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국민참여재판에서의 문화적, 상호교섭적 측면에 대한 법인류학적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08-327-B00665
선정년도 2008 년
연구기간 1 년 (2008년 11월 01일 ~ 2009년 10월 31일)
연구책임자 이재협
연구수행기관 서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목적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우리나라의 국민참여재판의 전과정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도모한다. 이를 위해 우리 제도가 많은 부분 모델로 삼고 있는 미국의 배심재판을 역사적,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명확하게 파악하고 관련쟁점을 통시적․공시적으로 조망한다. 국민참여재판에 대해 추상적 차원이 아닌 실제적 과정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바람직한 제도운영에 참고가 될 수 있는 기초자료의 분석을 하고자 함이다.
    둘째, 배심재판의 주된 참여자(배심원, 판사, 변호사, 검사)들의 상호작용과 커뮤니케이션을 고찰하여 이 과정에 내재된 문화적 의미, 법의식, 태도를 도출하여 보다 총체적이고 입체적인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아울러 재판과정에서 드러날 수 있는 암묵적인 편견과 선입견을 사회인지적 측면에서 경험적으로 규명하여 의사결정의 역동적이고 다면적인 측면을 드러내 보이고자 한다. 그리하여 미시적으로는 국민참여재판에 투영된 문화적 특질들은 무엇인지, 거시적으로는 국민참여재판제도가 보다 광범위한 법문화형성에 어떻게 기여했는지 등 쌍방향적 영향을 고찰한다.
    셋째, 본 연구는 참여관찰과 심층면접에 기반한 법인류학적 접근을 취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우리나라 재판현상에 대한 민족지적 기술(ethnographic description)을 축적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학문적 기대효과가 예상된다.
    첫째, ‘법과 사회’ (Law and Society)의 주요 연구주제로서 관련 연구의 활성화가 기대된다. 배심원 성과(jury performance)는 법에 대한 사회과학적 연구 중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그동안 정책결정자에게 의미 있는 지침을 제공해 왔다. 국민참여재판제에 대한 문화적 분석은 기존의 심리학 중심의 정량적 경험사회과학적 연구를 보충하는 사례연구가 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한국의 문화적 특징과 법체계를 심층적이고 질적인 참여관찰을 통해 총체적으로 탐구한다는 점에서 이 분야의 연구에 큰 획을 그을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토대로 법학, 인류학, 사회학 등 관련 사회과학 분야에서 더 많은 파생연구들을 촉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이 연구는 배심제에 관한 비교문화적 연구의 하나로서, 연구결과는 동 주제에 대한 국제적 연구 네트워크인 “배심제 CRN(Collaborative Research Network)”에 발표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팀의 최종 연구결과물들은 국제적 연구 네트워크를 통해 전 세계의 학계에 확산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배심제가 활성화된 미국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고, 그 연구의 방향이나 전제들 또한 미국 사회의 고유한 문화적 특수성을 토대로 형성되어 왔다. 그러나 이 연구를 통해서 한국의 문화적 특성에 맞게 새롭게 정립될 이론이나 방법론은 우리 학계뿐만 아니라 서구의 학자들에게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 연구요약
  • 이 연구는 국민참여재판 과정에 대한 미시적 분석(micro-level analysis)이 핵심이다. 아래와 같은 주제들이 주로 다루어질 것이다.

    ① 배심원 선정
    ○ 국민참여재판에서의 배심원 선정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재판당사자들은 배심원 선정에 있어 어떠한 사회문화적 카테고리와 특질에 주목하는가?
    ○ 배심원 선정절차는 공정한가? 혹시 암묵적으로 나타나는 편견(연령, 성별, 학력, 직업여부 등)이 있는가?

    ② 재판과정
    ○ 법정 참가자들은 재판 진행에 있어 메시지 전달, 관점, 주요 쟁점과 갈등 유형 등에 따라 어떠한 법적인 관념과 의식이 제시되고 있는가?
    ○ 배심원들이 평결에 미치는 변호사들의 커뮤니케이션 전략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그러한 전략은 문화적으로 상이한가?

    ③ 배심원 평의
    ○ 배심원들의 評議 시 법리논쟁 및 설득의 전략수행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 배심원들의 평결에 있어 상황, 프레이밍, 윤리적 측면의 영향이 존재하는가?
    ○ 배심원 평결 상에 암묵적으로 내재한 편견과 선입견은 존재하는가? 그러한 것들은 어떠한 방식으로 검증될 수 있는가?
    ○ 직업법관과 배심원간의 토의(1차 평의에서 만장일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서의 직업법관의 의견은 실질적으로 어느 정도 영향을 주는가?

    ④ 재판관련자 면접
    ○ 배심원들은 법정에서 제시되고 있는 법지식과 법제도 그리고 법문화 현상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가?
    ○ 비법률전문가 배심에 대한 일반적 인식은 어떠한가? 법전문가들은 배심원의 신뢰도에 어떠한 인식을 갖고 있는가?
    ○ 직업법관의 최종결정 시 배심평결은 어느 정도 실질적인 영향력을 갖는가?
  • 한글키워드
  • 상징적 상호작용,국민참여재판,배심제,법인류학,법률가
  • 영문키워드
  • lawyers,people's participation in criminal trials,symbolic interaction,jury,legal anthropology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배심재판의 주된 참여자(배심원, 판사, 변호사, 검사)들의 상호작용과 커뮤니케이션을 고찰하여 이 과정에 내재된 문화적 의미, 법의식, 태도를 도출하여 보다 총체적이고 입체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미시적으로는 국민참여재판에 투영된 문화적 특질들은 무엇인지, 거시적으로는 국민참여재판제도가 보다 광범위한 법문화형성에 어떻게 기여했는지 등 쌍방향적 영향을 고찰하였다. 방법론적으로 본 연구는 참여관찰과 심층면접에 기반한 법인류학적 접근을 취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우리나라 재판현상에 대한 민족지적 기술(ethnographic description)을 축적하였다. 그 결과 연구기간 동안 약 30건 정도의 국민참여재판을 참관하였으며, 이 중 25개 사건의 경우 매우 상세한 참관 필드노트와 관찰기록지가 만들어졌다. 2개 사건의 경우 공판 전과정에 걸친 녹취록 전사가 만들어졌다. 그 과정에서 연구자와 연구보조원들이 직접 기록한 관찰 노트 및 비공식적인 면담 기록이 주된 연구 자료로 활용되었다.
  • 영문
  •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ultural meaning, legal consciousness and attitudes, by looking at the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among participants (e.g., jurors, judges, lawyers, and public prosecutors) by looking at the Korean jury trials. It seeks to find out the cultural features as reflected in the Korean jury trials, as well as to look into how the jury trials have contributed to form the legal culture in general. Methodologically this study employed the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ultimately aiming to accumulate an ethnographic description. The study resulted in detailed observation of about 25 cases. A full-length transcipt of the court proceedings for 2 cases were mad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배심재판의 주된 참여자(배심원, 판사, 변호사, 검사)들의 상호작용과 커뮤니케이션을 고찰하여 이 과정에 내재된 문화적 의미, 법의식, 태도를 도출하여 보다 총체적이고 입체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미시적으로는 국민참여재판에 투영된 문화적 특질들은 무엇인지, 거시적으로는 국민참여재판제도가 보다 광범위한 법문화형성에 어떻게 기여했는지 등 쌍방향적 영향을 고찰하였다. 방법론적으로 본 연구는 참여관찰과 심층면접에 기반한 법인류학적 접근을 취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우리나라 재판현상에 대한 민족지적 기술(ethnographic description)을 축적하였다. 그 결과 연구기간 동안 약 30건 정도의 국민참여재판을 참관하였으며, 이 중 25개 사건의 경우 매우 상세한 참관 필드노트와 관찰기록지가 만들어졌다. 2개 사건의 경우 공판 전과정에 걸친 녹취록 전사가 만들어졌다. 그 과정에서 연구자와 연구보조원들이 직접 기록한 관찰 노트 및 비공식적인 면담 기록이 주된 연구 자료로 활용되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활용가치를 지닐 것으로 예상된다.
    첫째, 국민참여재판의 제도개선과 보다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재판실무 운영에 일조할 것이다. 앞으로 배심제를 우리 법제 속에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발생가능한 사회적 비용과 문화적 저항을 최소화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민참여재판에 관여하는 법학자, 법실무가들의 연구모임인 "국민의사법참여연구회"에서 발표할 예정이고, 이를 토대로 향후 정책수립결정 시 참고할 기초자료로서 기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재판실무에서의 효율적 운영에 기여할 것이다. 배심재판에 투영된 문화적 측면들을 숙지한다면 우리에게 가장 맞는 방법의 절차적 설계가 가능할 것이다.
    셋째,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수집된 다양한 기초자료들은 향후 연구, 교육에 있어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현행 학부중심의 법학교육제도는 2009년부터 법학전문대학원체제로 전환되어 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있어서 획기적인 질적 변화가 예상된다. 법해석 중심의 교육에서 이론과 실무를 아우르는 현장교육, 그리고 인접학문과의 다양한 교류가 활성화될 것이다. 국민참여재판에 대한 민족지적 기술 및 질적(qualitative)․경험적(empirical) 분석자료는 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혁신적인 교과목 학습에 있어 필수불가결한 기초자료로 그 활용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임상교육에서도 국민참여재판 과정에 대한 심층기술은 다양한 사례(case studies)와 시뮬레이션(simulation)을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에 특히 형사소송실무 교육에 매우 유용하게 쓰일 것이다.
  • 색인어
  • 배심제, 국민참여재판, 법인류학, 사법개혁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