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s

연구과제 상세정보

지역사회 주민조직의 네트워크 특징과 인지적 사회자본과의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08-327-B00770
선정년도 2008 년
연구기간 1 년 (2008년 11월 01일 ~ 2009년 10월 31일)
연구책임자 곽현근
연구수행기관 대전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사회자본은 구조적 측면에서 지역사회 구성원 사이의 네트워크를 강조하고, 문화적 측면에서 그러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신뢰와 상호호혜의 규범을 강조한다. 이러한 사회자본의 구조적 측면을 대표하며, 문화적 측면을 생성하는 중요한 기제로 간주되는 것이 바로 자발적인 지역사회 주민조직이다. 지역사회 주민조직이 사회자본 형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자본 생성을 위한 주민조직의 기능이나 관계를 경험적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접근한 연구는 우리사회에서나 서구문헌을 통해서도 찾아보기 힘들다.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지역사회 주민조직이 사회자본 형성의 핵심 메커니즘을 구성하는지에 대한 충분한 분석과 이해가 이루어지지 않은 채, 많은 정책과 프로그램들이 선험적 차원에서 지역사회 주민조직의 역할과 기능을 강조해온 것이 사실이다. 어떻게 지역사회 주민조직들이 사회자본 형성을 통해 지역사회에 봉사하고, 어떤 유형의 주민조직들이 어떤 성격의 사회자본을 가지고 지역사회에 가장 잘 봉사하는지 등의 문제에 대한 충분한 이해 없이 지역사회 주민조직의 역할과 기능을 규범적 차원에서만 강조하는 것은 주민조직을 좀 더 효과적으로 활용하거나 새롭게 설계하려는 입장에서는 상당한 시행착오의 비용을 안겨주는 것과 같다. 실제 모든 주민조직이 사회자본을 생성할 능력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며, 상이한 유형의 조직이 상이한 사회자본과 관련될 수 있고, 어떤 주민조직은 사회자본 형성과 관련해서 큰 장벽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우리사회에도 단순한 친목조직으로부터 질서유지나 방범, 봉사활동 등을 목적으로 한 다양한 유형의 지역사회 주민조직이 존재하고 있고, 지역사회에서 중요한 역할과 기능을 수행해나가고 있다. 이러한 조직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우리사회에서는 주민조직에 관한 논의가 지역사회 통합이나 발전, 또는 민주시민으로서의 사회화를 위한 수단적 개념으로서 이론적․규범적 차원에서만 이루어지는 경향이 강하다. 일부 경험적 연구들이 주민조직의 특징과 지역사회 발전과의 관계를 사례연구를 통해 접근하고 있지만, 주민조직의 역할과 기능을 사회자본 형성과의 관계 속에서 구체적으로 접근한 경우는 찾아보기 힘들다. 사회자본에 초점을 둔 기존의 많은 연구들도 사회자본의 조작적 정의 차원에서 주민조직참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유형의 지역사회 주민조직이 사회자본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지를 심층적으로 밝혀내려는 연구는 찾아볼 수 없다.
    본 연구는 우리사회에서의 지역사회 주민조직에 대한 경험적 연구의 부재와 기존 연구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자생적 주민조직 유형을 분류하고, 각각의 유형에 따라 사회자본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사회자본의 중요한 구조적 측면을 구성하고 있는 지역사회 주민조직을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로 네트워크적 특징을 파악하며, 그러한 특징들이 인지적 차원의 사회자본 형성이나 지역사회발전과 관련하여 어떠한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는가를 파악해봄으로써 지역사회 주민조직의 사회자본 형성 메커니즘에 관한 지적 기반을 마련해보고자 한다.
  • 기대효과
  • 첫째, 지역사회 주민조직이 제3방식의 문제해결의 중요한 수단적 의미를 가지는 현실 속에서, 어떤 유형의 주민조직의 어떤 특성들이 사회자본 형성과 지역사회 발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가를 보여줌으로써, 지역사회 수준의 정책개입이나 프로그램 설계과정에서 주민조직과 관련된 효과적 실천방식과 장치를 만들어내는데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지식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사회자본에 관한 경험적 연구가 인지적 측면에 치우치고 있는 경향에 비추어볼 때, 본 연구는 주민조직의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사회자본의 구조적 측면에 초점을 둠으로써 행정학분야에서 보다 균형 있는 관점에서 사회자본을 다룰 수 있는 중요한 계기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많은 경험적 연구들이 사회자본의 차원들을 구분하고 독립적으로 측정하고 있지만, 그러한 차원들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는 소홀히 다루고 있음을 감안할 때, 본 연구는 사회자본 다양한 구성차원의 관계에 초점을 둔 연구로서 앞으로 미시적 관점에서의 사회자본 연구의 단초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지역사회 주민조직이 활성화되지 못한 현실 속에서 주민조직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통해 유형별 주민조직의 상대적인 순기능과 역기능을 도출해냄으로써 학술적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실천적 차원에서 주민조직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나아가 지방정치․행정의 중요한 주체이자 파트너로서의 지역사회 주민조직의 활성화를 위한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주민조직이 갖는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징과 구성원들의 인지적 사회자본 사이에는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전제아래,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가지고,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첫째, 다양한 동네에 걸쳐 사회자본 형성의 매개체로서 어떤 유형의 지역사회 주민조직이 얼마나 존재하고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유형별 지역사회 주민조직의 크기, 밀도(중첩성), 동질성, 유대의 정도 등의 차이는 어떻게 나타나며, 결속적, 가교적, 연계적 사회자본과 관련한 특징은 무엇인가? 어떤 변인들이 그러한 차이를 설명하는가?
    둘째, 주민조직의 네트워크적 특징들과 인지적 차원의 사회자본과는 어떤 관계가 존재하는가? 어떤 유형의 주민조직들이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사회자본 형성에 더 긍정적 역할을 하는가? 인지적 사회자본 형성에 기여하는 주민조직의 구체적인 구조(네트워크)적 특징들은 무엇인가?
    셋째, 지역사회 주민조직과 관련한 확인된 특징들은 사회자본 형성 및 활용을 위해 제도적․정책적 차원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인가?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주민조직의 구조적․인지적 특징들이 학술적 차원에서 사회자본의 측정을 위해 던져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주민조직의 공간적 단위로서 ‘행정동’과 같은 유한책임 지역사회 이하의 규모에서 구성원을 충원하고 활동하는 주민조직에 우선적 초점을 두고자 한다. 더불어 실제 다양한 주민조직들을 단순히 같은 부류로 분류했을 때, 풀뿌리 조직화 및 사회자본 형성을 위한 중요한 정보들이 간과될 수 있다는 판단아래, 국내외 문헌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주민조직의 유형 및 특징을 다각적 측면에서 검토하고, 분석범주를 설정한 후 실제 지역사회에서 활동 중인 구체적 주민조직들을 분류해보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사회자본은 ‘인지적 또는 문화적 사회자본’과 ‘구조적 사회자본’으로 나누어 접근할 수 있다. 구조적 사회자본은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역할, 규칙, 절차와 관련이 있으며, 정치적 구조나 제도가 사회자본 형성의 패러미터를 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본다. 반면 인지적 사회자본은 시민들의 규범, 가치, 믿음과 태도를 말하며, 분석의 초점을 개인에게 두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Putnam적 전통에 기초하여 사회자본의 인지적 측면을 단순한 개인의 이익보다는 더 나은 지역사회의 선을 지지하는 태도일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삶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시민문화의 다양한 지표를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시민성 또는 사회자본이 가장 쉽게 구현될 수 있고, 사회자본과 지역사회 성과와의 관계가 가장 구체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지역사회의 공간적 단위가 동네라는 것에 주목하고, 동네수준의 사회관계와 지역사회 활동 속에 나타나는 사회자본의 특징에 우선적인 초점을 두고자 한다.
    실제 사회자본의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개인, 주민조직, 기업, 및 정부 사이의 관계에 내재한 문화적 측면뿐만 아니라 그들 사이에 서로 교차하는 다양한 네트워크의 성격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지역사회를 구성하는 다양한 주체들 중 지역사회 주민조직에 우선적인 초점을 두고 내부 및 외부와의 네트워크적 특징을 파악하는데 주력하고자 한다. 네트워크 분석과 관련하여 사회자본의 분석개념으로서 ‘결속적 사회자본’, '가교적 사회자본‘, '연계적 사회자본’을 활용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유형별로 분석된 주민조직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징은 구성원들의 인지적 사회자본의 특성을 설명하는 변수로서 활용될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단위는 우선적으로 지역사회 주민조직이다. 연구대상으로서 주민조직의 표본추출은 일단 주민조직의 유형화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유형화에 따라 대표적인 주민조직들을 확인하고, ○○시 전체 지역 중 대표성을 갖춘 지역사회(동네)를 추출한 후, 각 동네에서 각 유형의 주민조직을 다시 추출하는 방식을 택할 수 있을 것이다. 동네는 기본적으로 거주형태(아파트 또는 단독주택지역 등), 동네의 사회경제적 지위, 도시화 정도 등을 고려하여 층화표본추출방식을 통해 적어도 15개 이상을 확보할 계획이다. 표본에는 ‘살기좋은 지역만들기’와 같은 정부사업에 선정된 동네 등 다양한 이유로 언론 또는 세간으로부터 주목받는 동네들도 포함시킬 계획이다. 유형에 따라 각 동네에서 3~4개 선정된 주민조직의 구성원에 대해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네트워크분석, 회귀분석 등 전통적 통계기법을 통해 분석이 이루어질 것이며, 포커스그룹 기법을 활용해 양적연구결과를 보완해나갈 것이다.
  • 한글키워드
  • 가교적 사회자본,구조적 사회자본,주민조직 유형,연계적 사회자본,네트워크 특징,네트워크분석,통계분석,포커스그룹,시민사회,거버넌스,지역사회 주민조직,사회자본,인지적 사회자본,결속적 사회자본,동네,네트워크
  • 영문키워드
  • statitstical analysis,network analysis,linking social capital,bonding social capital,community organization,governance,civil society,types of community organization,social capital,structural social capital,cognitive social capital,network,neighborhood,bridging social capital,network characteristics,focus group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자생적 주민조직 유형을 분류하고, 각각의 유형에 따라 동네 사회자본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목적을 위하여 지역사회 주민조직을 사회봉사단체, 친목단체, 이익증진단체, 행정 및 정치협조단체로 구분하였다. 사회자본의 다른 인지적 측면은 집합적 효능감 개념에 초점을 둔 결속적 사회자본, 관용성 측면에 초점을 둔 가교적 사회자본, 정부신뢰와 관련된 연계적 사회자본으로 구분하고, 주민조직 참여정도와 유형이 인지적 사회자본의 유형과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파악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대전광역시에 소재하는 15개의 아파트와 1개의 단독주택 지역 주민 1,28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분할표분석, 요인분석, F-분석, 일반다중회귀분석을 분석방법으로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대체적으로 주민들의 친목조직에 대한 참여가 높고, 이익증진조직이나 행정 및 정치협조조직에 대한 참여는 낮은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 각 주민조직유형마다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주민들의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과 같은 인구사회학적 배경변수가 다르게 나타나 주민조직의 네트워크 구조가 다를 것이라는 가설을 뒷받침하고 있다. 분산분석결과 주민조직 참여집단이 비참여집단보다 결속적 사회자본, 가교적 사회자본 측면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모든 유형의 조직에 적극 참여하는 주민들의 경우 세 가지 유형의 사회자본에 있어 다른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여주고 있다. 주민조직의 참여정도와 무관하게 참여하는 주민조직의 유형수에 따른 집단간 차이를 비교해본 결과 주민조직의 유형수 ‘3~4개’인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세 가지 유형의 사회자본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여주었다.
    주민조직 유형별 참여정도에 따른 사회자본의 차이는 F-검정과 회귀분석 결과 모두 각각의 주민조직 유형에 따라 서로 다른 사회자본 유형에 차별화되는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인구사회학적 배경변수와 주거특성을 통제하고 실시한 회귀분석결과는 같은 사회자본 유형이라고 하더라도 주민조직 유형에 따라 주민참여정도가 미치는 영향이 상반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구체적으로 결속적 사회자본의 경우 사회봉사조직의 참여정도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이익증진조직과 행정협력조직의 참여정도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교적 사회자본의 경우 친목조직, 이익증진조직, 행정협력조직의 참여정도가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계적 사회자본의 경우 사회봉사조직이나 친목조직의 경우 부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행정협력조직의 경우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영문
  • This study aims at classifying self-organizing community organizations and identifying the difference of neighborhood social capital among them. For the purpose, the organizations are classified into 4 categories including voluntary social service one, friendship-promoting one, private-interest promoting one, and administratively and politically cooperative one. Social capital is classified into 3 categories such as bonding one identified with collective efficacy, bridging one with neighbor community tolerance, and linking one with government trust.
    For an empirical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in 15 apartment areas and 1 single house area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 χ2-analysis, ANOVA, and general multiple regression were applied to final 1,285 data.
    The result shows that there is relatively high level of participation in friendship-promoting association but low one in private-interest promoting association, and administratively and politically cooperative association. Also the demographic differences among organizational types implies the possibility of respective different network structure. The ANOVA result shows the active participants in all organizational type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 level of social capital. In addition, regardless of the participatory extent, participants in more than 2 types of organizations tend to show high level of social capital. The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 shows that different type of organization affects different type of social capital. For example, the participation in voluntary service or friendship-promoting organization appears to have negative influence on linking social capital, while one in administratively and politically cooperative organization positive influence. Further investigation will be followed up to improve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resul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우리사회에서의 지역사회 주민조직에 대한 경험적 연구의 부재와 기존 연구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자생적 주민조직 유형을 분류하고, 각각의 유형에 따라 동네 사회자본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목적을 위하여 지역사회 주민조직을 사회봉사단체, 친목단체, 이익증진단체, 행정 및 정치협조단체로 구분하였다. 사회자본의 다른 인지적 측면은 집합적 효능감 개념에 초점을 둔 결속적 사회자본, 관용성 측면에 초점을 둔 가교적 사회자본, 정부신뢰와 관련된 연계적 사회자본으로 구분하고, 주민조직 참여정도와 유형이 인지적 사회자본의 유형과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파악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대전광역시에 소재하는 15개의 아파트와 1개의 단독주택 지역 주민 1,28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자본의 구성차원을 확인하고, 배경변수에 따른 각각의 구성차원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하여 요인분석, F-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주민조직 유형별 적극 참여자의 배경변수 분석을 통한 구조적 특징을 파악하기 위하여 χ2-분석(분할표분석)을 수행하였다. 끝으로 모든 배경변수들을 하나의 회귀방정식에 포함시키고, 주민조직 참여가 각각의 사회자본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기 위하여 일반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는 대체적으로 주민들의 친목조직에 대한 참여가 높고, 이익증진조직이나 행정 및 정치협조조직에 대한 참여는 낮은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 각 주민조직유형마다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주민들의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과 같은 인구사회학적 배경변수가 다르게 나타나 주민조직의 네트워크 구조가 다를 것이라는 가설을 뒷받침하고 있다. 분산분석결과 주민조직 참여집단이 비참여집단보다 결속적 사회자본, 가교적 사회자본 측면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모든 유형의 조직에 적극 참여하는 주민들의 경우 세 가지 유형의 사회자본에 있어 다른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여주고 있다. 주민조직의 참여정도와 무관하게 참여하는 주민조직의 유형수에 따른 집단간 차이를 비교해본 결과 주민조직의 유형수 ‘3~4개’인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세 가지 유형의 사회자본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여주었다.
    주민조직 유형별 참여정도에 따른 사회자본의 차이는 F-검정과 회귀분석 결과 모두 각각의 주민조직 유형에 따라 서로 다른 사회자본 유형에 차별화되는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인구사회학적 배경변수와 주거특성을 통제하고 실시한 회귀분석결과는 같은 사회자본 유형이라고 하더라도 주민조직 유형에 따라 주민참여정도가 미치는 영향이 상반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구체적으로 결속적 사회자본의 경우 사회봉사조직의 참여정도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이익증진조직과 행정협력조직의 참여정도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교적 사회자본의 경우 친목조직, 이익증진조직, 행정협력조직의 참여정도가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계적 사회자본의 경우 사회봉사조직이나 친목조직의 경우 부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행정협력조직의 경우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와 관련하여 한 가지 유의할 것은 참여정도만을 유일한 설명변수로 사용했을 때와 인구사회학적 배경변수와 주거특성 변수를 포함시켰을 때 결과에 있어 차이를 보인다는 것이다. 특히 결속적 사회자본과 가교적 사회자본의 경우 주거기간이 매우 유의미한 설명변수이면서 주민조직 참여정도와도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주거기간의 포함 유무에 따라 주민조직 참여의 영향(영향력의 방향 포함)이 매우 다르게 나타난다. 앞으로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포함한 다양한 연구방법론을 통해 주요 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추가적으로 밝혀내고 현재의 연구결과와 연계함으로써 본 연구결과를 보완해 나갈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는 대체적으로 주민들의 친목조직에 대한 참여가 높고, 이익증진조직이나 행정 및 정치협조조직에 대한 참여는 낮은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 각 주민조직유형마다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주민들의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과 같은 인구사회학적 배경변수가 다르게 나타나 주민조직의 네트워크 구조가 다를 것이라는 가설을 뒷받침하고 있다. 분산분석결과 주민조직 참여집단이 비참여집단보다 결속적 사회자본, 가교적 사회자본 측면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모든 유형의 조직에 적극 참여하는 주민들의 경우 세 가지 유형의 사회자본에 있어 다른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여주고 있다. 주민조직의 참여정도와 무관하게 참여하는 주민조직의 유형수에 따른 집단간 차이를 비교해본 결과 주민조직의 유형수 ‘3~4개’인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세 가지 유형의 사회자본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여주었다.
    주민조직 유형별 참여정도에 따른 사회자본의 차이는 F-검정과 회귀분석 결과 모두 각각의 주민조직 유형에 따라 서로 다른 사회자본 유형에 차별화되는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인구사회학적 배경변수와 주거특성을 통제하고 실시한 회귀분석결과는 같은 사회자본 유형이라고 하더라도 주민조직 유형에 따라 주민참여정도가 미치는 영향이 상반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연계적 사회자본의 경우 사회봉사조직이나 친목조직의 경우 적극적으로 참여할수록 사회자본의 수준은 낮아지는 반면, 행정협력조직의 경우 적극적으로 참여할수록 사회자본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 대표적 예이다. 이러한 결과와 관련하여 한 가지 유의할 것은 참여정도만을 유일한 설명변수로 사용했을 때와 인구사회학적 배경변수와 주거특성 변수를 포함시켰을 때 결과에 있어 차이를 보인다는 것이다. 특히 결속적 사회자본과 가교적 사회자본의 경우 주거기간이 매우 유의미한 설명변수이면서 주민조직 참여정도와도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주거기간의 포함 유무에 따라 주민조직 참여의 영향(영향력의 방향 포함)이 매우 다르게 나타난다. 앞으로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포함한 다양한 연구방법론을 통해 주요 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추가적으로 밝혀내고 현재의 연구결과와 연계함으로써 본 연구결과를 보완해 나갈 것이다. 더불어 일차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고, 네트워크 분석에 대한 방법론적 이해도를 높여 주민조직 유형들에 대한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징에 대한 보완연구를 실시함으로써 최종연구 성과물 제출기일까지 연구의 완결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여나갈 계획이다.
    연구결과의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민조직 참여가 규범적 차원에서만 강조되고 경험적 연구를 찾아보기 힘든 현실 속에서 본 연구결과는 서로 다른 유형의 주민조직이 서로 다른 성격의 사회자본 형성과 관련되어있을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현재 연구결과를 구조방정식 모형, 그리고 네트워크 분석과 질적 연구를 통해 보완함으로써 우리사회에 필요한 주민조직의 성격과 처방을 모색하고 도출하는 중요한 지적 기반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둘째, 사회자본 구성차원들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일천하고 분석의 지리적 단위도 매우 큰 우리의 현실을 감안할 때, 본 연구결과는 사회자본 구성차원 간의 관계에 초점을 두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동네라는 미시적 관점의 사회자본 연구의 기초연구로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결과는 동네중심의 지역사회 사회자본 형성을 위한 기본 텍스트북을 만드는 중요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할 계획이다.
    셋째, 달동네와 영구임대아파트의 사회적 배제의 극복을 위한 정책으로서 전국적 주목을 받고 있는 대전광역시 ‘무지개프로젝트’의 중요한 초점 중 하나가 바로 취약동네 주민의 조직화이다. 효과적 주민의 조직화를 위해서는 기존 주민조직의 성격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하며, 본 연구결과를 비롯한 향후 연구결과는 실질적으로 무지개프로젝트와 같은 정책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지역사회, 주민조직, 동네, 사회자본, 인지적 사회자본, 구조적 사회자본, 네트워크, 결속적 사회자본, 가교적 사회자본, 연계적 사회자본, 집합적 효능감, 관용, 정부신뢰, 분할표분석, F-분석, 일반회귀분석, 네트워크 분석, 질적 연구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