 토착화된 이론의 개발 및 보급에 기여할 수 있다. 현실적으로 우리나라의 다양한 행정현상들을 다양한 이론과 질적 방법론에 토대를 둔 대안적 분석모델을 통해 재해석하고 이해함으로써 성공적인 행정개혁전략의 수립과 시행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 행정에 대한 대안적 분석모델의 구축을 통해 행정이론의 지평을 두 단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2) 인력양성 방안

    이러한 이론개발과 우리나라 행정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통해 행정이론에 대한 연구지평을 확대하고, 박사과정 및 석사과정 학생들의 학습영역을 확대함으로써 행정이론에 대한 전문가 양성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인력양성계획은 실무중심의 행정인력 양성보다는 이론교육을 중심으로 하는 학자로서의 행정인력 양성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내용을 토대로 한 교육과 인력양성계획이야말로 재단 기초연구과제지원사업에 가장 적합한 연구주제와 교육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이론적 연구에 대한 교육을 토대로 우리나라 상황에 적합한 한국형 정부혁신의 교육훈련과 컨설팅을 담당할 실무인력 양성에도 기여할 수 있다. 최근 갈등관리, 딜레마관리, 근거중심정책관리 등 최근 복잡한 행정 환경 하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정책관리능력을 지닌 실무행정가를 필요로 하고 있음에도 기존의 주류사회과학방법론에 토대를 둔 행정인력양성이 이러한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한 측면이 있다. 따라서 이론적 내용과 이를 한국행정연구에 적용한 응용연구를 통해 행정이론의 교육지평을 확대함은 물론 적실성 높은 지식을 보유한 실무행정가 양성에도 기여할 수 있다.

    3) 교육과의 연계 활용 방안

    연구결과 개발된 이론과 사례들을 행정학 분야에서 정부혁신론, 한국행정이론, 비교행정론, 행정학의 이론과 연구 등의 교과목 개발과 학습교재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여러 국가들의 학자, 전문가, 공무원들에 대한 초청 교육 등에 있어 국내 대학(원)생들의 교육 참여를 통해 학생들의 연구와 교육에 기여하고, 인근 학문분야의 유관 연구진들과의 학술교류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기존의 행정학 교육이 주류사회과학방법론에 치중한 양적 분석을 강조하였으나, 최근의 연구와 교육경향이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의 통합을 강조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질적 연구방법론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분석과 이해가 선행되어야 행정학 교육에 보다 적실성 있는 커리큘럼과 교육내용을 제작․보급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행정현상에 대한 대안적 방법론의 분석과 이해를 통해 대학원생은 물론 학부생들에게 보다 깊이 있고 적실성 높은 행정이론에 대한 강의와 교육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우선 영미식․유럽식에서 수행되어 온 질적 연구의 내용과 철학적 토대에 관해 고찰하고, 앞으로 한국 행정학계에 수행될 질적 연구들에 대한 방법론적 대안을 모색하고 분석해보고자 한다.
    그리하여 본 연구를 위해 정치학, 사회학 등 인접학문분야 연구자들과 소규모 주제를 중심으로 정기적인 콜로키움, 세미나, 포럼 등 학술대회를 개최하여 집중토론 하되, 이러한 소규모 집중토론회를 초청자를 바꿔가며 수차례 개최할 예정이다.
    그리고 한국행정의 진화과정과 현실에 대한 이해는 근거이론 등에 토대를 둔 담론적 분석과정을 통해 보다 현상에 정확하게 접근하고, 한국행정의 해체과정(deconstruction)을 통해 보다 적실성이 높은 한국행정의 진화 과정을 재구조화(restructuration)하는 것이 이 연구의 최종적 목적이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리는 첫째, 질적 연구 경향의 정확한 이해와 그 내용을 고찰하여 대안적 분석모델을 구축하고 둘째, 한국행정의 이해를 위한 방법론적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A. 1년차: 질적 연구 경향의 이해와 대안적 분석모델의 구축
    ① 질적 연구의 범주와 질적 연구 방법의 철학적 가정 검토
    ② 선진국들의 질적 연구 핵심과 질적 연구의 5가지 전통
    ③ 선진국들의 질적 연구 내용: 대표적인 예로서 사회구성주의

    B. 2년차: 한국행정의 이해를 위한 방법론적 대안 모색과 분석
    ① 비판적 실제론(critical realism)과 언어
    ② 행정현상 언어분석
    ③ 언어이론을 활용한 한국행정학 연구
  • 한글키워드
  • 행정철학,대안적 방법론,해석학,한국행정,행정현상,질적연구,연구방법론,현상학
  • 영문키워드
  • hermeneutics,Interpretive Analysis,administrative philosophy,restructuration,Korean Public Affairs,Methodological Alternatives,phenomenology,Korean Public Administration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1.연구의 배경 및 목적
    그 동안 행정학의 연구와 발전에 있어 철학, 사회학, 정치학 등 인근 인문과학 및 사회과학 연구방법론과의 의사소통이 부족하였다. 이로 인해 행정학 연구정향에 있어 소위 주류사회과학방법론 이외에 다양한 질적인 연구방법론들이 개별적으로 행정학 이론과 연구에 접목되었을 뿐 한국행정연구에 필요한 다양한 질적 연구방법론들에 대한 포괄적이고 종합적인 이해와 분석이 부족하였다.
    최근의 사회과학의 연구 흐름은 다학문적 교류와 협력을 통해 양적 방법론과 질적 방법론이 통합되어 가는(methodological integration) 추세에 있다. 따라서 행정학 이론개발과 연구에 있어 다양한 질적 방법론들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가 행정현상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분석을 위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더욱이 그 동안 학문의 발전과정에서 철학을 중심으로 하는 인문과학과 사회과학의 의사소통이 단절됨에 따라 양 학문분야에서 개발된 이론적 연구들 간에 통섭과 교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로 인해 동일한 이론에 대한 연구를 하면서도 사회에 대한 이해의 방식과 이론적 내용이 서로 소통되지 못하고 단절적인 학문발전을 경험해 오고 있다. 이는 학문의 발전에 큰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사회과학 연구에 있어서는 최근 근거이론(grounded theory)에 입각한 사회현상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행정학 연구에 있어 거버넌스 구현을 위한 행정의 언어분석이 부족하다는 반성을 토대로 행정언어 연구가 강조되고 있고, 유럽 전통의 해석학․현상학․비판이론 등의 이론 및 영미 전통의 민속학방법론․사례분석․스토리텔링 등의 방법론들이 다양하게 행정연구에 접목되고 있다. 이에 따라 행정현상의 해석학적 혹은 현상학적 분석을 위한 학제적 연구의 필요성이 이미 오래 전부터 제기되어 왔음에도 실제 이러한 연구가 부족하여 학문발전에 기여하지 못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치학, 행정학, 사회학, 철학 등 인접 학문분야 연구자들을 포괄하여 다양한 연구방법론 및 이론을 분석함으로써 행정현상 연구에 있어서의 질적 연구에 대한 이론적 지평을 크게 확대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행정학적 관점에서 기존의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발전해 온 이론들과 연구내용에 대한 이론적 지도(theoretical map)를 새롭게 작성하여 21세기 거버넌스 행정에 요구되는 ‘담론과 이해’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다음 우리나라 행정에 대한 토착적 행정현상 이해를 위한 질적 행정분석모델을 구축함으로써 정치학, 사회학, 행정학 등 학제적 연구를 통한 행정이론을 개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틀을 토대로 조직․인사, 정책, 예산 등 행정의 영역별로 한국행정현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2.본 연구의 특성
    본 연구는 연구목적과 내용 측면에서는 물론 연구수행절차와 방법에 있어 다음과 측면에서 우월성과 독창성을 갖고 있다.
    첫째, 정치학, 사회학 등 인접학문분야 연구자들과 소규모 주제를 중심으로 정기적인 콜로키움, 세미나, 포럼 등 학술대회를 개최하여 집중토론 하되, 이러한 소규모 집중토론회를 초청자를 바꿔가며 수차례 개최한다.
    둘째, 한국행정의 진화과정과 현실에 대한 질적 이해는 토대이론, 해석학, 현상학, 비판이론, 민속학방법론 등 다양한 이론에 토대를 둔 담론적 분석과정과 현상에 대한 이해를 통해 보다 실상에 정확하게 접근하고자 한다.
    셋째, 질적 연구를 통한 한국행정의 해체과정(deconstruction)을 통해 보다 적실성이 높은 한국행정의 진화과정을 재구조화하고자 한다.
    넷째, 그 동안 질적 방법론을 행정분석에 적용한 연구들을 토대로 한국행정의 이해를 위한 대안적 분석모델을 체계적으로 구축하고자 한다. 대안적 분석모델의 구축은 학제간 연구를 통한 심층적 담론(in-depth discourse)과정을 통해 도출될 수 있으므로 정치학,사회학,철학 등과의 학제적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다섯째, 이러한 연구과정을 이론적으로 재해석하고, 분석모형을 구축하기 위해 연구진들 간의 지속적인 포럼, 콜로퀴움, 세미나, 국내외 학술발표 등을 개최하여 연구의 발전을 도모하고, 연구성과의 확산에 중점을 두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영미 전통의 다양한 이론내용은 물론 유럽 전통의 이론내용들을 포괄하는 질적 연구와 이론들에 대한 분석과 해석을 토대로 이러한 질적 연구들에 대한 이론적 지도를 우선 작성하고자 한다. 이러한 이론적 지도를 토대로 한국행정연구에 가장 적합한 대안적 방법론과 분석모형을 도출하고, 이를 한국행정현상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제기되는 문제사례들에 적용함으로써 한국행정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이해를 시도하고자 한다.
  • 영문
  • 1. Need for multi-year research
    A systematic understanding and analysis of various theories on administrative phenomena, and search for alternative methodologies for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and their application to analysis of Korea public administration are very unusual attempts in both theoretically comprehensive and academic sense. To further enhance these researches, academic exchange programs with well-known foreign scholars must be extended. For this broad research goal, we think this study is definitely short for just one year, at least two years of research could bring much better foundation for establishing new administrative theories.
    Thus, the first research year produced the very basis for investigating and developing theories and concepts of administration-related subjects with the focus of qualitative analysis. We sketched both theories of Anglo-american and european tradition and tried to draw a comprehensive map. The second year of this research will build an alternative methodology and analytic framework for qualitative analysis of Koran public administration and will endeavor to interpret and analyze universalities and idiosyncrasies of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This process of theoretical analysis and model development, and its application to understanding of Korean administrative phenomena needs to be accomplished sequentially and also various interdsciplinary and within-dscipline dialogue network are essential. From these reasons, this research requires a multi-year schedule, not just single year plan.

    2. Need for overseas research trips
    Academic exchanges and dialogues with well-known foreign scholars are necessary for leveling up understanding of the state of advanced qualitative researches. It would increase our research's creditabilities. Many researches up to now have depended upon secondary interpretation of other scholars' academic results without delving into overseas researches directly. These practices inevitably have restricted our theoretical depth. To overcome this academic impediment, sound scholarly dialogues and exchange activities with both Anglo-American and european scholars are very important.
    In addition, after developing alternative methodologies and analytical frameworks, diffusion and advertizement efforts of scientific achievements to worldwide academia are also important. Diverse networking and comparative research through constructive dialogues with pundits and gurus in the field require overseas research trips to the U.K., the U.S.A., and continental Europe. Direct investigation and interviews with prominent interpretive scholars will enable us to build a much-needed scholarly networks and to enhance qualities of qualitative and interpretive researches, which have subtle local significanc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먼저 질적 연구 경향의 이해를 토대로 대안적 분석모델을 구축하였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의 범주와 질적 연구 방법의 철학적 가정을 검토하였다. 현재 행정학에 있어서 질적 연구는 ‘무조건적인 가치중립’이라는 잘못된 가치에 매여, 이해와 그 의미에 대한 측면을 간과하고 학문의 본 목적인 반성과 비판의 기능을 상실하는 점을 지적하면서부터 등장한다(임의영, 1999; 정성호, 2000;2001, 윤견수 2005). 즉 계량적인 접근에 매몰되어 가는 행정학의 방법론에 대한 반성이 질적 연구에는 반영된다(김명환, 2004; 원숙연, 2002; 윤견수 2005).
    그런데 여기서 '행정학의 방법론에 대한 반성을 할 수 있는 질적 연구는 어디까지 포함되는 가?'라는 의문을 던질 수 있다. 그리고 이 의문에 이어 ‘질적 연구는 비계량적 연구의 대부분을 연구에 포함시키는 것인가?’ 혹은 ‘비계량적인 연구 가운데 현장연구(field research)와 관련된 방법론만을 질적 연구에 포함시키는 가?’ 라는 두 가지 의문을 가질 수 있다. 물론 현재로서는 이 두 가지 의문에 통일된 견해는 없다(Norman & Lincoln, 2000). 그리하여 본 연구는 먼저 이완 같은 질문에 대한 ‘질적 연구’의 범주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질적 연구가 지향하는 철학적 가정에 대해 검토하였다. 구체적으로 질적 연구가 지향하는 철학적 가정은 크게 5가지로 분류할 수 있고,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기 위하여 자연과학과 다른 방식의 접근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있다. 또 질적 연구는 의미와 이해를 강조하기 때문에 객관적 접근이 아니라 주관적 접근을 취하고 있다. 여기서 주관적의 의미는 실재론이 아닌, 유명론에 바탕을 둔 존재론을 지지하는 것이고, 반실증주의적 인식을 선호하며, 인간 행동이 결정론적으로 지배당하는 것이 아니라 자율적으로 수행된다고 보는 것을 뜻한다. 그리하여 질적 연구가 지향하는 이 5가지 철학적 가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고찰하고, 이와 같은 가정들이 연구자들에게 어떤 영향력을 행사하는지 또 이해주의(interpretism), 해석학(hermeneutics), 사회적 구성주의 등에 대해 이 5가지 가정이 어떤 식으로 연구 수행에 반영되었는가를 연구하였다.
    연구의 후반부에는 한국행정의 이해를 위한 방법론적 대안 모색과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비판적 실제론과 언어를 분석하였다. 행정학자가 사용하는 이론과 그에 대한 논의에서 사용되는 개념들은 일종의 인공어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러한 언어는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구성체라고 할 수 있다. 행정학자들은 행정현상을 묘사하고 설명위해 개념들을 사용한다. 나아가 이들 개념들 간의 논리적 관계를 도출하여 이론을 형성하며 이 이론을 가지고 행정현상을 설명하거나 때로는 변화시키려는 기획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언어이론을 활용하여 한국행정학을 연구하였다. ‘한국’ 행정학을 말할 때 가장 초점에 있는 것이 바로 한국 행정학의 정체성 혹은 토착화 논의이다. 한국 행정학의 정체성이나 토착화 논의를 한다는 것은 이미 한국 행정학이라는 ‘사용되고 있는 이론’이 한국에서의 일상적 사건들과 불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전제하고 있는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의 학문적․사회적 기여도

    본 연구는 행정학 연구가 지닌 그동안의 기능주의적․실용주의적․현실지향적 연구지향에서 벗어나 이론적․철학적․담론적 분석과 이해를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그 동안 행정학 연구가 지닌 이론적 심층성 부족 및 학문발전에 대한 낮은 기여도 등을 극복하고 한국행정의 학문적 질을 한 단계 제고하고, 국제적 위상을 강화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행정의 질적 이해와 분석을 위한 인근 학문분야의 이론적 내용에 대한 이해와 분석을 토대로 한국행정현상에 대한 대안적 분석모델을 구축하고, 한국행정 연구에의 적용 및 토착화된 이론의 개발 및 보급에 기여할 수 있다. 현실적으로 우리나라의 다양한 행정현상들을 다양한 이론과 질적 방법론에 토대를 둔 대안적 분석모델을 통해 재해석하고 이해함으로써 성공적인 행정개혁전략의 수립과 시행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 행정에 대한 대안적 분석모델의 구축을 통해 행정이론의 지평을 두 단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2. 인력양성 방안

    이러한 이론개발과 우리나라 행정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통해 행정이론에 대한 연구지평을 확대하고, 박사과정 및 석사과정 학생들의 학습영역을 확대함으로써 행정이론에 대한 전문가 양성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인력양성계획은 실무중심의 행정인력 양성보다는 이론교육을 중심으로 하는 학자로서의 행정인력 양성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내용을 토대로 한 교육과 인력양성계획이야말로 재단 기초연구과제지원사업에 가장 적합한 연구주제와 교육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이론적 연구에 대한 교육을 토대로 우리나라 상황에 적합한 한국형 정부혁신의 교육훈련과 컨설팅을 담당할 실무인력 양성에도 기여할 수 있다. 최근 갈등관리, 딜레마관리, 근거중심정책관리 등 최근 복잡한 행정 환경 하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정책관리능력을 지닌 실무행정가를 필요로 하고 있음에도 기존의 주류사회과학방법론에 토대를 둔 행정인력양성이 이러한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한 측면이 있다. 따라서 이론적 내용과 이를 한국행정연구에 적용한 응용연구를 통해 행정이론의 교육지평을 확대함은 물론 적실성 높은 지식을 보유한 실무행정가 양성에도 기여할 수 있다.

    3. 교육과의 연계 활용 방안

    연구결과 개발된 이론과 사례들을 행정학 분야에서 정부혁신론, 한국행정이론, 비교행정론, 행정학의 이론과 연구 등의 교과목 개발과 학습교재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여러 국가들의 학자, 전문가, 공무원들에 대한 초청 교육 등에 있어 국내 대학(원)생들의 교육 참여를 통해 학생들의 연구와 교육에 기여하고, 인근 학문분야의 유관 연구진들과의 학술교류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기존의 행정학 교육이 주류사회과학방법론에 치중한 양적 분석을 강조하였으나, 최근의 연구와 교육경향이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의 통합을 강조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질적 연구방법론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분석과 이해가 선행되어야 행정학 교육에 보다 적실성 있는 커리큘럼과 교육내용을 제작․보급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행정현상에 대한 대안적 방법론의 분석과 이해를 통해 대학원생은 물론 학부생들에게 보다 깊이 있고 적실성 높은 행정이론에 대한 강의와 교육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 색인어
  • 현상학, 행정언어, 질적방법론, 해석학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