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체육교과내의 여가교육 목표와 내용 개발을 위한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09-327-G00154
선정년도 2009 년
연구기간 2 년 (2009년 11월 01일 ~ 2011년 10월 31일)
연구책임자 김선희
연구수행기관 대구미래대학교& #40;폐교& #41;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여가교육은 다른 교육과정 영역과 달리 여가경험이 함께 제공되어야 하며, 여가경험이 대상자에게 즐거움과 만족감, 행복감과 같은 긍정적인 효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여가교육은 한 개인이 여가생활을 최적합 수준에서 즐기는데 필요한 태도와 기술발달을 포함하며, 여가활동에 필요한 자원에 대한 지식과 활용방법, 여가기술 및 행동습득을 위한 여가활동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여가교육은 청소년의 정상적인 발달에 기여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정되고 있다.
    현재 여가교육의 부재는 기존의 교과 수업시간과 재량활동, 특별활동을 통해 스포츠나 취미활동 등을 위한 기술 습득형태의 여가교육이 이루어지고 있고 있는데 있다. 여가에 대한 근본적인 목적의식과 문제의식이 결여된 채 산발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아직까지 여가교육에 적합한 체계적인 교육과정 및 교수 학습 방법, 교육 내용과 평가, 교사교육이 부재한 것이 주요 원인이다.
    본 연구는 여가교육의 독립교과화 또는 교과 과정의 개편이 이루어지지 않는 현재의 학교현장에서 체육교과 내에 현실 가능한 여가교육의 목적과 내용을 구체화하는데 주목적이 있다. 또한 여가교육을 실시하고자 하는 교사들이 참조할 수 있는 여가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제시하여 미래 여가교육 교과과정 개발 시 그 방향성과 기초자료 제공을 하고자 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에서 연구내용의 범위를 다음과 같이 크게 3가지로 요약이 된다.

    (1) 청소년 여가 이론 분야

    청소년과 여가교육 이론 분야는 여가 관련 이론을 검토하고 청소년의 특징과 여가교육의 모델을 기존자료와 선행연구를 통해서 확인하게 된다. 이를 통해서 여가교육의 한국적 모델과 수업안의 개발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될 것이다. 특히 7차 교육과정을 포함해서 교육과정에 대한 검토도 이루어져 한국에서 적용 가능성을 높일 예정이다. 구성주의를 기반으로 한 교수 학습 원리도 검토하게 될 것이다.

     *청소년 여가 관련 이론
     *여가와 여가교육, 개념 확립
     *여가교육의 내용과 범위

    (2) 청소년 여가실태와 요구조사

    청소년과 체육교사를 대상으로 청소년 여가교육의 실태를 설문지로 조사하고자한다. 실태 및 요구조사를 통해서 현재의 청소년의 여가와 여가교육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개선점을 확인할 것이다.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방법을 이용해서 여가교육의 수업안의 전제가 되어야할 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 영역에 대해서 의견을 모을 예정이다.

     *청소년 여가교육의 실태조사
     *청소년 여가교육 요구조사

    (3) 전문가를 대상으로 면담과 델파이조사

    전문가의 면접과 델파이조사를 통해서 여가교육 수업 안을 구성하기 위한 여가교육의 필요성과 목적을 확정하고 그다음에 여가교육의 세부 내용과 하위 범위가 결정하게 될 것이다. 여가교육 수업안의 내용은 청소년의 여가를 통한 건강, 심리, 복지, 문화,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내용으로 구성될 것이다.

     *여가교육의 목표 및 내용 설정을 위한 면담
     *델파이방법을 이용한 여가교육 내용 구축
  • 한글키워드
  • 주5일 수업제,여가교육,체육,청소년
  • 영문키워드
  • phisycal education,youth,5 days a week sueopje,leisure education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체육교과 내 여가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제시하여 미래 여가교육 교과과정 개발 시 그 방향성과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첫째, 청소년의 여가인지의 여가심취, 여가자신감이 높을수록 사회적 상호작용이 높아지며, 여가인지와 사회적 상호작용의 관계기술과 자기표현기술이 높을수록 여가기술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체육수업 인식정도가 높을수록 여가인지 및 여가지속의사가 높아지며, 여가인지가 높을수록 여가지속의사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교사들은 현행 교육 현실의 변화가 선행 되어야 여가교육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여가교육의 구체적인 목표, 기존의 체육수업과의 차이, 여가교육의 접근방법에 대한 이해는 선행되지 못하고 있었다. 여가교육내용 실행의 문제점으로 부족한 수업시간, 안전사고에 대한 부담감, 기존 교육내용에 대한 믿음 등을 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문가의견 분석결과 체육교과 내 여가교육의 개념은 자신의 여가가치와 목표를 구체화 하고 명료화 할 수 있게 하는 실천기술의 전반적 통합과정으로 분류 되었다. 여가교육의 방향은 수준별 수업을 통한 집단 활동 강화, 체험을 통한 재미 경험의 연속성, 여가의 자발적 선택과 수용능력 배양으로 확정되었다. 또한 학교 내 여가교육을 위한 시설 및 공간의 미확보, 학교 및 교사의 인식과 이해 부족, 수준별 수업을 위한 전문가 부족 및 한계가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체육교과 내 여가교육의 목표는 활동하는 즐거움, 만들어가는 즐거움, 사고와 창의의 즐거움으로 분류되었다. 여가교육의 내용은 사회생활의 태도와 기술을 익히는 학습, 자발적 학습, 사회적 적응능력 향상, 원만한 인간관계 등 다양한 학습의 제공으로 분류되었다.
  • 영문
  • This study aimed to present the purposes and content of leisure education, thereby providing the directions of and basic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leisure education curriculum. The followings are this study's analysis results.
    First, adolescents' strong leisure involvement and high leisure confidence were associated with their high level of social interaction, and their high perception of leisure, social interaction and relationship skills, self-expression skills were related with their good leisure skills. Further, those with high perception of athletics class had high perception of leisure and strong intention of constant leisure activities. High perception of leisure was also related with strong intention of constant leisure activities.
    Second, athletics instructors considered that change in the current educational reality should be precede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s of leisure education. However, they were lacking in understanding of specific aims of leisure education, its differences from existing athletics classes, and how to approach leisure education. They regarded that they had difficulty with implementing leisure education due to insufficient class time, their sense of burden from risk of safety accidents, and confidence in existing education content.
    Third, experts opined that the concept of leisure education within athletics was a overall integral course for practice skills that enabled the concretization and clarification of values of leisure activities and their purposes. The directions of leisure education were determined to be strengthening of group activities through level-based classes, continuity of fun through experiences, and nurturing of capabilities to voluntarily select and accept leisure activities. Problems with leisure education were found to be no facilities and space for it within schools, schools' and teachers' lack of perception about and understanding of it, and insufficient number of experts for level-based classes. The purposes of leisure education within athletics were classified into pleasure with performing activities, pleasure with making, and pleasure with thinking and creating. The content of leisure education was categorized into diverse types of learning such as learning to obtain attitudes and skills for social life, voluntary learning, learning for social adaptability enhancement, and learning for the formation of smooth relationship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체육교과 내 여가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제시하여 미래 여가교육 교과과정 개발 시 그 방향성과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첫째, 청소년의 여가인지의 여가심취, 여가자신감이 높을수록 사회적 상호작용이 높아지며, 여가인지와 사회적 상호작용의 관계기술과 자기표현기술이 높을수록 여가기술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체육수업 인식정도가 높을수록 여가인지 및 여가지속의사가 높아지며, 여가인지가 높을수록 여가지속의사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교사들은 현행 교육 현실의 변화가 선행 되어야 여가교육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여가교육의 구체적인 목표, 기존의 체육수업과의 차이, 여가교육의 접근방법에 대한 이해는 선행되지 못하고 있었다. 여가교육내용 실행의 문제점으로 부족한 수업시간, 안전사고에 대한 부담감, 기존 교육내용에 대한 믿음 등을 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문가의견 분석결과 체육교과 내 여가교육의 개념은 자신의 여가가치와 목표를 구체화 하고 명료화 할 수 있게 하는 실천기술의 전반적 통합과정으로 분류 되었다. 여가교육의 방향은 수준별 수업을 통한 집단 활동 강화, 체험을 통한 재미 경험의 연속성, 여가의 자발적 선택과 수용능력 배양으로 확정되었다. 또한 학교 내 여가교육을 위한 시설 및 공간의 미확보, 학교 및 교사의 인식과 이해 부족, 수준별 수업을 위한 전문가 부족 및 한계가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체육교과 내 여가교육의 목표는 활동하는 즐거움, 만들어가는 즐거움, 사고와 창의의 즐거움으로 분류되었다. 여가교육의 내용은 사회생활의 태도와 기술을 익히는 학습, 자발적 학습, 사회적 적응능력 향상, 원만한 인간관계 등 다양한 학습의 제공으로 분류되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여가교육 개념 확립 및 내용과 범위 도출과, 7차 교육과정을 포함한 교육과정과 교수법에 대한 자료 분석을 통해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첫째, 여가인지가 높을수록 사회적 상호작용이 높아지며, 사회적 상호작용의 관계기술과 자기표현기술이 높을수록 여가기술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체육수업인식정도가 높을수록 여가인지 및 여가지속의사가 높아지며, 여가인지가 높을수록 여가지속의사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은 현행 교육 현실의 변화가 선행 되어야 여가교육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여가교육 내용 실행의 문제점으로 부족한 수업시간, 안전사고에 대한 부담감, 기존 교육내용에 대한 믿음 등을, 들고 있으며, 교육시스템의 여건과 현실에서 평생의 여가활동으로 연계하고 심화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반성과 변화의 노력이 필요하며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셋째, 체육교과 내에서의 여가교육은 자신의 여가가치와 목표를 구체화 하고 명료화 할 수 있게 하는 실천기술의 전반적 통합과정으로, 여가교육의 방향은 수준별 수업을 통한 집단 활동 강화, 체험을 통한 재미 경험의 연속성, 여가의 자발적 선택과 수용능력 배양으로, 여가교육의 과제와 문제점은 여가교육을 위한 학교 및 교사의 인식과 이해 부족, 학교 내 여가교육을 위한 시설 및 공간의 미확보, 수준별 수업을 위한 전문가 부족 및 한계로, 여가교육의 목표는 활동하는 즐거움, 만들어가는 즐거움, 사고와 창의의 즐거움으로, 여가교육의 내용은 사회생활의 태도와 기술을 익히는 학습, 자발적 학습, 사회적 적응능력 향상, 원만한 인간관계 등 다양한 학습의 제공으로 분류 되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활용될 것이다.
    학문적 분야에서 지금까지 상대적으로 미흡했던 여가 레크리에이션분야에 청소년 여가교육 교과과정의 개발을 통해서 여가레크리에이션분야의 이론적 지식 기반을 확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7차 교육과정 개편 시 축소되고 약화된 체육교과의 내실화를 기할 수 있다. 현장 적용성의 측면에서 본 연구의 개발된 여가교육 교과과정은 주 5일 학습제 도입과 함께 강화되고 있는 지역사회 사회교육기관이나 교육 상담기관에서 청소년을 비롯한 여가교육 대상에게 여가교육 내용, 절차, 방법에 대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방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 색인어
  • 여가교육, 체육교육과정, 여가가치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