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국 내 이슬람(할랄)음식의 소비방식과 공급체계에 대한 문화적 해석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08-327-B00492
선정년도 2008 년
연구기간 1 년 (2008년 11월 01일 ~ 2009년 10월 31일)
연구책임자 송도영
연구수행기관 한양대학교& #40;ERICA캠퍼스& #41;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 연구는 이슬람 문화권 출신 이주민들이 한국에 들어와 생활하면서 경험하는 음식 금기에 따른 문화간 충돌과 상호작용의 국면 및 적응전략, 그리고 그 결과 발생하는 현상들의 의미 차원과 경제적, 일상 정치적 차원들에 대한 체계적 고찰을 시도하고자 한다.
    우선 이 연구는 한국에 들어온 무슬림들이 자신들의 음식 기호와 더불어 종교 문화적 전통에 따른 음식금기 규칙을 지키기 위해 어떤 일상적 음식문화를 실천하고 있는지를 연구한다. 또한 무슬림 인구들이 한국에 체류하는 기간이 늘어나고 그들의 숫자가 어느 수준 이상으로 안정화 혹은 안정적으로 증가하면서 그들의 문화적 규율에 따른 음식소비를 뒷받침하는 새로운 음식물 공급의 국제적 체인이 대두하여 한국의 음식재료 및 음식물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는 현상을 포착하고, 그 국제적 연계망과 한국 현장에서의 전개 국면을 살핀다. 즉 한국 내 무슬림들의 음식금기 생활을 뒷받침하는 식재료와 음식물의 공급, 유통, 소비방식이 어떻게 구성되어 운영되는지를 연구한다.
    그리고 그것이 문화 논리적으로 의미하는 바와 함께 한국의 음식문화 환경 속에서 어떤 위치와 의미를 갖게 될 것인가를 전망하고자 한다. 개인적 음식생활과 집단적 음식실천, 그리고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음식물의 공급체인과 실제 실현되는 음식소비의 상황들을 하나의 체계적인 틀 안에서 재구성하고 문화실천의 논리구조 차원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한국 문화 중심의 시각에서 보면 이것은 현재 전지구화 과정 속의 한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음식문화 영역의 다양화와 음식을 둘러싼 세계관의 복잡화와 함께 음식재료 시장의 공급선들이 공식적인 통제와 기존의 인식과는 달리 실제로 어떻게 변하는지를 보여줄 것이다.
    한편 이 연구는 한국 내의 문화적 다양성에 관련된 실제적 국면 중 하나를 드러내는 의미도 있다. 문화의 다양화, 또는 다문화 담론이 급증하고 있는 현재 여기서 다루게 될 현장 사례들은 이주 노동자를 비롯한 외국 출신 인구가 날로 증가중인 있는 한국사회에서 다양한 문화권의 일상문화가 어떻게 생존, 영위 가능하며 어떤 일상적 갈등과 충돌의 가능성을 안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즉 근대 이래 단일민족 문화의 신화를 국가와 민족 정체성의 핵심개념으로 발전시켜온 한국사회에서 최근 이루어지고 있다고 이야기되는 전지구화와 다문화화의 전개 정도를 음식문화라는 영역에서 구체적으로 측정하고 판단하는 준거의 하나를 제공할 것이다.
  • 기대효과
  • 현재 진행되고 있는 문화의 전지구화가 한국적 무대에서 전개되고 있는 한 국면에 대한 구체적 연구라는 점에서 이 연구는 일반적인 문제의식을 공유한다. 한편 음식금기에 관한 문제의식을 이주현상과 상징성을 포함한 종교적 세계관, 노동자의 생활양식, 한국 전통의 문화와 현대문화, 그리고 시장 경제적 속성의 새로운 전개방식들을 하나의 현장 사례를 중심으로 적용해본다는 점에서 현 단계의 문화현장 연구를 위해 매우 필요한 실험적 성과를 낳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한 실험적 성격을 근거로 연구의 독창성을 감히 주장할 수도 있을 것이며, 새로운 문화연구 영역을 여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방법론적으로나 개념적으로 볼 때 음식금기와 관련된 문화연구와 문화의 전지구화 현상 연구, 그리고 외국인 노동자의 문화적 적응 연구의 기존성과와 새로운 현장연구 결과들이 하나의 문제의식 속에 통합되어 적용된 연구는 상대적으로 드물다. 그런 점에서 볼 때 이 연구가 성공적으로 수행되어 목적한 바 성과를 얻을 경우, 그 결과물은 학문적 차원에서 볼 때 국내 학계 및 국제 학계에서 하나의 새로운 복합적 문제의식 영역을 개척하는 효과를 갖게 될 것이다.
    또한 사회적 기여도의 측면에서 볼 때 한국 내의 외국출신 인구집단의 국내 문화적응에 대한 구체적인 양상에 대한 자료를 제공할 것이며, 특히 상대적으로 연구되지 못했던 무슬림 커뮤니티의 문화적 실천과 적응에 대한 정보를 보완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음식산업과 관련된 이 연구의 기여도는 한국민 일반을 소비자로 전제한 음식의 생산과 유통, 소비방식에 대한 문화적 종합연구에도 새로운 자극을 줄 수 있을 것이며, 특히 한국적 문화환경 속에서 소수자 문화와 지배문화에 관련된 문제의식을 음식문화라는 차원에서 새롭게 조명함으로써 이전과 다른 새로운 논쟁점과 문제의식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이 연구는 그 수행과정에서 여러 형태로 대학원생과 학부생들의 직, 간접적인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현대 문화현장에 대한 방법론을 새롭게 모색하고 인접분야의 방법론들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줄 것이다. 그리고 전지구적 네트웍이 다른 곳에 별도로 존재하는 거창한 차원이 아닌 매우 일상적이고 근접한 분야에서 상시로 발견되며 개입되는 요소들임을 확인시킬 것이며, 이에 따라 문화의 전지구화에 대한 교육 및 종교문화에 대한 교육, 음식문화 교육, 방법론 교육 등의 과정에서 새로운 연구사례의 재료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복잡화하고 복합적인 성격이 더해지고 있는 현대 한국의 문화현상에 대한 상상력과 실천적 응용능력을 향상시켜 연구결과를 활용할 피교육생들의 현실사회 진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 연구요약
  • 이 연구는 두 가지 차원의 관심에 배경을 두고 있다. 그 첫째는 음식문화 자체에 대한 문제의식이다. 즉 현재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한국의 음식문화 환경, 특히 근대화 과정부터 일찍이 한국의 음식문화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쳐온 중국과 일본으로부터의 음식문화 유입과 미국과 유럽대륙을 중심으로 한 ‘서양음식’과는 또 다른 새로운 문화권의 음식문화 요소 유입을 통한 한국 음식문화의 지형도 변화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다.
    또 한 가지는 일상문화의 전지구화 현상, 그리고 그 결과중 하나로 2000년대 중반에 들어서 한국사회에서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는 ‘문화적 다양성과 문화간 소통’에 관련된 문제의식이다. 즉 이전까지의 단일 혈통적 민족구성이라는 개념적 상상 중심의 정체성 기제가 약화되면서 외국출신 이주민을 한국사회 구성원으로 받아들여야 하며 동시에 그들이 지닌 문화요소를 한국문화의 일부로 통합시켜야 할 지 모른다는 상황인식에 근거한 논의들이 늘어나고 있는 현실에 대한 인식이다. 그렇다면 실제 기존 한국의 전통적인 문화적 전제와 정체성을 구성하는 성격들은 새로운 문화요소 및 인구의 유입과 그들의 문화적 실천을 맞아 어떤 상호작용과 자기 변형을 낳을 것인가 하는 질문이 제기된다.
    이 두 가지 차원을 연결시키고자 하는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기존에 이루어졌던 음식문화 연구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문화 간 접변과 소통, 갈등과 통합 혹은 공존 등의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현상에 대한 연구를 보다 풍부하게 할 것이다. 그리고 음식 소비의 차원만이 아닌 그것을 실질적으로 뒷받침하는 음식재료와 음식물의 공급체인이 국제적으로 새롭게 전개되는 연결망의 한 차원이 드러날 것이다. 그에 따라 기존 한국의 전통적 음식문화나 근대화 과정에서 한국화 되고 정착된 외래음식문화와 달리 이질성이 강하고 그 영역이 확연히 차별화되는 이슬람이라는 종교성이 담긴 음식문화의 내용이 실제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상업적 루트의 발전과정과 종교적 실천, 집단과 개인의 음식문화 행위들이 통합된 틀 안에서 정리될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추구하는 연구 질문들을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가. 한국에서 거주하는 이슬람 문화권 출신 무슬림들은 어떠한 음식생활을
    하고 있는가? 그들이 일상에서 겪는 어려움과 그것을 극복하고 해결하기
    위해 선택되는 실제적 전략과 상징적 전략들은 무엇인가?

    나. 한편 이슬람 문화권 출신이 아닌 한국의 무슬림들은 어떤 음식금기와 규칙
    을 실천하고 있는가? 그들이 외국 출신 무슬림들과 음식을 통한 소통을 할
    경우 어떤 현상이 전개되는가?

    다. 한국내 무슬림들의 음식생활상의 금기와 규칙을 실천하는데 있어 마스지드
    를 비롯한 각지의 종교 공간 분포와 공동체 활동은 어떤 구체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라. 1990년대 이후 남아시아계 무슬림들의 대거 유입 이후 이들에게 음식을
    공급하기 위한 국내외적 유통망과 체계는 어떻게 등장하게 되었으며 현재
    어떻게 작동되고 있는가?

    마. 이상의 내용들이 한국의 음식물 및 식재료 공급과 유통, 소비체계 안에서
    갖게 되는 실질적이고 상징적인 의미와 차지하는 위치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위의 문제의식을 가지고 일차적으로 국내 중소제조업 종사 남아시아계 무슬림들이 비교적 많이 밀집해 거주하는 경기도 안산지역의 무슬림 커뮤니티의 문화적 실천과 그를 둘러싼 음식공급과 소비 환경을 구체적인 연구대상 사례로 설정해 연구할 것이다. 그리고 이차적으로 경기도 안양, 광주, 마석을 포함한 일대의 무슬림 이주노동자 커뮤니티의 출입망과 생활권역 속에서의 실천 및 문화적 의식, 음식재료 시장의 형성과정 및 현재적 진행양상, 그리고 이슬람 음식의 국제적 공급 유통망이 산업적으로 발전하면서 국내 이슬람 음식 시장과 연결되는 현상의 실태와 그에 관련된 문화적 의미체계들을 보다 확장된 맥락 속에서 연구하고자 한다.
    이러한 두 가지 차원의 연구를 하나의 전체 연구 속에 결합시키는 작업은 연구대상자 집단을 추적하는 과정을 따라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현실적인 과정과 순서를 적용한 것이다. 본 연구에는 참여관찰과 심층면접, 설문조사 등의 방법을 동원하여 이루어질 국내 및 국외 현장조사를 포함해 모두 2년간의 연구기간이 소요될 예정이다.
  • 한글키워드
  • 음식문화,정체성,외국인 노동자,전지구화,유통망,경제,상징,국제 연결망,음식산업,음식문화,말레이시아,호주,남아시아,한국,음식금기,국제관계,공급체계,문화논리,할랄 푸드,세계관,이슬람,무슬림
  • 영문키워드
  • international relationship,food taboo,halal food,Muslim,Islam,fooc culture,World view,economy,symbol,International network,Food industry,Malaysia,Australia,South Asia,Korea,supply system,globalization,cultural logic,foreign laborers,identity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이슬람 문화권 출신 이주민들이 한국에 들어와 생활하면서 경험하는 음식 금기에 따른 문화간 충돌과 상호작용의 국면 및 적응전략, 그리고 그 결과 발생하는 현상들의 의미 차원과 경제적, 일상 정치적 차원들에 대한 체계적 고찰을 시도하고자 준비되었다.
    우선 이 연구는 한국에 들어온 무슬림들이 자신들의 음식 기호와 더불어 종교 문화적 전통에 따른 음식금기 규칙을 지키기 위해 어떤 일상적 음식문화를 실천하고 있는지를 연구하고자 했다. 또한 무슬림 인구들이 한국에 체류하는 기간이 늘어나고 그들의 숫자가 어느 수준 이상으로 안정화 혹은 안정적으로 증가하면서 그들의 문화적 규율에 따른 음식소비를 뒷받침하는 새로운 음식물 공급의 국제적 체인이 대두하여 한국의 음식재료 및 음식물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는 현상을 포착하고, 그 국제적 연계망과 한국 현장에서의 전개 국면을 살피고자 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정리된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가. 한국에서 거주하는 이슬람 문화권 출신 무슬림들은 어떠한 음식생활을
    하고 있는가
    나. 이슬람 문화권 출신이 아닌 한국의 무슬림들은 어떤 음식금기와 규칙
    을 실천하고 있는가
    다. 한국내 무슬림들의 음식생활상의 금기와 규칙을 실천하는데 있어 마스지드
    를 비롯한 각지의 종교 공간 분포와 공동체 활동은 어떤 구체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라. 남아시아계 무슬림들의 대거 유입 이후 이들에게 음식을 공급하기 위한 국내
    외적 유통망과 체계는 어떻게 등장하게 되었는가
    마. 이상의 내용들이 한국의 음식물 및 식재료 공급과 유통, 소비체계 안에서
    갖게 되는 의미와 차지하는 위치는 무엇인가

    할랄 음식에 대한 공급이 본격적으로 대두되기 시작한 것은 방글라데시와 파키스탄 이주노동자들이 한국에 다수 거주하는 경향이 어느 정도 지속되었던 1994년 경으로 보인다. 간단한 양념류 등은 자신들의 출신국에서 우편으로 부친 것을 받아 음식을 해먹기도 했다. 하지만 육류에 대해서는 ‘하람’과 ‘할랄’의 규정에도 민감한 의식을 촉발시키는 것이어서 쉽게 한국시장에서 대체물을 찾기 어려웠다.
    이에 따라 먼저 나타난 적응양식은 ‘할랄 치킨’을 스스로 만드는 방식이었고, 곧 이어 비공식적으로 일부 소매업자들이 양계장에서 닭을 주문해다 할랄의 계율에 따라 도살해서 다시 이주노동자들에게 판매하는 방식이 나타났다. 간단한 양념류와 곡물류에 대해 보따리 장수들에 의해 가방으로 유입된 물건들을 다시 모아서 파는 음식재료상 겸 음식점들이 서서히 나타난 것도 이무렵, 1995년 전후였다.
    이후 1997년에 호주로부터 양고기 수입이 시작되고, 그에 따라 본격적인 음식재료상들 사이에서 소매와 도매, 그리고 수입통관 절차를 통해 물건을 국제적으로 공급하는 사업자들이 나타났다. 업체들은 서울 근교의 제조업체가 모여있었고 독산동에 있던 도축장과 관련된 정육업자들의 집합소와 지리적으로 연결된 구로구 가리봉 시장 일대에서 출발했다. 그러다가 1990년대 후반 안산 시화공단에 대규모 제조업 단지가 들어서고 외국인 이주노동력이 집중되면서 시장이 그곳으로 이동했다. 이후 할랄푸드의 유통망은 주말마다 전국에서 음식재료를 구입하기 위해 오는 외국인 노동자 작업장의 대표들 혹은 대표구입자들과 각 지방에도 생기기 시작한 소매사들이 모이는 안산을 중심으로 번성했다. 한편으로는 전국적인 확산이 이루어졌고 동시에 안산을 중심으로 한 집중도 이루어졌다. 이후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외환위기사태를 거치면서 사업 참여자들의 구성이 한 차례 정리되고, 다시 최근의 2008년 세계경제위기를 거치면서 현재 할랄 푸드의 공급 유통망은 일정한 단계에서 급격한 팽창은 잦아든 상태에 있다.
    할랄푸드의 유통망은 이들 특정 국적 및 출신지의 음식에만 영향을 미친 것이 아니다. 한국의 이태리 혹은 프랑스 음식점에서도 이제는 메뉴에 양고기 스테이크가 별 어려움 없이 포함시킬 수 있게 되었다. 인도식 커리와 마살라를 다루는 식당도 늘었지만, 할랄식품 유통망에 간접적으로 연결된 베트남과 기타 동남아시아 음식에 대한 생산과 소비도 훨씬 용이하게 되었다.
    이는 한국의 음식문화 지형에 있어서 다국적적 구성과 혼성성에 영향을 미친다. 전혀 다른 성격의 소비자를 갖고 따로 유통되는 시장 성격이 각기 다른 평행적 다층 분포와 함께 그것들의 부분 요소들이 다시 기대하지 못했던 것에서 접합되거나 혼성적인 방식으로 영향을 미침으로써 음식유통의 국제화와 함께 통제의 어려움을 증가시키기도 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분석과 평가는 추후의 작업을 통해 보강될 것이다.
  • 영문
  • Abstract

    This study asks about the practice of food consumption by Muslim population in the context of today's Korean society. As the starting point, the food environment in Korea, especially with its food culture on the perspective of meat consumption and social behavior of food in general, was examined.
    As the main part of the study, I researched on the practice of Muslim migrant laborers and other parts of Muslims living in Korea, especially concerned with the Islamic concept of 'halal' and 'haram'.
    The subjects in detail for this perspective are folloows:

    a. everyday life and practice of food consumption for Muslim populations in todays' Korea
    b. food practice related with the concept of 'halal' for Korean Muslims in particular
    c. evolution of halal food supply system in recent history of Korea
    d. influence of Masjid and other religious places on the halal food supply and consumption for Muslims in Korea
    e. influence and meaning of food consumptions places like factory dormitory and other housing units for Muslim migrants in Korea
    f. new composition of global food supply system and the expansion of mobilit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이슬람 문화권 출신 이주민들이 한국에 들어와 생활하면서 경험하는 음식 금기에 따른 문화간 충돌과 상호작용의 국면 및 적응전략, 그리고 그 결과 발생하는 현상들의 의미 차원과 경제적, 일상 정치적 차원들에 대한 체계적 고찰을 시도하고자 준비되었다.
    우선 이 연구는 한국에 들어온 무슬림들이 자신들의 음식 기호와 더불어 종교 문화적 전통에 따른 음식금기 규칙을 지키기 위해 어떤 일상적 음식문화를 실천하고 있는지를 연구하고자 했다. 또한 무슬림 인구들이 한국에 체류하는 기간이 늘어나고 그들의 숫자가 어느 수준 이상으로 안정화 혹은 안정적으로 증가하면서 그들의 문화적 규율에 따른 음식소비를 뒷받침하는 새로운 음식물 공급의 국제적 체인이 대두하여 한국의 음식재료 및 음식물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는 현상을 포착하고, 그 국제적 연계망과 한국 현장에서의 전개 국면을 살피고자 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정리된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가. 한국에서 거주하는 이슬람 문화권 출신 무슬림들은 어떠한 음식생활을
    하고 있는가?
    나. 이슬람 문화권 출신이 아닌 한국의 무슬림들은 어떤 음식금기와 규칙
    을 실천하고 있는가?
    다. 한국내 무슬림들의 음식생활상의 금기와 규칙을 실천하는데 있어 마스지드
    를 비롯한 각지의 종교 공간 분포와 공동체 활동은 어떤 구체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라. 남아시아계 무슬림들의 대거 유입 이후 이들에게 음식을 공급하기 위한 국내
    외적 유통망과 체계는 어떻게 등장하게 되었는가?
    마. 이상의 내용들이 한국의 음식물 및 식재료 공급과 유통, 소비체계 안에서
    갖게 되는 의미와 차지하는 위치는 무엇인가?

    할랄 음식에 대한 공급이 본격적으로 대두되기 시작한 것은 방글라데시와 파키스탄 이주노동자들이 한국에 다수 거주하는 경향이 어느 정도 지속되었던 1994년 경으로 보인다. 간단한 양념류 등은 자신들의 출신국에서 우편으로 부친 것을 받아 음식을 해먹기도 했다. 하지만 육류에 대해서는 ‘하람’과 ‘할랄’의 규정에도 민감한 의식을 촉발시키는 것이어서 쉽게 한국시장에서 대체물을 찾기 어려웠다.
    이에 따라 먼저 나타난 적응양식은 ‘할랄 치킨’을 스스로 만드는 방식이었고, 곧 이어 비공식적으로 일부 소매업자들이 양계장에서 닭을 주문해다 할랄의 계율에 따라 도살해서 다시 이주노동자들에게 판매하는 방식이 나타났다. 간단한 양념류와 곡물류에 대해 보따리 장수들에 의해 가방으로 유입된 물건들을 다시 모아서 파는 음식재료상 겸 음식점들이 서서히 나타난 것도 이무렵, 1995년 전후였다.
    이후 1997년에 호주로부터 양고기 수입이 시작되고, 그에 따라 본격적인 음식재료상들 사이에서 소매와 도매, 그리고 수입통관 절차를 통해 물건을 국제적으로 공급하는 사업자들이 나타났다. 업체들은 서울 근교의 제조업체가 모여있었고 독산동에 있던 도축장과 관련된 정육업자들의 집합소와 지리적으로 연결된 구로구 가리봉 시장 일대에서 출발했다. 그러다가 1990년대 후반 안산 시화공단에 대규모 제조업 단지가 들어서고 외국인 이주노동력이 집중되면서 시장이 그곳으로 이동했다. 이후 할랄푸드의 유통망은 주말마다 전국에서 음식재료를 구입하기 위해 오는 외국인 노동자 작업장의 대표들 혹은 대표구입자들과 각 지방에도 생기기 시작한 소매사들이 모이는 안산을 중심으로 번성했다. 한편으로는 전국적인 확산이 이루어졌고 동시에 안산을 중심으로 한 집중도 이루어졌다. 이후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외환위기사태를 거치면서 사업 참여자들의 구성이 한 차례 정리되고, 다시 최근의 2008년 세계경제위기를 거치면서 현재 할랄 푸드의 공급 유통망은 일정한 단계에서 급격한 팽창은 잦아든 상태에 있다.
    할랄푸드의 유통망은 이들 특정 국적 및 출신지의 음식에만 영향을 미친 것이 아니다. 한국의 이태리 혹은 프랑스 음식점에서도 이제는 메뉴에 양고기 스테이크가 별 어려움 없이 포함시킬 수 있게 되었다. 인도식 커리와 마살라를 다루는 식당도 늘었지만, 할랄식품 유통망에 간접적으로 연결된 베트남과 기타 동남아시아 음식에 대한 생산과 소비도 훨씬 용이하게 되었다.
    이는 한국의 음식문화 지형에 있어서 다국적적 구성과 혼성성에 영향을 미친다. 전혀 다른 성격의 소비자를 갖고 따로 유통되는 시장 성격이 각기 다른 평행적 다층 분포와 함께 그것들의 부분 요소들이 다시 기대하지 못했던 것에서 접합되거나 혼성적인 방식으로 영향을 미침으로써 음식유통의 국제화와 함께 통제의 어려움을 증가시키기도 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분석과 평가는 추후의 작업을 통해 보강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 요약

    할랄 음식에 대한 공급이 본격적으로 대두되기 시작한 것은 1994년 경이다. 그 무렵까지 방글라데시 출신 무슬림 노동자들은 한국의 작업장에서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음식의 소비를 벗어나 자신들의 입맛에 어느 정도 맞는 커리류의 음식과 닭고기등을 주재료로 하는 음식들을 스스로 조리해 먹는 단계에 있었다. 한국 시장에서 구할 수 있는 콩과 잡곡, 그리고 매운 맛을 대신할 수 있는 후추와 고춧가루 등을 가지고 자신들이 원하는 ‘입맛’에 가까운 것을 찾고 있었다. 하지만 육류에 대한 욕구는 양념이나 곡물, 채소류에 비해 우송하기도 어렵고 ‘하람’과 ‘할랄’의 규정에도 민감한 의식을 촉발시키는 것이어서 쉽게 한국시장에서 대체물을 찾기 어려웠다.
    이에 따라 먼저 나타난 적응양식은 우편을 통한 배달소비, 여행자들의 보따리 장수 형태의 조달, 그리고 ‘할랄 치킨’을 스스로 만드는 방식이었다.
    이후 1997년에 호주로부터 양고기 수입이 시작되고, 그에 따라 본격적인 음식재료상들 사이에서 소매와 도매, 그리고 수입통관 절차를 통해 물건을 국제적으로 공급하는 사업자들이 나타났다. 이는 전지구화를 통한 인구와 교역의 증가, 그리고 음식의 산업화 및 표준화 경향이 발전하면서 호주를 중심으로 하는 할랄푸드의 국제적 공급망이 한국에도 연결되기 시작한 사건으로 파악된다.
    양고기는 다른 음식재료에 비해 단가가 비싸면서도 공급루트가 한국시장을 거치지 않고 거의 독점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었기 때문에 양고기의 수입과 도소매에 참여한 1997년 초기의 사업자들은 빠른 시간 안에 많은 수익을 올릴 수 있었고, 이와 함께 동남아시아와 서남아시아의 음식재료들을 판매하는 도소매 사업체들이 꽤 빠르게 증가했다.
    업체들은 구로구 가리봉 시장 일대에서 출발했다가 1990년대 후반 안산 시화공단에 대규모 제조업 단지가 들어서고 외국인 이주노동력이 집중되면서 시장이 그곳으로 이동했다. 이후 할랄푸드의 유통망은 주말마다 전국에서 음식재료를 구입하기 위해 오는 외국인 노동자 작업장의 대표들 혹은 대표구입자들과 각 지방에도 생기기 시작한 소매사들이 모이는 안산을 중심으로 번성했다. 이와 동시에 의정부, 광주, 오산, 그리고 영남과 전라도 지역까지 여러 곳에서 소매업자들이 생기면서 한 편으로는 전국적인 확신이 이루어졌고 동시에 안산을 중심으로 한 집중도 이루어졌다. 이후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외환위기사태를 거치면서 사업 참여자들의 구성이 한 차례 정리되고, 다시 최근의 2008년 세계경제위기를 거치면서 현재 할랄 푸드의 공급 유통망은 일정한 단계에서 급격한 팽창은 잦아든 상태에 있다.
    할랄푸드의 공급 유통망은 사실상 작업장에서의 공동식사 환경과 예배장소에서 모이고 교류하는 현장을 따라, 즉 그 규모와 안정성 및 지속성의 정도에 따라 유통망의 중심지와 주변 네트?p이 발전하는 경향을 보여왔다.
    할랄푸드의 유통망은 이들 특정 국적 및 출신지의 음식에만 영향을 미친 것이 아니다. 한국의 이태리 혹은 프랑스 음식점에서도 이제는 메뉴에 양고기 스테이크가 별 어려움 없이 포함시킬 수 있게 되었다. 인도식 커리와 마살라를 다루는 식당도 늘었지만, 할랄식품 유통망에 간접적으로 연결된 베트남과 기타 동남아시아 음식에 대한 생산과 소비도 훨씬 용이하게 되었다. 이는 한국의 음식문화 지형에 있어서 다국적적 구성과 혼성성에 영향을 미친다.

    2. 연구결과 활용계획

    이 연구의 결과물은 현재 일차적인 분석을 마친 상태에 있으며, 우선 일차적인 분석 결과를 토대로 성과물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활용될 예정이다. 또한 본래 2년 이상의 연구기간이 필요했던 주제였던 바 궁극적으로는 이해를 심화하기 위해 후속 보완연구를 통해 보다 폭넓은 활용이 가능한 성과물을 만들기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
    (1) 국내외 학술회의 논문발표
    (2) 전문 학술논문으로 학술지 게재
    (3) 대학 학부 및 대학원 과정에서 음식문화 연구 관련 수업의 자료 활용
    (4) 추후의 심화연구 및 후속연구를 위한 기반으로 활용
  • 색인어
  • 할랄, 이슬람, 음식문화, 금기, 이주민, 소비, 유통, 공급체계, 한국, 무슬림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