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국어 용언의 심성어휘 표상 양식과 정보처리의 인지신경과학적 원리 규명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공동연구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09-32A-H00017
선정년도 2009 년
연구기간 2 년 (2009년 07월 01일 ~ 2011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구민모
연구수행기관 고려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임희석(고려대학교)
편성범(고려대학교)
한종혜(고려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목적은 언어심리학, 인지신경과학, 전산언어학 관련 연구자들이 3년간의 학제적인 연구를 통하여 한국어 용언의 심성어휘 표상 양식과 정보처리의 인지신경과학적 원리를 규명하는 것이다.
    용언은 체언과 함께 문장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로서 용언의 이해와 산출은 문장 이해 및 언어정보 처리의 근간이 된다. 한국어의 용언은 동사와 형용사로 구성되고, 문장의 주체를 서술하는 기능을 하며, 어미의 형태가 다양하게 변화한다는 활용어의 특징을 가진다. 용언의 하위 요소로서 동사는 사물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낱말로, 형용사는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낱말로 차이를 보인다.
    한국어의 용언인 동사와 형용사의 기능적 유사성은 영어의 동사와 형용사와 뚜렷한 차이점을 보인다. 영어의 동사는 문장의 서술어 기능을 수행하며 이때 활용은 한국어의 용언과 유사하나 영어의 형용사는 한국어의 형용사처럼 활용을 하지 못하고 서술적 기능을 할 때 반드시 동사를 수반하는 등 뚜렷한 차이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이유로 영어권 연구에서 동사와 형용사를 용언이라는 하나의 범주로 비교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존 국외 연구를 통해 드러난 동사 또는 형용사의 심성 어휘집 표상과 처리 모형이 한국어에 완벽히 적용될 수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최근까지 진행된 연구를 살펴보면 동사와 형용사의 정보처리에 관한 연구는 언어학, 언어심리학, 전산언어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독립적으로 이루어져 각각의 독립분야에서 제시한 이론들이 용언 정보처리에 대한 만족스러운 결과를 제공하지는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어 용언의 심성어휘 표상 양식과 처리의 특성을 이해와 산출의 정보처리 과정에서 언어심리학적, 전산언어학적, 인지신경과학적 방법론을 통해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행동실험 연구결과와 인지신경과학 연구결과를 접목하여 한국어 특정적인 용언의 심성어휘 표상과 처리 양상의 계산주의적 모형을 구축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차별 하위목표는 다음과 같다.

    1차년도에는 한국어 용언의 이해와 관련된 심성어휘 표상 양식과 정보처리의 특성을 규명한다.
    2차년도에는 한국어 용언의 산출과 관련된 심성어휘 표상 양식과 정보처리의 특성을 연구한다.
    3차년도에는 1, 2 차년도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어 용언의 이해와 산출시 활용되는 심성어휘 표상 양식을 비교 통합하여, 통합적 한국어 용언의 통합적 심성어휘 표상 양식과 정보처리의 신경언어학적, 계산주의적 모형을 구축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를 통해 본 연구의 가장 큰 특징인 학제 간 연구라는 장점을 살려 용언 연구의 자료 및 방법론 등을 재검토하고 새롭게 정립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며, 이를 통하여 학제간의 정보 공유를 더 원활히 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이 연구의 가장 큰 기대효과가 될 것이다.

    국어학 및 언어학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로 한국어 용언 이해, 산출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어 용언의 심상어휘표상 모형 이해를 위한 기초 지식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한국어 용언 분석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원인의 특성을 규명하여 한국어 통사론 분야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심리학 분야에도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한국어 용언의 심리학적 모델을 도출함으로써 한국어 언어심리학적 연구의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존에 이뤄졌던 이해처리만의 모형이나 산출처리만의 연구에 교량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교육의 측면과 함께 사회 문화적으로도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국어 용언 심상어휘표상과 다른 여러 언어의 용언 심상어휘표상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범언어적인 보편문법의 원리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기본적인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적인 언어 교육 방법을 창출할 수 있다. 한국어 용언에 대한 깊은 연구는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킬 수 있고, 연구된 한국어의 용언 표상을 외국어와 비교하여 효과적인 한국어 교육 및 외국어 교육 방법의 개발에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국어 용언 심성어휘표상에 미치는 다양한 특성들을 규명함으로써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외국인 학습자에게 효과적인 발화 혹은 이해 전략을 제시할 수 있고, 표준 교수법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인간의 언어활동은 문장의 이해와 산출의 과정으로 요약되며, 문장의 핵심은 주체를 서술하는 용언이라 할 수 있다. 한국어 용언은 동사와 형용사로 구성되며 이들은 실제 문장에서 다양한 종류의 어미(선어말어미와 어말어미)와의 결합을 통한 활용형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활용의 복잡성은 한국어에서 명사와 형용사에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특징을 고려하면 한국어 연구에 동사와 형용사를 분리해서 연구하는 것은 한국어의 특징을 반영한 언어 연구라 할 수 없으며 따라서 한국어의 용언 심성어휘 표상을 연구할 때 영어권의 심성어휘 표상 모델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한국어 용언은 이러한 언어특정적 특성과 함께 그 활용의 복잡성으로 인해 그동안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어 용언의 심성어휘 표상 양식과 정보처리의 특성을 학제 간 연구를 통해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통적인 심리학적 실험법 이외에 ERP, fMRI 등의 최신 인지신경과학적 기술을 이용하고,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및 전산언어학적 연구를 수행할 것이다.
  • 한글키워드
  • 기능적 자기공명영상,한국어 용언,형용사,산출,인지신경과학,계산주의모형,전산언어학,실어증 연구,사건관련전위,언어심리학,심성표상,한국어정보처리,이해,동사
  • 영문키워드
  • verb,fMRI(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hasia research,adjective,predicate,ERP(event related potential), psycholinguistics,computational modeling,mental representation, cognitive neuroscience,Korean language processing mechanism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용언은 문장에서 주어를 꾸미는 낱말들인 동사와 형용사를 일컫는 문법 용어이다. 한국어에서 용언은 문장을 이루는 핵심 요소로 용언의 이해와 산출은 문장처리의 근간이 되는 요소이다. 본 연구는 한국어 용언의 이해와 산출에 활용되는 심성어휘 표상 양식과 처리의 특성을 언어심리학적, 전산언어학적, 인지신경과학적 방법론을 통해 그 원리를 규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인지신경과학연구팀의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1차년도 연구 : 뇌손상으로 인해 언어정보처리에 어려움을 보이는 실어증 환자의 용언 정보처리 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명칭성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발화 자료를 수집하여 용언 어절의 정보처리와 체언 어절의 정보처리 양상을 비교 관찰하는 일련의 실험이 수행하였다.

    2. 2차년도 연구 : 실어증 환자의 언어정보처리 양상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단기기억과 운동실행능력 및 시공간인지기능의 측면과의 연관성을 고찰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산언어학연구팀의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자극 후보 추출 도구 개발 : 행동 실험의 자극 코딩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언어 자극으로 쓰일 수 있는 단어들을 말뭉치에서 추출해줄 수 있는 도구를 개발 하였다.

    2. 한국어 용언 이해의 어휘획득 계산모형 구축 : 1차년도 연구로 한국어 용언 이해의 계산주의 모형을 구축하여 인간의 어휘획득 과정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한국어 어휘 지식 자동 획득 전산모형 구축하고 이 모형을 바탕으로 실험을 하였다.

    3. 한국어 용언 이해의 계산주의 모형 구축 : 2차년도 연구로 인간의 어휘이해 과정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한국어 용언 이해의 계산주의 모형 구축하였고 이 모형을 바탕으로 어휘판단실험을 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용언 산출의 계산모형을 현재 개발하고 있다.
  • 영문
  • A predicate word is grammatical term that refers to verbs and adjectives that embellish the subject in a sentence. In Korean, the understanding and generation of predicate words are the basis of sentence processing, making predicate words a critical component in sentence formation.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identify the principles that are used to understand and generate Korean predicate words, and to find the form of representation in the mental lexicon as well as its processing characteristics, by utilizing psycholinguistic, computational linguistic and cognitive neuroscientific methodology.
    The research contents from the Cognitive Neuroscience Research Team are as follows.
    1. 1st Year: We collected various utterance data of anomic aphasia patients and conducted a series of studies in which we compared and contrasted the predicate words’ information processing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of noun phrases.
    2. 2nd year: To observe the aphasia patients’ information processing patterns more in depth, we conducted a series of experiments in which the relevance between short-term memory, movement execution abilities and spatial cognitive functions were observed.
    The research contents from the Computational Linguistics Research Team are as follows.
    1. Development of a stimuli candidate extraction tool:
    In order to reduce the stimulus encoding time for behavioral tasks, we developed a tool to extract words from word bundles that could be used as stimuli.
    2. Construction of Korean predicate vocabulary acquisition computation model:
    Built an automatic computation model for Korean lexical knowledge acquisition, which can simulate the lexicon acquisition process, and conducted experiments based on the model.
    3. Construction of the Computation-based model for Korean predicate word understanding: Utilizing the results from the 2nd year research, construct a computation-based model for understanding Korean predicate words, which we can simulate the human lexical understanding process, and conducted a lexical decision task (LDT) experiment. We are currently developing the computation model for Korean predicate word generation.
    The research contents from the Psycholinguistics Research Team are as follows.
    1. Comparison of lexical information processes of verb & noun word phrases:
    No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verb and noun generation processes in recognition tasks, picture-naming tasks and delayed naming tasks.
    2. Research of verb word phrases’ representation form as well as processing procedure:
    A series of studies with native Korean speakers and bilingual speaker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verb phrases are represented separately in the form of "stem + pre-final ending + ending".
    3. Identification of compound verbs’ form of representation:
    Through studies which aimed at verifying whether or not compound verbs’ form of representation is integrated into whole word phrases, or if the representation is separated into the compositional morphemes, we found that compound verbs have dual representations, represented by both fullist and decompositional representations.
    4. Korean syllable-representation research:
    In order to verify the existence of syllable-representation in Korean word-phrase processing, we used lexical decision tasks, word naming tasks and word translation task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yllables.
    The current research results of the project will provide a Cognitive Neuroscientific basis for Korean information processing, and the models proposed will contribute in various fields, such as language education, language disorder evaluations, as well as speech therapy related area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용언은 문장에서 주어를 꾸미는 낱말들인 동사와 형용사를 일컫는 문법 용어이다. 한국어에서 용언은 문장을 이루는 핵심 요소로 용언의 이해와 산출은 문장처리의 근간이 되는 요소이다. 본 연구는 한국어 용언의 이해와 산출에 활용되는 심성어휘 표상 양식과 처리의 특성을 언어심리학적, 전산언어학적, 인지신경과학적 방법론을 통해 그 원리를 규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인지신경과학연구팀의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1차년도 연구 : 뇌손상으로 인해 언어정보처리에 어려움을 보이는 실어증 환자의 용언 정보처리 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명칭성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발화 자료를 수집하여 용언 어절의 정보처리와 체언 어절의 정보처리 양상을 비교 관찰하는 일련의 실험이 수행하였다.

    2. 2차년도 연구 : 실어증 환자의 언어정보처리 양상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단기기억과 운동실행능력 및 시공간인지기능의 측면과의 연관성을 고찰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산언어학연구팀의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자극 후보 추출 도구 개발 : 행동 실험의 자극 코딩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언어 자극으로 쓰일 수 있는 단어들을 말뭉치에서 추출해줄 수 있는 도구를 개발 하였다.

    2. 한국어 용언 이해의 어휘획득 계산모형 구축 : 1차년도 연구로 한국어 용언 이해의 계산주의 모형을 구축하여 인간의 어휘획득 과정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한국어 어휘 지식 자동 획득 전산모형 구축하고 이 모형을 바탕으로 실험을 하였다.

    3. 한국어 용언 이해의 계산주의 모형 구축 : 2차년도 연구로 인간의 어휘이해 과정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한국어 용언 이해의 계산주의 모형 구축하였고 이 모형을 바탕으로 어휘판단실험을 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용언 산출의 계산모형을 현재 개발하고 있다.


    언어심리연구팀의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동사어절과 명사어절의 언어정보처리 비교 : 동사와 명사의 언어정보처리 양상을 재인과제, 그림명명과제, 지연명명과제를 사용해서 비교한 결과 명사와 동사의 산출 과정에서 질적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2. 동사 어절의 표상 양식과 처리과정 연구 : 한국어 동사어절이 표상양식과 처리과정을 규명하기 위해 모국어 화자, 한국어-일본어 이중화자, 한국어-영어 이중화자를 대상으로 일련의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동사어절이 ‘어간+선어말어미+어말어미’로 분리되어 표상되어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를 얻었다.

    3. 복합동사의 표상양식 규명 : 복합동사의 표상 양식이 전체 어절로 통합되어 표상되어 있는지 아니면 복합동사의 구성 형태소로 분리되어 표상되어 있는 지를 검증한 연구를 통해 복합동사가 ‘전체표상’과 ‘분리표상’의 이중으로 표상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를 얻었다.

    4. 한국어 음절표상 연구 : 한국어 어절정보처리에서 음절 표상의 존재를 확인하기 어휘판단과제, 단어명명과제 및 단어번역과제를 사용해서 음절의 영향을 규명하였다.

    본 과제의 연구 결과는 한국어 정보처리의 인지신경과학적 학문 기반을 제공할 것이며, 이를 통해 제안된 모델은 언어교육, 언어장애 평가 및 언어치료 관련 분야 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1차년도 연구결과

    가. 자극 후보 추출 도구 개발
    ■ 행동 실험의 자극 코딩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언어 자극으로 쓰일 수 있는 단어들을 말뭉치에서 추출해줄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함.
    나. 한국어 어휘 지식 자동 획득 전산모형 구축
    ■ ‘심성어휘집의 표상 형태에 관한 연구 모델’에서 획득된 어휘 목록을 바탕으로 한국어 어휘 지식 자동 획득 전산모형을 구축함.
    다. 한국어 어휘 지식 자동 획득 전산모형 실험
    ■ 구축된 모델을 바탕으로 어휘목록을 입력으로 하여 어휘지식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들을 관찰함.
    라. 실어증 환자 연구를 통한 용언 어절 및 체언(명사) 어절 연구
    ■ 명칭성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용언 어절과 체언 어절의 정보처리 양상을 비교 관찰함.
    마. 유아 발화 수집 연구
    ■ 2008년 12월에 출생한 6명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2009년 10월(10개월차)부터 현재 15개월차에 이르기까지 매주 5회 이상의 자연스러운 발화를 녹음하여 DB로 구축함.
    바. 한국어 동사 어절의 표상 양식 연구
    ■ 한국어-영어 이중언어화자의 경우 영어 능숙도에 따라 한국어 동사어절의 기본형(예:보다)과 과거형(예:보았다)이 표상 양상이 달라졌음.
    사. 한국어 동사 어절 재인에서 형태소의 영향 연구
    ■ 한국어 모국어 화자의 어휘판단 자료를 분석한 결과 동사 어절이 ‘어간+선어말어미+어말어미’로 구분되어 표상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남.
    아. 한국어 동사 어절의 형태소 정보가 어휘접근에 미치는 효과
    ■ 한국어-일본어 이중언어 화자 연구 결과 한국어 어절이 ‘어간+선어말어미+어말어미’로 구성되는 단일한 형태소 구조로 표상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남.
    자. 한국어 동사어절과 명사어절의 언어정보처리의 차이 규명
    ■ 한국어 명사와 동사의 처리에서 질적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음.
    차. 한국어 어절의 음절 부호화 과정
    ■ 한국어 음절은 "음절체+종성"의 위계적인 내적 구조로 표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음.
    카. 한국어 복합동사 어절의 표상양식 규명
    ■ 한국어 복합동사의 심적 표상은 ‘전체표상’과 ‘분리표상’의 이중적인 표상 체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음.

    2. 2차년도 연구결과

    가. 전도성 실어증 환자의 언어 특성과 다중요소 단기기억 연구
    ■ 3명의 전도성 실어증 환자들의 언어특성을 다중요소적 차원에서 분석한 결과 단기기억의 손상 정도와 언어손상이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나. 이름대기 검사 개발을 위한 표준화 연구
    ■ 실어증 환자의 용언 표상과 명사 표상의 유형을 고찰하기 위해 80개 항목의 이름대기 검사를 개발하여 정상인과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음.
    다. 우반구손상 실어증 환자의 언어손상과 운동실행 능력 및 시공간인지기능 연구
    ■ 교차성 실어증 두 사례와 왼손잡이-우반구 손상 실어증의 한 사례의 특수 사례를 연구한 결과 언어와 시공간인지기능이 같은 반구에 편재되었을 가능성을 확인하였음.
    라. 규칙 용언과 불규칙 용언의 심성 어휘집 표상
    ■ 한국어 규칙동사와 불규칙동사의 처리 과정에서 뚜렷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형태소 정보가 일찍부터 처리되는 것을 확인하였음.
    마. 복합동사의 심성 어휘집 표상양식
    ■ 한국어 합성동사의 경우 심성 어휘집에서 ‘전체표상’과 ‘분리 표상’의 이중으로 표상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바. 어휘접속 과정에서 음절 단위의 영향
    ■ 한국어 어휘접속 과정에서 철자 표상과 단어 표상 사이에 음절표상의 존재를 지지하는 결과를 얻었음.
    사. 어휘 재인 모듈이 추가된 한국어 용언 이해의 계산주의 모형 구축
    ■ 어휘 재인 모듈을 새롭게 추가 구성하여, 어휘재인이 가능한 모델의 형태로 기존 모델을 확장하였음.
    아. Lexical Dictionary 구조화
    ■ 확장된 어휘 재인 모듈을 활용하여 기존에 학습된 어휘 사전들의 목록들은 구조화하였음.
    자. 정상인의 언어재인 빈도효과 측정
    ■ 저빈도와 고빈도로 단어를 각각 노출시켜 두 가지 서로 다른 빈도를 가지고 있는 단어 표상 구조를 만들어서 어휘판단실험 통하여 결과를 분석하였음.

    3. 연구결과 활용계획
    ▪ 한국어 용언 이해, 산출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어 용언의 심상어휘표상 모형 이해를 위한 기초 지식을 제공하며, 한국어 언어심리학적 연구의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음.
    ▪ 언어심리학, 인지신경과학, 자연어처리의 학제 간 연구의 결과에 따라 용언 연구의 자료 및 방법론 등을 재검토하고 새롭게 정립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음.
    ▪ 한국어 교육 소프트웨어를 개발의 토대를 확립하고, 다른 외국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도 적용될 수 있음.
    ▪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외국인 학습자에게 효과적인 발화 혹은 이해 전략을 제시할 수 있고, 표준 교수법도 개발할 수 있음.
  • 색인어
  • 용언, 동사, 명사, 심성 어휘집, 어휘표상, 어휘접근, 규칙동사, 불규칙동사, 언어이해, 언어산출, 전산모형, 복합동사, 음절, 형태소, 단어빈도, 음절빈도, 형태소빈도, 실어증, 명칭성 실어증, 전도성 실어증, 교차성 실어증, 우반구 손상 실어증, 이름대기과제, 어휘판단과제, 단어명명과제, 그림명명과제, 단어번역과제, 지연명명과제, 이중언어화자,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화자, 한국어-일본어 이중언어 화자, 인지신경과학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