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으로서의 팀웍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09-327-B00615
선정년도 2009 년
연구기간 1 년 (2009년 11월 01일 ~ 2010년 10월 31일)
연구책임자 최윤미
연구수행기관 서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 연구는 대학생들에게 요구되는 직업기초능력으로서의 팀웍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개발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과제는 다음과 같다.

    <과제 1> 대학생이 갖추어야 할 직업기초능력으로서의 팀웍역량의 개념 고찰
    <과제 2> 대학생의 팀웍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 개발
    <과제 3> 대학생의 팀웍역량 측정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 기대효과
  • 이 연구의 결과로 개발된 대학원생 팀웍역량 척도의 기대되는 효과 및 연구 결과의 활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가. 연구결과의 학문적․사회적 기여도

    1) 팀웍역량의 중요성 부각, 팀웍역량에 대한 관심 촉발 및 후속 연구 활성화에 기여
    이 연구는 그 동안 팀웍역량을 대학생이 갖추어야 할 직업기초능력의 일부분으로 다루어왔던 것에서 벗어나 팀웍역량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실제 대학생들의 경험과 인식을 통해 팀웍역량의 개념과 모습을 밝힘으로써, 대학교육 과정 속에서 대학생들의 팀웍역량에 대한 학문적 및 실천적 관심과 후속 연구를 활성화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2) 대학교육 과정에서 팀웍역량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
    이 연구에서 대학생의 팀웍역량을 측정․평가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함으로써, 개인의 팀웍역량 수준을 진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학교육 과정 속에서 팀웍역량을 개발하고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3) 팀웍역량을 갖춘 인재의 선발, 배치 및 훈련에 시사점 제공
    대학교육을 마치고 사회에 진출하는 인적자원들이 갖추어야 할 팀웍역량에 대한 본격적인 실증연구를 시도함으로써, 향후 조직의 성과를 향상시키고 경쟁력을 높이고 조직이 원하는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팀웍역량을 갖춘 인재를 선발, 배치 그리고 훈련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나. 연구결과의 활용방안

    1) 팀웍역량 개발을 위한 수업 운영 및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에 활용
    이 연구는 대학생의 팀웍역량을 측정․평가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함으로써 대학생의 팀웍역량 개발을 위한 수업 운영 및 교육과정 개발 방향을 탐색하는데 활용될 것이다. 이러한 시도는 대학생의 경력개발을 학업 외의 별도의 과정이 아닌 교육과정 속에서 실행할 수 있게 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2) 사회 각 분야의 맥락에 적합한 팀웍역량 척도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
    이 연구의 결과는 비단 대학생뿐만 아니라 대학원생, 기업체 조직구성원 및 사회 전반에 걸쳐 팀을 이루어 과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팀웍역량을 새롭게 개념화하고, 고유한 맥락에 따라 이를 측정․평가하는 도구를 개발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3) 팀웍역량 개발에 관련된 정책연구 방향 설정의 기초 자료로 활용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대학생의 팀웍역량을 개발하는데 관련된 다양한 정책연구 방향 설정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에게 요구되는 직업기초능력으로서의 팀웍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개발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내용과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가. 연구내용

    1) 대학생이 갖추어야 할 직업기초능력으로서의 팀웍역량의 개념 고찰
    대학생이 갖추어야 할 직업기초능력의 하나로서 팀웍은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그 동안 대학생의 팀웍역량이 직업기초능력의 하위 영역중 하나로 다루어져왔던 것에서 벗어나, 실제로 대학원생에게 요구되는 팀워역량의 개념과 의의를 살펴보고, 현재 대학교육 과정 속에서 팀웍이 일어나는 양상, 맥락 및 역동을 알아본다. 또한 대학생의 팀웍이 교육과 학습의 과정 속에서 어떻게 개발되고 있으며, 향후 과제는 무엇인지 고찰한다.

    ○ 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으로서 팀웍역량의 개념 및 의의
    ○ 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으로서 팀웍역량의 발휘 양상 및 맥락
    ○ 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으로서 팀웍역량의 개발 현황 및 향후 과제

    2) 대학생의 팀웍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 개발
    현재 대학생의 팀웍역량을 측정․평가하는 것은 전반적인 직업기초능력 맥락 속에서 제한적으로 논의되고 이루어지고 있다. 대학생이 갖추어야 하는 팀웍역량은 개인 차원에서 볼 때 학업을 수행하거나 자신의 미래 경력개발에 중요할 뿐만 아니라, 조직 차원에서도 팀웍역량을 갖춘 인재를 효과적으로 선발함으로써 재교육 기회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학생의 팀웍역량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 팀웍역량의 구인을 탐색하고 검사를 개발한다.

    ○ 대학생 팀웍역량의 구인 탐색
    ○ 대학생 팀웍역량 척도 개발

    3) 대학생 팀웍역량 측정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대학생 팀웍역량 측정 척도 개발을 위하여 대학생 팀웍역량의 구인 탐색, 예비문항 개발 및 예비조사 실시 과정을 거쳐 문항을 제작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다.

    ○ 대학생 팀웍역량 척도의 신뢰도 검증
    ○ 대학생 팀웍역량 척도의 타당도 검증

    나. 연구방법

    1) 대학생이 갖추어야 할 직업기초능력으로서의 팀웍역량의 개념 고찰
    대학생이 갖추어야 할 직업기초능력으로서의 팀웍역량의 개념을 고찰하기 위하여, 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 대학생의 팀웍 및 팀웍역량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한다. 또한 실제로 대학생의 팀웍 및 팀웍역량에 대한 현황과 요구를 살펴보기 위하여 대학생 본인, 교수 그리고 기업체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각 30~50명씩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다양한 의견과 관련 사례를 수집하고 팀웍역량의 구인을 탐색하고, 문항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한다.

    ○ 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 대학생의 팀웍 및 팀웍역량에 관련된 선행연구 분석
    ○ 대학생, 교수 및 기업체 인사담당자 각 30~50명씩 개별 심층 면담 실시

    2) 대학생 팀웍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 개발
    문헌분석과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된 사례를 기초로 대학생 팀웍역량의 구인을 마련하고, 각 구인을 반영하는 초기 문항을 본조사의 3배수로 제작한다. 제작된 초기 문항은 심리학, 교육학, 경영학 분야의 전문가 10인을 대상으로 총 2회에 걸쳐 내용타당도를 검증받고 문항 선별 과정을 거쳐, 서울지역 대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며, 예비조사 실시 결과를 바탕으로 본조사를 제작한다. 본조사는 서울지역 대학생 약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다.

    ○ 대학생 팀웍역량의 구인 탐색
    ○ 대학생 팀웍역량 척도의 초기 문항 제작, 내용타당도 검증 및 문항 선별
    ○ 대학생 팀웍역량 척도의 예비조사 실시
    ○ 대학생 팀웍역량 척도의 예비조사 문항의 신뢰도 및 구인타당도 검증
    ○ 대학생 팀웍역량 척도의 본조사 실시

    3) 대학생 팀웍역량 측정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예비조사 실시 결과를 거쳐 최종 문항을 결정하여 서울지역 대학생 약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다. 대학원생 팀웍역량과 관련 변인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다. 또한 대학생 팀웍역량 척도의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재검사 신뢰도 분석과 크론바하(Cronbach) 알파계수를 구한다. 대학생들의 배경 변인에 따라 팀웍역량 점수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변량분석을 실시한다.

    ○ 대학생 팀웍역량 구인간의 상관분석
    ○ 대학생 팀웍역량 척도의 확인적 요인분석
    ○ 대학생 팀웍역량 척도의 재검사 신뢰도 분석
    ○ 개인 배경 변인에 따른 대학생 팀웍역량의 차이 분석
  • 한글키워드
  • 팀웍,직업기초능력,팀웍역량 척도,팀웍역량
  • 영문키워드
  • Teamwork,Teamwork Competency,Teamwork Competency Scale,Basic Vocational Skills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대학생이 갖추어야 할 직업기초능력으로서의 팀웍역량의 개념과 구인을 탐색하고, 팀웍역량을 측정․평가하는 검사를 개발하여, 개발된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대학생팀웍역량검사’를 개발하기 위하여, 먼저 직업기초능력, 핵심역량 및 팀웍역량에 관련된 국내․외 문헌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으로서의 팀웍역량을 ‘대학생이 팀을 이루어 과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으로 정의하였다. 이는 대학생이 팀 과업 수행 상황에서 겪을 수 있는 다양한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그리고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광범위하게 포괄하며, 그 하위영역을 ① 과제수행역량, ② 대인관계역량, ③ 의사결정역량의 세 가지로 설정하였다.
    이 영역에 대한 검사 문항을 개발하여 전문가 집단(대학 교수 및 연구원)으로부터 내용타당도 검토를 받았다. 과제수행역량과 대인관계역량 영역은 자기보고식 5점 리커르트 척도 문항으로 개발하였고, 의사결정역량 영역은 상황판단검사로 제작하였다. 예비검사는 71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예비검사 결과를 토대로 문항을 선별하여 본검사 문항을 제작하였다. 본검사는 총 30문항으로 구성되었고, 총 537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대학생팀웍역량검사’의 타당도는 검사의 총점과 하위영역과의 상관관계 분석, 대학생 팀웍역량 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이루어졌고, 내적일관성 지수인 Cronbach 알파 계수를 통하여 ‘대학생팀웍역량검사’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아울러 피험자의 배경 변인에 따른 차이 검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팀웍역량검사’의 타당화 작업으로 ‘대학생팀웍역량검사’의 총점과 하위영역들간의 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관리자리더십 모형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대학생팀웍역량검사’의 총점과 하위영역들 간의 상관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했고(r=.51~.78, p<.01),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좋은 모형이라고 할 수 있는 기준을 모두 충족시켜(NNFI=.996, CFI=.999, RMSEA=.022), 연구에서 제안한 세 개의 하위영역은 서로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대학생의 팀웍역량이라는 개념을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연구자가 설정한 대학생 팀웍역량의 이론적 모형이 경험적 자료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것임을 시사한다.
    둘째, 내적일관성 계수인 Cronbach 알파를 통하여 ‘대학생팀웍역량검사’의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신뢰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601).
    셋째, ‘대학생팀웍역량검사’의 결과가 집단별 특성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성별, 학년, 소속 단과대학에 따른 차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는 대인관계역량 영역에서만 나타났고, 학년별 팀웍역량 검사 점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속 단과대학에 따라 과제수행역량 영역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속 단과대학 중에서 어느 단과대학 간에 점수 차가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Turkey의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공과대학 학생들과 사범대학 학생들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그 이외의 다른 집단들은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영문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validate an instrument measuring collegiate teamwork competency test. Extensive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in order to identify sub-domains of collegiate teamwork competency. Collegiate teamwork competency was conceptualized as competency that is essential for college students to perform their tasks in teams. ① task performance competency, ② interpersonal competency, and ③ decision making competency were suggested as three sub-domains of collegiate teamwork competency.
    The expert group in the field of vocational competency and education approve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test items. The items of the first two areas were 5-point Likert scale, and the third area was developed following the typical situational judgmment test. A preliminary test group was composed of 71 college students. Item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examined through the preliminary test, and finally the final version of the test with 30 items was built. 537 college students took the test. The validity of collegiate teamwork competency test was examined through correlation coefficient among sub-domain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he reliability was tested through Cronbach's coefficient alpha. In addition, demographic variables were put into analys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test score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confirm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collegiate teamwork competency test, correlational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executed. The results of the intercorrelations between the scores of three sub-domains and the composite score of collegiate teamwork competency test (r=.51~.78, p<.01)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run in order to secure the adequacy of the collegiate teamwork competency model. Supposing that the three sub-domains make the latent variable of collegiate teamwork competency, this study us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rogram, AMOS. Standardized regression weights (r=.58~.83) and some of the fit indices (x2=3.086, CFI=.999, NNFI=.996, RMSEA=.022) indicated that the empirical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showed very good fit to the model of collegiate teamwork competency.
    Second, Cronbach's coefficient alpha was used in order to examine the reliability of the test. The coefficient alpha was .601, and the reliability estimates for the six sub-domains ranged from .641 to .864.
    Third, collegiate teamwork competency was not discriminated from years of schooling, and gender difference was found in the interpersonal competency on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llegiate teamwork competency in task performance competency by their major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팀웍역량은 예비사회인인 대학생이 갖추어야 할 중요한 직업기초능력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대학생이 갖추어어야 할 팀웍역량의 요소에는 무엇이 있는지 탐색하고, 개인의 팀웍역량 수준을 측정․평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갖추어야 할 직업기초능력으로서의 팀웍역량의 개념과 구인을 탐색하고, 팀웍역량을 측정․평가하는 검사를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팀웍의 구성요인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팀웍역량을 과제수행역량, 대인관계역량, 의사결정역량으로 분류하였다. 이 영역들을 진단할 수 있는 문항을 개발하여 전문가 집단으로부터 내용타당도 검토를 받았다. 예비검사는 71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예비검사 결과를 토대로 문항을 선별하여 본검사 문항을 제작하였다. 본검사는 총 537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대학생팀웍역량검사’의 타당도는 검사의 총점과 하위영역과의 상관관계 분석, 대학생 팀웍역량 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이루어졌고, 내적일관성 지수인 Cronbach 알파 계수를 통하여 ‘대학생팀웍역량검사’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아울러 피험자의 배경 변인에 따른 차이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팀웍역량검사’의 타당도와 신뢰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의 학문적․사회적 기여도

    첫째, 이 연구는 팀웍역량의 중요성 부각, 팀웍역량에 대한 관심 촉발 및 후속 연구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다. 이 연구는 그 동안 팀웍역량을 대학생이 갖추어야 할 직업기초능력의 일부분으로 다루어왔던 것에서 벗어나 팀웍역량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실제 대학생들의 경험과 인식을 통해 팀웍역량의 개념과 모습을 밝힘으로써, 대학교육 과정 속에서 대학생들의 팀웍역량에 대한 학문적 및 실천적 관심과 후속 연구를 활성화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둘째, 이 연구의 결과는 대학교육 과정에서 팀웍역량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 대학생의 팀웍역량을 측정․평가할 수 있는 검사를 개발하고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함으로써, 개인의 팀웍역량 수준을 진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학교육 과정 속에서 팀웍역량을 개발하고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셋째, 이 연구의 결과는 팀웍역량을 갖춘 인재의 선발, 배치 및 훈련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대학교육을 마치고 사회에 진출하는 인적자원들이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으로서의 팀웍역량에 대한 본격적인 실증연구를 시도함으로써, 향후 조직의 성과를 향상시키고 경쟁력을 높이고 조직이 원하는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팀웍역량을 갖춘 인재를 선발, 배치 그리고 훈련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2. 연구결과의 활용방안

    첫째, 이 연구의 결과는 팀웍역량 개발을 위한 수업 운영 및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대학생의 팀웍역량을 측정․평가할 수 있는 검사를 개발하고,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함으로써 대학생의 팀웍역량 개발을 위한 수업 운영 및 교육과정 개발 방향을 탐색하는데 활용될 것이다. 이러한 시도는 대학생의 경력개발을 학업 외의 별도의 과정이 아닌 교육과정 속에서 실행할 수 있게 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둘째, 이 연구는 사회 각 분야의 맥락에 적합한 팀웍역량 검사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비단 대학생뿐만 아니라 대학원생, 기업체 조직구성원 및 사회 전반에 걸쳐 팀을 이루어 과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팀웍역량을 새롭게 개념화하고, 고유한 맥락에 따라 이를 측정․평가하는 도구를 개발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이 연구는 팀웍역량 개발에 관련된 정책연구 방향 설정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대학생의 팀웍역량을 개발하는데 관련된 다양한 정책연구 방향 설정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핵심역량, 팀웍, 팀웍역량, 팀웍역량 검사, 타당화, 상황판단검사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