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미하일 불가코프의 메타드라마 연구: 현실세계에 대한 새로운 접근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08-327-A00821
선정년도 2008 년
연구기간 1 년 (2008년 11월 01일 ~ 2009년 10월 31일)
연구책임자 백승무
연구수행기관 서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20세기 전반 소련 희곡사에 굵은 획을 그은 불가코프의 극작세계를 ‘메타드라마’란 프리즘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현실과 예술과의 경계 및 그 관계를 밝히기 위한 시도이다. 불가코프가 남긴 극작품은 총 13개 작품에 달하고 있다. 60년대부터 불가코프의 드라마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으나 기존의 연구들은 이 개별 작품들에 대한 제한적 분석에 머물고 있다. 즉 각각의 작품이 창작된 배경이나 그 상황, 작품의 창작의도와 특징, 내용적, 형식적 특수성과 그 문학적 의미 등이 주요한 연구 대상이었다. 게다가 그 연구들이 몇몇 주요한 작품들(예를 들어 <투르빈가의 나날들>, <적자색섬>, <조야의 아파트> 등)에만 지나친 관심을 투자했으며 나머지 작품들은 그 뛰어난 우수성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조명을 받지 못했다. 심지어 위에서 언급한 주요한 극작품들도 불가코프의 극작세계를 전체적으로 아우르는 관점에서 연구된 것이 아니라, 그의 소설에서 나타나고 있는 세계관을 토대로 분석한 경우가 많아, 드라마라는 명확한 장르적 속성을 염두에 두지 않고 있는 경우도 빈번하다. 따라서 러시아에서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불가코프의 극작세계를 통시적 관점으로 조망하는 작업은 아직 진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불가코프 연구의 성과와 한계를 직시하면서 좀 더 통시적이고 일관된 관점에서 불가코프 극작세계를 통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며, 그 방법론으로 ‘메타드라마’라는 개념을 도입하고자 한다. 이 ‘메타드라마’라는 프리즘을 통해 불가코프 드라마 전반을 조망함으로써, 그의 극작세계가 가진 특수성과 본질, 감춰진 극작의도 등이 명확하게 드러날 것이다.
    본 연구는 불가코프 극작세계를 종합적이고 통시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는 불가코프 개인의 창작세계만을 해명하는 것이 아니라, 20년대 30년대 소비에트 드라마사의 진행과 발전상을 이해하는데도 크나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불가코프의 극작활동은 20~30년대의 주류 문단과 끊임없는 마찰과 긴장 속에서 벌어지므로, 그의 극작세계를 이해함으로써 그 대척점에 있었던 주류 문단계의 상황까지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단적인 예로, 20년대와 30년대 풍자코미디의 내용적 차별성을 ‘광기에서 죽음으로 이동하는 주인공의 운명’으로 설명한 С. Комаров의 분석은 불가코프의 극작세계에 그대로 적용되는데, Комаров가 언급한 문학사회학적 결절점이 불가코프 개인의 창작단계에서 그대로 적중한다는 사실은 불가코프의 문학적 성과를 대변해주는 동시에, 소비에트 드라마史의 경향과 특징을 압축적으로 설명해주고 있다 См.: С.А. Комаров Багровый остров в идейно-эстетических исканиях М. Булгакова 20-х годов // Поэтика писателя и литературный процесс. Сб. науч. тр. Тюмень: ТГУ, 1988. С.88.
    . 또한 불가코프의 ‘메타드라마’가 현실과 예술간의 긴박한 갈등상황을 그대로 재현하고 있다는 점에서 작가와 권력과의 관계, 나아가 문학의 본질과 정체성을 이해하는 데에도 큰 도움을 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불가코프의 극작세계를 해명할 수 있는 열쇠로서 ‘메타드라마’적 관점을 제시할 것이며, 이를 통해서 불가코프 극작세계의 전반적 본질을 이해함은 물론, 소비에트 초기 문학흐름을 간접적으로 엿볼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예술의 임무와 사명에 대한 불가코프의 사유를 알 수 있을 것이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개별적으로 진행되어온 불가코프 극작세계 연구를 거시적이고 통시적 관점에서 조망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될 것이다. 이를 통해 향후 불가코프 극작술의 종합적 연구를 가능하게 할 토대를 마련할 것이며, 나아가 불가코프 예술세계에 대한 전반적 이해라는 장기적 과제를 위한 초석을 놓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불가코프 극작세계에 대한 통시적 연구성과는 사회주의 리얼리즘이 정착되는 30년대 말 이전의 상황, 즉 10월 혁명 후 20~30년대 소련의 격렬하고 첨예한 문학 상황을 이해하는 데 크나큰 도움을 줄 것이다. 불가코프의 극작세계는 소련 주류 예술계와 극렬한 마찰을 일으키며 구축되었기 때문에 그의 극작품 전반의 흐름을 살펴본다는 것은 곧 20~30년대 소련 연극계의 상황에 대한 이해라는 부수적 효과를 가져온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가 제시한 ‘메타드라마’란 주제는 현대 러시아 드라마뿐만 아니라, 서구 드라마, 한국 드라마에도 적극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즉, 불가코프에서 연원한 이 문제의식은 20세기 드라마史 전반을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결국 불가코프 극작품의 ‘메타드라마’적 성격을 분석하는 것은 드라마의 본질과 그것이 현실과 맺는 관계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도모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불가코프의 극작세계를 해명하기 위한 연구의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나아가 러시아 드라마사와 불가코프 작품세계의 이해를 위한 수업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연구의 방법론으로 채택한 ‘메타드라마’의 개념은 현대 희곡의 분석에도 응용할 수 있는 활용도가 높기 때문에 연극 전문가와 문학연구자들에게 현대 희곡 이해를 위한 분석의 표본으로 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성과는 각종 전문기관에서 개최하는 토론회를 통해 발표될 것이며, 또한 러시아어문학 관련 잡지를 비롯해 국내 연관 잡지에 소개됨으로써, 불가코프 연구와 러시아 드라마 연구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에서는 불가코프의 희곡작품에서 사용된 ‘메타드라마’적 기법을 고찰할 것이다. 극작품에는 당시 사회상이나 시대정신뿐만 아니라, 작품의 창작과정과 그 소재들에 대한 광범위한 관심이 드러난다. 이 경우 극작품은 인간의 삶을 보여주는 하나의 창문일 뿐만 아니라, 극이라는 표현매체에 대한 작가 자신의 이해와 그 창작과정을 반영하는 거울 역할을 한다. 이때 슈제트와 등장인물의 자리에는 극작가 자신, 그의 대변자(페르소나), 그가 사용하는 극적 매체들, 극작과 관객 사이의 상호 작용 등이 들어서게 된다. 극작품이 단순히 현실의 재현이 아니라, 작가의 자기분석, 자기비판의 기능까지 수행하게 되는 경우, ‘드라마에 관한 드라마’, 즉 ‘메타드라마’가 되는 것이다. ‘메타드라마’ 연구는 작가 자신이 창조한 극작품과 그것의 매체인 극장에 대한 작가적 의식을 작품 속에서 어떻게 반영하는가를 다루는 것으로서, 극적 환상의 파괴, 관객에 대한 작가의 발언, 극이라는 환상이 발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극중극의 등장, 역할놀이, 엿보기, 배우와 배역 사이의 괴리 등을 통해 드러난 양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런 기법들을 통해 환상과 실재의 경계인 무대와 객석의 차이는 사라지며, 무대의 환상은 현실보다 더 현실적인 사실로 바뀌게 되며 관객들은 현실의 의미에 대해서 질문하고 자기반성적 태도를 견지하게 된다.
    불가코프의 ‘메타드라마’를 연구한다 함은 그 자체로 그의 극작세계를 새로운 개념의 틀로 이해하고자 하는 참신성이 내재되어 있다. 보통 ‘메타드라마’적 기법은 극 속에 새로운 극을 삽입시키는 방식과 극을 만드는 과정을 노출시켜 보여주는 방식, 제4의 벽을 깨고 실재세계에 거주하는 관객과 소통을 시도하는 방식 등으로 제시된다.
    이런 자의식적이고 자기반영적 ‘메타드라마性’은 관객이 서있는 현실의 토대를 낯설게 하여 리얼리즘 극보다 더 효과적인 삶의 체험을 전달한다. 불가코프가 이런 ‘메타드라마’ 기법을 적극 활용했다는 사실은 환상을 통해 전달하고자 했던 현실이 어떤 것이었고, 현실 자체가 환상처럼 여겨질 수밖에 없었던 이유, 환상이 현실보다 더 현실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고 생각한 사연 등을 밝힐 수 있게 해준다. 어느 유파에도 속하지 않았고, 더군다나 자신을 ‘전통주의자’ 라고 규정한 불가코프의 극작세계는 바로 이 ‘메타드라마性’의 개념을 통해서 좀 더 원활하고 일관성 있게 조명될 수 있을 것이다.
    불가코프의 극작세계를 ‘메타드라마性’으로 분석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로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이유를 꼽을 수 있는데, 이 특징들은 향후 연구의 방법론으로 발전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흔히 불가코프의 극작품들은 비극과 희극의 특성을 공유하고 있다고 평가한다. 특정한 장르적 규범을 유지하지 못하고 두 가지 상반된 성격을 혼합하는 방식은 메타드라마가 유행한 바로크 시대의 연극적 특징과도 일치한다. 둘째, 불가코프의 기본적 품성은 그야말로 ‘연극적’이었으며 그 자신도 스스로 “저는 작가가 아닙니다. 저는 배우입니다”라고 소개하기도 했다. 그의 작품들 속에는 삶에서 발생하는 연극적 모멘텀을 포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극중극 구조를 가진 극작품들은 말할 나위도 없고, 심지어 소설 중에서도 청자와 관객을 염두에 둔 작품, 혹은 배우가 연기하는 듯한 작품이 많다. 셋째, 제국의 몰락과 혁명, 내전, 네프 등의 거대한 사건을 겪었던 불가코프에게도 이 현실은 완벽한 확신과 절대적 정확성을 제공하는 세계가 아니었다. 현실을 단지 백일몽이나 환상으로 지각하는 태도, 즉 현실에 대한 신뢰가 무너진 상태는 극작 행위에서도 그대로 드러난다. 현실과 가상이 엄격하게 분리되고, 무대의 사건이 현실을 모방하고 있다는 굳은 신념은 파기되고, 무대 위의 사건도 현실세계처럼 그저 환상이고 꿈에 불과하다는 생각이 지배한다. 넷째, 불가코프가 ‘메타드라마’적 사유체계를 가질 수밖에 없었던 또 다른 이유는 암울하고 비극적이었던 자신의 전기에서 찾아볼 수 있다. 불가코프의 희곡작품들은 대부분 상연금지 처분을 당했을 뿐만 아니라, 상연되더라도 소비에트 비평계에 의해서 혹독한 비판을 받다가 외압에 못 이겨 조기 종연되는 결과를 맞이했다. 그 극단적 괴리 속에서 불가코프는 ‘다르게 말하기’, 혹은 ‘복화술적 말하기’를 익히게 되며, 기법적으로 ‘메타드라마’의 활용은 필연적이게 된다. 이처럼 불가코프의 드라마에서 ‘메타드라마性’은 단순히 연극적 기법이 아니라 세계를 이해하고 세계를 축조하는 하나의 구조로 정착되어 있다. 이를 통해 불가코프가 인식한 현실세계의 정체와 그 의미, 그리고 예술과 현실이 맞닿는 지점과 그 관계를 엿볼 수 있을 것이다.
  • 한글키워드
  • 극중극,<극락>,무대환상,세계극장론,<투르빈가의 나날들>,소비에트 드라마,리얼리티,리얼리즘,메타드라마,드라마,불가코프,<이반 바실리예비치>,<위선자들의 카발라>,<질주>,<조야의 아파트>,<적자색섬>,자기반영성,제4의 벽
  • 영문키워드
  • <Flight>,<Ivan Vasilevich>,drama,Bulgakov,<Beatitude>,<The Cabal of Hypocrites>,metadrama,<The crimson island>,<The Days of The Turbins>,self-reflexibility,theatrum mundi,the fourth wall,theatrical illusion,Soviet drama,heatre-within-theatre,reality,<Zoya's apartment>,realism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1920년대와 1930년대에 러시아에서 활발한 극작활동을 한 극작가 미하일 불가코프(1891-1940)의 드라마 작품들을 '메타드라마'란 프리즘을 통해서 해석하는 것이다. '메타드라마'는 무대 위에서 허구가 탄생하는 과정 자체를 보여주는 드라마 장르/기법을 말한다.
    불가코프의 극작풍과 극작활동은 주류문단, 특히 좌파 극장세력에 의해서 끊임없는 공격과 비난을 받았다. 그들은 불가코프를 부르주아적이며 혁명에 대한 존경심이 없다고 힐난했다. 하지만 불가코프 창작의 진정한 의도는 이들 비난과 무관하게 이념적이지 않았으며 반정부적이지도 않았다. 그의 진정한 창작정신은 지극한 휴머니즘과 사라지고 부서지는 것에 대한 관심, 극심한 혼란상에 대한 염려와 우려였다. 불가코프는 이러한 것을 표현하기 위해서 메타드라마적인 극작술을 활용했으며 이것은 단지 기법이나 장치의 수준을 넘어 작가의 세계관과도 직결되었다.
    불가코프의 극작품들은 단순히 사건의 전달, 재현에 기반하는 것이 아니라, 그 사건(무대사건)의 의미와 가치까지도 동시에 표현하고 있다. 사건에 대한 작가적 관점, 자기분석, 자기비판의 기능이 메타드라마의 기본 기능이다. 이때 메타드라마는 허구와 현실의 경계인 무대와 객석의 거리를 없애버리며, 관객으로 하여금 어떤 층위의 무대현실이 진실인지 질문을 하게 된다. 이런 자기반성적 효과가 불가코프가 궁극적으로 의도한 작품의 목적이었다.
    불가코프는 이 메타드라마적 기법/장치를 통해서 도저히 현실로 받아들일 수 없었던 당시 소련의 암울한 상황을 표현하고 있으며, 현실이 허구처럼 느껴지고, 허구 같은 사건이 현실 속에서 버젓이 발생하는 사태를 표현했다. 이런 특성은 역사적으로 시대가 혼란스러울수록 더 자주, 강하게 발현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극장과 연극을 너무나 사랑했던 불가코프의 개인적 특성도 크게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비유나 알레고리를 통해서 은유적으로 쓸 수 밖에 없었던 검열의 강력한 압력도 세계를 있는 그대로 보지 않고 '메타'적으로 보게 된 원인으로 꼽을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본 연구는 불가코프 극작술의 메타드라마적 특성을 밝혀냄으로써 불가코프 창작의 비밀을 풀어내고 20세기 초 소련 극장계의 상황과 특성까지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This research takes aim at the interpretation of the dramaturgy of Mikhail Bulgakov (1891-1940), who wrote many dramas mainly in the 1920s and 1930s, with prism of metatheatre. Metatheatre means a kind of genre or technique, which exposes the theatrical process how to come into being for the fiction itself on the stage.
    M. Bulgakov took harsh attacks and continual blames from the main stream of the criticism area, in particular from the left critics. They blamed the writer for his bourgeois writing style and the absence of the respect for the Revolution. But real intention of Bulgakov's writing was, on the contrary to their blames, far from ideology and not against the Soviet government. His real purpose of writing was extreme devotion to the humanism, the attention for things to be gone, worry and care about the confused position of the country. Bulgakov used metatheatrical technique to express these things, and it was connected directly with the writer's view of the world, beyond simple technique, literary equipment.
    Bulgakov expressed dark political situation of Soviet, which he couldn't accept as reality with namely this metatheatrical conception, and the a chaotic state of affairs, where felt the real as a fiction, where happened strange affairs in the reality without any surprise. In this research we could reveal the secret of the Bulgakov's playwriting, the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1920-s Soviet theatre as well.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20세기 전반 소련 희곡사에 굵은 획을 그은 불가코프의 극작세계를 ‘메타드라마’란 프리즘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현실과 예술과의 경계 및 그 관계를 밝히기 위한 시도이다. 60년대부터 불가코프의 드라마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으나 기존의 연구들은 이 개별 작품들에 대한 제한적 분석에 머물고 있다. 즉 각각의 작품이 창작된 배경이나 그 상황, 작품의 창작의도와 특징, 내용적, 형식적 특수성과 그 문학적 의미 등이 주요한 연구 대상이었다. 게다가 그 연구들이 몇몇 주요한 작품들에만 지나친 관심을 투자했으며 나머지 작품들은 그 뛰어난 우수성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조명을 받지 못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불가코프 연구의 성과와 한계를 직시하면서 좀 더 통시적이고 일관된 관점에서 불가코프 극작세계를 통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며, 그 방법론으로 ‘메타드라마’라는 개념을 도입하고자 한다. 이 ‘메타드라마’라는 프리즘을 통해 불가코프 드라마 전반을 조망함으로써, 그의 극작세계가 가진 특수성과 본질, 감춰진 극작의도 등이 명확하게 드러날 것이다.
    본 연구는 불가코프 극작세계를 종합적이고 통시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는 불가코프 개인의 창작세계만을 해명하는 것이 아니라, 20년대 30년대 소비에트 드라마사의 진행과 발전상을 이해하는데도 크나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불가코프의 극작활동은 20~30년대의 주류 문단과 끊임없는 마찰과 긴장 속에서 벌어지므로, 그의 극작세계를 이해함으로써 그 대척점에 있었던 주류 문단계의 상황까지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단적인 예로, 20년대와 30년대 풍자코미디의 내용적 차별성을 ‘광기에서 죽음으로 이동하는 주인공의 운명’으로 설명한 С. Комаров의 분석은 불가코프의 극작세계에 그대로 적용되는데, Комаров가 언급한 문학사회학적 결절점이 불가코프 개인의 창작단계에서 그대로 적중한다는 사실은 불가코프의 문학적 성과를 대변해주는 동시에, 소비에트 드라마史의 경향과 특징을 압축적으로 설명해주고 있다. 또한 불가코프의 ‘메타드라마’가 현실과 예술간의 긴박한 갈등상황을 그대로 재현하고 있다는 점에서 작가와 권력과의 관계, 나아가 문학의 본질과 정체성을 이해하는 데에도 큰 도움을 줄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 수행의 결과물은 불가코프의 극작세계를 해명하기 위한 연구의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나아가 러시아 드라마사와 불가코프 작품세계의 이해를 위한 수업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연구과제의 방법론으로 채택한 ‘메타드라마’의 개념은 현대 희곡의 분석에도 응용할 수 있는 활용도가 높기 때문에 연극 전문가와 문학연구자들에게 현대 희곡 이해를 위한 분석의 표본으로 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과제의 성과는 각종 전문학술단체에서 개최하는 토론회를 통해 발표될 것이며, 또한 러시아어문학 관련 잡지를 비롯해 국내 연관 잡지에 소개됨으로써, 불가코프 연구와 러시아 드라마 연구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현재 해당 연구논문을 집필 중에 있으며 근간에 그 등재학술지에 게재하여 그 성과를 공표할 것이다.
  • 색인어
  • 불가코프, 드라마, 메타드라마, 리얼리즘, 리얼리티, 극중극, 소비에트 드라마, 무대환상, 제4의 벽, 세계극장론, 자기반영성, <투르빈가의 나날들>, <적자색섬>, <조야의 아파트>, <질주>, <위선자들의 카발라>, <이반 바실리예비치>, <극락>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