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수리적 조형수단을 활용한 패턴디자인 감성지능 계발에 관한 기초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공동연구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09-32A-G00013
선정년도 2009 년
연구기간 2 년 (2009년 07월 01일 ~ 2011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구자홍
연구수행기관 동아대학교& #40;구덕& #41;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권영철(동아대학교)
하봉수(동아대학교(구덕))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현재 패턴디자인의 창작은 기술적 요구에 따라 급변하고 있다. 기술의 중심이 되는 컴퓨터를 바탕으로 3차원 CAD, CG 등1) 첨단 도구는 디자인 개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디자이너는 기술의 제한을 무시하거나 기술을 제약하는 소재, 재료를 무시하고는 디자인할 수 없게 되었다. 결국 디자이너의 창조성마저 기술의 참가에 의해 최종적으로 완성되어지는 것을 거부할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 패턴디자인은 도구의 가능성과 한계를 명확히 이해하고, 아울러 도구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명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단위 과제를 세우고 패턴디자인에 있어 필요한 감성지능 계발을 위한 교육적 전개모델을 검토하고자 한다.

    첫째, 패턴디자인에 있어서 도구와 교육적 방법론
    기술이 인간의 창조력을 지원해 온 역사적 흐름을 고찰, 도구와 조형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도구의 역할 및 가치를 밝힌다. 나아가 도구로서의 컴퓨터 및 소프트웨어의 특징 분석과, 대학의 컴퓨터 활용실태 및 현황을 조사, 패턴디자인의 교육적 방법론 및 그 특징을 분석하여 창의력 향상 등 학생의 감성지능 계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현실적 문제점을 명확히 한다.
    둘째, 패턴디자인을 위한 도구적 대안과 방법적 대안 검토
    컴퓨터는 수(수학)를 토대로 구축된 기계이다. 따라서 수리를 바탕으로 한 조형수단이 패턴디자인의 도구인 컴퓨터의 기능 이해와 표현 확장을 위한 이해가 용이하고 조작이 편리한 매개체가 될 수 있는 것이 아닌가라는 전재를 통해 다양한 수리적 조형수단과 조형예술과의 관계를 고찰, 패턴디자인을 위한 효과적인 도구적 대안을 도출한다. 나아가 이러한 도구를 활용한 교육적 방법론으로 수작업과 놀이개념의 효용성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통해 해 감성지능 계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밝힌다.
    셋째, Tesselation을 활용한 패턴디자인 연구
    Tesselation은 사람들에게 강력한 호소력과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는 수단이며, 또한 이를 활용한 구성활동은 매력적이고 창조적인 표현을 위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대칭성을 근간으로 이루어지는 Tesselation은 ‘美’를 수학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아름다움을 탄생시킬 수 있을지 모를 일이다.
    여기서는 Tesselation에 대한 수리적 이해와 함께 조형과 수학의 관계에 대한 체험적인 연습을 통해, 컴퓨터의 기술을 확장할 수 있고 지금까지 볼 수 없었던 새로운 패턴을 탄생시킬 수 있는지 그 가능성과 효과를 검토한다.
    넷째, Kaleidoscope를 활용한 패턴디자인 연구
    Kaleidoscope는 대칭성을 기반으로 패턴디자인의 기본유니트를 생성할 뿐만 아니라 컴퓨터와는 다른 조작의 편리성과 표현의 다양성까지 갖춘 매력적인 도구로서 패턴디자인에 있어 도구적 대안으로서 매우 유효한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는 도구적 특징 이해를 비롯 컴퓨터가 가진 획일적, 기계적 이미지를 탈피, 수작업에 의한 인간미와 자연스러움이 넘치는 독창적인 패턴개발을 통해 패턴디자인의 표현력을 확대하는 수단으로서 Kaleidoscope의 타당성과 유효성을 검토한다.
    다섯째, 패턴디자인 감성지능 계발을 위한 교육적 전개모델 고찰
    이상의 단위 과제의 검토를 통해 도구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 조형사고의 확장을 지원하는 도구․방법 양측면이 통합된 유기적 교육모델을 모색, 이를 바탕으로 패턴디자인 감성지능 계발을 위한 교육적 전개모델로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기술의 발전을 인간적 입장에서 수용하려는 입장을 전제로 도구를 진정한 의미로 인간가치 확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의미를 두고 있다. 사실, 오늘날의 디지털 기술은 그 기술의 원리나 구조가 되는 부분이 보이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때문에 기초기술을 확실하게 이해하기가 어려움이 있고, 만약에 그러한 기초를 확실히 이해하지 못하면 표현에도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때문에 도구적 기능에 대한 이해는 기술의 응용력은 물론 표현의 가능성을 확대할 수 있는 과학적 창의력을 신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결국, 현실적으로 기술적 가치에 비중을 둔 조형교육이 필요하고,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따라 여기서는 수리적 조형수단을 매개로 도구 및 조형의 기본성질을 명확히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방법론을 통해 과학적인 창의력의 신장과 동시에 조형적 창의력 계발을 실험적으로 검토하고자 하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패턴디자인에 있어서 도구적 기능 이해는 물론 이를 응용한 독창적인 표현의 세계를 확장해 나가려는 동기부여 등 학생들이 지닌 감성지능을 자극하는 조형교육의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다음 세가지로 요약할 있다.
    ❏ 컴퓨터의 도구적 기능을 이해하고 표현을 확장할 수 있는 도구적 수단으로 활용
    기본적으로 패턴디자인의 경우, 소재>인간>기술에 대한 이해의 밸런스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어떠한 경우에도 인간이 기술을 컨트롤 해가면서 소재나 패턴의 효과를 어떻게 도출할 것인가를 검토해야 한다. 그러한 이유에서 도구적 기능을 이해하고 확장할 수 있는 기술 이해력이 무엇보다 중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델은 학생들의 기능에 대한 이해와 표현을 병행하여 도구로서 컴퓨터의 기능을 확대할 수 있는 표현 방법론으로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 패턴디자인에 있어 조형적 감성촉발을 유도하는 교육적 방법으로 활용
    지금은 문양이나 패턴의 독자적 표현력이 산업 경쟁력을 좌우하는 시대라 할 있다. 패턴과 관련된 색이나 형에 대한 풍부한 감성과 함께 차별화된 이미지의 창조, 그리고 독자의 발상에 의한 디자인계획이 우열 문제의 쟁점이 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컴퓨터의 기계적 암기력만을 자신의 감각으로 생각하고 자신의 독창적인 표현에 대한 탐구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모델은 그러한 경향을 개선하는 대안으로 컴퓨터의 도구적 이해를 함양하고 동시에 학생들이 지닌 형태적 발상력과 나아가 독자적인 표현을 위한 감성지능을 촉발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 방법론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섬유산업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표현방법론으로 활용
    부산시는 10대 전략산업 중 하나인 섬유․패션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부산국제섬유 패션전시회, 프레타-포르테 패션쇼 개최 등 다양한 진흥정책을 추진하고 있고, 이에 동반한 독특한 브랜드 이미지 창출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 전개한 수리적 조형수단을 바탕으로 한 패턴디자인 개발 방법론은 궁극적으로 지역적 특성을 지닌 독창적인 패턴디자인 개발을 통해 섬유패션산업 발전의 기반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관광산업과 연계한 상품화의 전개도 충분히 예측 가능하다. 예를 들어 Kaleidoscope를 응용한 다양하고 화려한 영상물은 해운대 불꽃축제와 같은 지역축제와 연계 활용함으로써 축제를 보다 화려하고 감동적인 공간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부가가치를 지닌 수단이 될 것이다.
    섬유패션산업 뿐만 아니라 지역의 문화와 지역브랜드의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론으로 접목해 가는 과정 속에서 참여한 디자이너의 감성과 개성 넘치는 다양한 아이디어들을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인재양성은 물론 지역 고유의 문화창출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도구를 배제한 창의력 중심의 기초디자인 교육의 입장과는 달리, 도구를 긍정적으로 수용하면서 도구를 진정한 의미로 인간의 능력 확장(감성지능 계발)에 기여할 수 있도록 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그러기 위해 여기서 고대로부터 예술적 표현력의 확장에 기여해 온 수리적 조형수단을 ‘도구적 대안’으로, 수작업과 놀이개념을 ‘방법적 대안’으로 채용, 이를 융합한 체험적 표현과정을 통해 도구적 기능 이해와 함께 패턴디자인의 독창적 표현에 미치는 효과검증 등을 종합적으로 고찰, 도구 및 방법적 대안이 패턴디자인에 있어서 창의적 디자인력 향상에 기여하는지 검토하는 것을 연구의 골자로 하고 있다.

    현재, 정보기술의 발전과 함께 기술이 오히려 인간의 창의적 사고력을 제한하거나 심지어 사고력을 퇴화시키는 등 역기능을 초래하기도 한다. 예를들어 패턴디자인을 위한 범용 소프트웨어의 경우, 디자이너 독자의 창조성과 그것에 대응한 시스템의 관계는 확실히 검증되지 않은 상태이고,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한계로 인하여 표현에 제한을 받을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같이 기술의 도구적 제한으로 인하여 발전적이고 새로운 표현이 곤란하고 결국 디자이너의 창의적 사고력이나 감성이 도구에 종속될 수밖에 없는 현상이 초래되고 있다.
    이같이 도구 자체가 가진 기계적인 한계에 속박되거나 그 결과물에 대한 의심 없는 맹신과 추종은 창작행위에 있어 중요한 문제일 수밖에 없다. 때문에 도구(기술)를 진정한 의미로 인간 행복(인간가치 확장)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그러기 위해 기술의 본질 이해, 기술과 조형 양면의 지식과 체험이 한 개인의 능력으로서 행동적으로 통합되어질 수 있는 디자인 교육의 재검토가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도구를 긍정적으로 수용하면서 도구를 진정한 의미로 인간의 능력 확장(감성지능 계발)에 기여할 수 있도록 ‘도구적 대안’과 ‘방법적 대안’을 도출 이의 검증과정을 통해 조형교육의 전개모델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세부적인 문제를 도출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구체적인 과제를 아래와 같이 선정 이의 해결을 통해 연구의 종합적인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첫째, 패턴디자인에 있어서 도구와 교육적 방법론
    기술의 발전이 인간의 창조력을 지원해 온 역사적 흐름을 고찰, 도구와 조형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도구의 역할 및 가치를 밝힌다. 또한 도구로서의 컴퓨터 및 소프트웨어의 특징 분석과 대학의 컴퓨터 활용실태 및 현황을 조사, 패턴디자인의 교육적 방법론 및 그 특징을 분석하여 창의력 향상 등 학생의 감성지능 계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현실적 문제점을 명확히 한다.
    둘째, 패턴디자인을 위한 도구적 대안과 방법적 대안 검토
    컴퓨터는 수학을 토대로 구축된 기계이다. 따라서 수리를 바탕으로 한 조형수단이 패턴디자인의 도구인 컴퓨터의 기능 이해와 표현 확장을 위한 이해가 용이하고 조작이 편리한 매개체가 될 수 있는가를 고찰하고, 패턴디자인을 위한 효과적인 도구적 대안을 도출한다. 이러한 도구를 활용한 교육적 방법론으로 수작업과 놀이개념의 효용성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통해 해 감성지능 계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밝힌다.
    셋째, Tesselation을 활용한 패턴디자인 연구
    Tesselation에 대한 수리적 이해와 함께 조형과 수학의 관계에 대한 체험적인 연습을 통해, 컴퓨터의 기술 이해와 이를 확장한 지금까지 볼 수 없었던 새로운 패턴을 탄생시킬 수 있는지 그 가능성과 효과를 검토한다.
    넷째, Kaleidoscope를 활용한 패턴디자인 연구
    Kaleidoscope는 대칭성을 기반으로 패턴디자인의 기본유니트를 생성할 뿐만 아니라 컴퓨터와는 다른 조작의 편리성과 표현의 다양성까지 갖춘 매력적인 도구로서 패턴디자인에 있어 도구적 대안으로서 매우 유효한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다.여기서는 도구적 특징 이해를 비롯 컴퓨터가 가진 획일적, 기계적 이미지를 탈피, 수작업에 의한 인간미와 자연스러움이 넘치는 독창적인 패턴개발을 통해 패턴디자인의 표현력을 확대하는 수단으로서 Kaleidoscope의 타당성과 유효성을 검토한다.
    다섯째, 패턴디자인 감성지능 계발을 위한 교육적 전개모델 고찰
    이상의 단위 과제의 검토를 통해 도구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 조형사고의 확장을 지원하는 도구․방법 양측면이 통합된 유기적 교육모델을 모색, 이를 바탕으로 패턴디자인 감성지능 계발을 위한 교육적 전개모델로 제안하고자 한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수리적 조형수단을 매개로 도구 및 조형의 기본성질을 명확히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방법론을 통해 과학적인 창의성의 신장과 동시에 조형적 창의성 계발을 실험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 한글키워드
  • 컬라이더스코프,수리적 조형원리,감성지능 계발,패턴디자인,기술과 조형,테셀레이션,놀이개념,수작업,대칭성
  • 영문키워드
  • Kaleidoscope,Symmetry,Tesselation,Mathematical Method of Arts,Ply Concept,Develop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Patten Design,Technology and Arts,Hand Made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컴퓨터를 이용한 디자인이 일반화 되어있는 지금, 패턴디자인 교육역시 컴퓨터의 도구적 기능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의 함양이 중요하다. 특히, 범용소프트웨어의 조작능력보다 패턴디자인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기술적 원리 이해가 학생들의 표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테크놀로지 및 도구를 긍정적으로 수용하려는 입장에서 컴퓨터라는 도구를 진정한 의미로 인간의 가치 확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의미를 두고 있다. 사실, 오늘날의 디지털 기술은 그 기술의 원리나 구조가 되는 부분이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기초기술을 확실하게 이해하기에는 어려움이 많고, 만약에 그러한 기초를 확실히 이해하지 못하면 표현에도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때문에 도구적 기능에 대한 이해는 기술의 응용력은 물론 표현의 가능성을 확대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패턴디자인에 있어 필요한 컴퓨터 기술의 기저 이해와 이를 통한 창의적 표현력 향상에 지향점을 두고, 주로 수리적 조형수단의 도구적 가치를 확장할 수 있는 이론적 연구와 가시적 도해 및 표현 등을 통해 학생들의 이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적 모형 개발에 중점을 두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단위과제를 설정해 검토했다.
    첫째, 대칭성과 관련된 교육적 제재의 실태조사 및 고찰
    둘째, 수리적 교육제재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 조사
    셋째, 수학적 대칭성을 이용한 한국전통문양의 구성형식 검토
    넷째, 한국전통문양의 구성형식 체계화 과정을 통한 17가지 수학적 대칭성의 교육적 모형 개발 및 정교화
    각 단위 과제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조형과 관련된 수리적 교육제재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력은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리적 교육제재의 내용역시 개념적 기술에 머물러 실제 표현을 위한 방법론을 이해하거나 표현에 응용할 수 있는 시각적 자료로는 부족함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식화 되어있는 17가지 수학적 대칭성은 컴퓨터에서 생성되는 패턴의 기술적 원리라고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것을 학생들이 이해하기 쉽고 활용하기 편리한 형태로 제공한다면 학생들에게 기술이해는 물론 패턴디자인의 표현영역을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이를 위해 패턴디자인에 있어 가장 근본적인 소재라 할 수 있는 한국전통문양을 주목해, 이를 대상으로 문양의 구성형식을 수학적 대칭성으로 해석하는 과정을 통해 전통문양의 조형수법으로서의 가능성을 밝혔다. 또한 17가지 수학적 대칭성을 활용하여 전통문양의 구성형식을 분류하고, 그러한 과정에서 도출된 전통문양의 표현특징을 고찰, 이를 종합하여 한국전통문양만이 갖는 독특한 구성형식을 체계화시켰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17가지 수학적 대칭성을 학생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평면적 도해와 동영상으로 제작하여 교육적 모형으로 제안했다.
    이상과 같이 전통문양의 구성형식에 있어 17가지 대칭조작과의 대응관계 검토를 비롯해 유형화 작업 등을 통해 한국전통문양의 구성형식을 체계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패턴디자인을 위한 교육적 모형개발과 디지털 아카이브를 제작하였다. 이러한 패턴디자인을 위한 구체화된 콘텐츠는 패턴디자인을 배우는 학생들에게 한국적 정체성을 이해하는 매개체가 될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디자인적 감성을 촉발하는 촉매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컴퓨터의 기술적 원리 이해를 향상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표현의 세계를 확장하는데도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결국, 이상의 연구는 한국전통문양의 구성형식과 관련된 독자적이며, 객관적인 수법을 제시하는데 목표를 두기 보다는, 컴퓨터 기반의 패턴디자인 환경에서 학생들의 기술적 이해를 향상시킴으로써 표현세계를 확장시킬 수 과학적 감성을 고양시키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다만, 전통문양의 체계나 시각적 교육모형만으로는 완전하다고 할 수 없고, 모형을 이용한 직접적 체험과 연습과정을 통해 대칭의 조작방법에 대한 이해력 향상과 패턴 개발의 다양한 가능성을 스스로 확장해 갈 필요가 있다.
  • 영문
  • Nowadays, improving comprehension and usage of the instrumental function of computers is important in pattern design education nowadays, where using computers in designing is generalized. Specifically, instead of the skills in using general-purpose software, attention should be paid in the understanding of technical principle of computer programs for pattern design because it can improve learners’ expressivity. This study was done to contribute the usage of the computer as a tool to expend the value of human beings by embracing technology and instruments with positive perspective. Difficulties exist in precise comprehension in basic technology because the principle or structure of the current digital technology is usually invisible. Also, the expressivity will be limited without the accurate understanding. Therefore, the understanding of the instrumental function is important as the base for expanding the application of the technology as well as the possibility in expressivity.
    This study focuses on developing an educational model to help learners’ comprehension thorough the theories, visible diagrams and expression, etc., which can expand the instrumental value of quantitative model means. In addition, it aims at the comprehension in the computer technology base, necessary to pattern design, and the improvement in creative expressivity through the comprehension. Following tasks were examined to meet the goals:

    1. Researching the actual condition and consideration of educational materials of symmetry
    2. Researching the learners’ comprehension in mathematical educational materials
    3.Examining the composi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patterns by using mathematical symmetry
    4.Developing and elaborating the educational model for 17 kinds of mathematical symmetry through systemizing the compositions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s

    The results showed the lack of learners’ comprehension in models related to the mathematical educational materials. It is also found that the mathematical educational materials are deficient to be used as visual data to understand the methodology or to be applied to the expressivity because they have only conceptual description. Specially, if the formulized 17 mathematical symmetry is provided to learners with easily apprehensible and applicable forms, it will expand the learners’understanding in technology as well as the expressivity of pattern designs since it is the technical principles of patterns produced by computes.
    For the formulized 17 mathematical symmetry, the Korean traditional patterns, which were considered to be the very basic materials in pattern design, were focused, and its possibility as a modeling technique for traditional patterns was revealed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formation of the patterns as mathematical symmetry. The formations of traditional patterns were classified by using this pattern symmetry; moreov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patterns, drawn from the classifying process, were synthesized and systemized by the distinctive form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patterns. Based on the results, the 17 mathematical symmetry was proposed as an educational model by producing a two-dimensional diagram and video clips to help the learners’ comprehension.
    In formalizing the traditional patterns, Korean traditional patterns were systemized through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tterns and 17 symmetry operation and formation. Besides, an educational model and a digital archive were developed based on this. The concrete contents for pattern design are expected to become not only the medium for pattern design learners in understanding the Korean identity but also the catalyst to trigger the learners’ senses in design. Furthermore, the contents are considered to be useful data in expanding the learners’ expressivity based on improving the comprehension of the technical principles of the computer.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컴퓨터가 패턴디자인의 필수적인 도구로 정착된 지금, 패턴디자인 교육은 컴퓨터의 도구적 기능을 주도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능력, 이른바 기술적 기저에 내포되어 있는 원리의 이해가 학생들의 표현능력을 확장시킬 수 있는 교육적 테마가 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연구는 기술 및 도구를 긍정적으로 수용하려는 입장을 전제로 도구를 진정한 의미로 인간가치 확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의미를 두고 있다. 사실, 오늘날의 디지털 기술은 그 기술의 원리나 구조가 되는 부분이 보이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때문에 기초기술을 확실하게 이해하기에 어려움이 있고, 만약에 그러한 기초를 확실히 이해하지 못하면 표현에도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때문에 도구적 기능에 대한 이해는 기술의 응용력은 물론 표현의 가능성을 확대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패턴디자인에 있어 필요한 컴퓨터 기술의 기저 이해와 이를 통한 창의적 표현력 향상에 지향점을 두고, 주로 수리적 조형수단의 도구적 가치를 확장할 수 있는 이론적 연구와 가시적 도해 및 표현 등 실천을 통해 이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적 모형 개발에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아래와 같이 단위과제를 설정해 추진했다.
    첫째, 대칭성과 관련된 교육적 제재의 실태조사 및 고찰
    둘째, 수리적 교육제재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 조사
    셋째, 수학적 대칭성을 이용한 한국전통문양의 구성형식 검토
    넷째, 한국전통문양의 구성형식 체계화 과정을 통한 17가지 수학적 대칭성의 교육적 모형 개발 및 정교화
    실제, 패턴디자인과 관련된 수리적 교육제재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수준 조사 및 기술내용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 학생들의 이해력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칭성에 대한 교육제재 역시 개념적 기술에 머물러 실제 표현을 위한 방법론을 이해하거나 표현에 응용할 수 있는 시각적 자료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때문에 기존에 정식화 되어있는 17가지 수학적 대칭성은 컴퓨터에서 생성되는 패턴의 기술적 원리라는 점에서 그것을 학생들이 이해하기 쉽고 활용하기 편리한 형태로 제공한다면 학생들에게 기술이해는 물론 패턴디자인의 표현영역을 확장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이를 위해 가장 객관적이며 패턴디자인에 필요한 실용적 가치를 고려해 연구의 소재로 한국전통문양을 선정해, 이를 대상으로 문양의 구성형식을 수학적 대칭성으로 해석하는 과정을 통해 전통문양의 조형수법으로의 수학적 대칭성의 가치를 밝혔다. 또한 17가지 수학적 대칭성을 활용하여 전통문양의 구성형식을 분류하고, 그러한 과정에서 도출된 전통문양의 표현특징을 고찰, 이를 종합하여 한국전통문양만이 갖는 독특한 구성형식을 체계화시킴과 동시에, 이를 정교화 하여 학생들이 이해하기 쉬운 교육적 모형으로 개발, 제안했다.
    이상, 전통문양의 구성형식에 있어 17가지 대칭조작과의 대응관계 검토를 비롯해 유형화 작업 등을 통해서 한국전통문양의 구성형식을 체계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패턴디자인을 위한 교육적 모형개발과 디지털 아카이브를 제작하였다. 이러한 패턴디자인을 위한 구체화된 콘텐츠는 패턴디자인을 배우는 학생들에게 한국적 정체성을 이해하는 매개체가 될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디자인적 감성을 촉발하는 촉매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컴퓨터의 기술적 원리 이해를 향상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표현의 세계를 확장하는데도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결국, 이상의 연구는 한국전통문양의 구성형식과 관련된 독자적이며, 객관적인 수법을 제시하는데 목표를 두기 보다는, 컴퓨터 기반의 패턴디자인 환경에서 학생들의 기술이해의 교육적 모형을 개발, 제안함으로써 표현세계를 확장시킬 수 과학적 감성을 고양시키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다만, 시각적 교육모형만으로는 완전하다고 할 수 없고, 모형을 이용한 직접적 체험과정과 연습을 통해 대칭의 조작방법에 대한 이해력 향상과 패턴 개발의 다양한 가능성을 스스로 확장해 갈 필요가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는 크게 기반연구와 모형개발로 구분되며, 1차년도는 기초조형교육과 관련한 수리적 조형수단의 이론적 이해와 이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수준 파악을 중심으로 진행되었고, 2차년도는 기반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패턴디자인에 있어서 조형적 감성지능을 촉발할 수 있는 교육적 모형 구축에 중점을 두었다. 즉 디자이너를 위한(디자이너의 감성지능을 촉발할 수 있는) 대칭성의 시각적 모형 개발을 통해 수리적 이해력은 물론 표현력의 확장에 기여할 수 있는 교육적 제재를 구축에 중점을 두었다.
    1차년도 연구결과, 수리적 교육제재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력은 매우 부족했으며, 대칭성과 관련된 교육제재 역시 개념적 기술에 머물러 실제 표현을 위한 방법론을 이해하거나 표현에 응용할 수 있는 시각적 자료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식화 되어있는 17가지 평면의 수학적 대칭성은 컴퓨터에서 생성되는 패턴의 기술적 원리라고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것을 학생들이 이해하기 쉽고 활용하기 편리한 형태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이에 먼저, 조형수단의 실제적 활용성을 고려해 한국전통문양을 소재로 17가지 대칭조작과의 관련성 및 대응관계를 검토하고, 전통문양의 구성형식 체계화를 검토하였다. 구체화된 한국전통문양의 구성형식 체계는, ‘대칭조작의 단순성과 복잡성’, ‘구상적 모티브의 복합구성과 추상적 모티브의 단독구성’, ‘암시적 대칭표현과 엄격한 대칭표현’, 그리고 ‘주제의 역할과 부제의 역할’이 서로 대응하는 구조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통문양 생성수법인 대칭성을 기준으로 ‘단순-구상-복합-암시적-주제’라는 개념이 통합된 표현과 ‘복잡-추상-단독-수학적-부제’라는 개념이 통합된 표현으로 크게 대비되는 체계임을 밝혔다.
    이상과 같이 한국전통문양의 독자적 조형문법이자 생성수법이라고 할 수 있는 구성형식을 이해하고 활용하기 위해서 17가지 수학적 대칭조작을 보다 알기 쉽고 이해하기 쉬운 교육적 모형으로 개발했다.

    패턴디자인의 경우, 소재>인간>기술에 대한 이해의 밸런스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어떠한 경우에도 인간이 기술을 컨트롤 해가면서 소재나 패턴의 효과를 어떻게 도출할 것인가를 검토해야 한다. 그러한 이유에서 도구적 기능을 이해하고 확장할 수 있는 기술 이해력이 무엇보다 중시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컴퓨터의 도구적 이해력 향상은 물론 도구적 한계를 확장하고 학생들이 지닌 형태적 발상력과 나아가 독자적인 패턴디자인을 위한 감성지능을 촉발하는데 기여할 것이라 기대된다. 따라서 컴퓨터의 도구적 기능을 이해하고 기능의 범위를 뛰어넘어 다양한 표현을 구사할 수 있는 인간능력 확장을 위한 교육적 제재로 활용하고자 한다.
    한편, 부산시는 10대 전략산업 중 하나인 섬유․패션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독특한 브랜드 이미지 창출에 주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패턴의 구성형식과 관련된 시각적 모형 및 수리적 조형수단은 가변성과 확장성이 풍부해 궁극적으로 지역적 특성을 가미한 한국적 이미지의 패턴디자인을 개발하거나, 전통을 계승하는데 기여할 것이라 사료된다. 때문에 17가지 수학적 대칭조작의 모형과 이를 바탕으로 체계화한 한국전통문양의 구성형식을 활용해 문화적 정체성의 강화와 함께 경쟁력 있는 디자인개발로 섬유산업을 발전시켜 나가는데 일조할 필요가 있다.
  • 색인어
  • 패턴디자인, 수리적 조형수단, 심메트리, 17가지 수학적 대칭성, 시각적 교육모형, 한국전통문양, 문양의 조형수법, 구성형식의 체계화, 감성계발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