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s

연구과제 상세정보

개정 영어교과서에 쓰인 구어 장르(oral registers) 텍스트에 대한 다차원 분석(multi-dimensional analysi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 #40;인문사회&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0-332-B00430
선정년도 2010 년
연구기간 1 년 (2010년 05월 01일 ~ 2011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윤현숙
연구수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교과서는 외국어를 배우는 있어서 가장 중요한 매체 중의 하나이다. 교과서는 단순히 자료들의 배합이 아니라, 교수법, 교육과정, 그리고 언어정책이 모두 녹아든 총 집합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교과서에 어떤 종류의 언어와 내용을 담을 것인가 하는 것은 주요한 교육적 결정 사항이 된다. 하지만 그간 제2언어 학습 교과서들이 실제적인 언어 사용의 쓰임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들이 많이 있어 왔다(Divito, 1991; Gilsan & Drescher, 1993; Holmes, 1988; Ljung, 1999; Mindt, 1996, 1997; Shim, 1999). 최근 들어,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언어학에서 코퍼스(corpus)가 발달함에 따라 언어교육에서의 코퍼스 사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코퍼스 사용에 대한 우려도 있었지만(Cook, 1998; Widdowson, 1998), 교재개발은 코퍼스의 사용이 가장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분야로 인식되어 왔다.
    그간 원어민 코퍼스와 교재를 비교하여 교재의 진정성(authenticity)에 관해 알아본 비교 연구들이 많이 행해져왔다(e.g., 권인숙, 2002, 2004; 김수정, 2006; 설영, 2007; 유성자, 2007; 윤현숙, 2009; 천윤희, 2008; Divito, 1991; Gilsan & Drescher, 1993; Mindt, 1996, 1997).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교재 내용 전반에 걸쳐서가 아니라 몇몇 언어 요소(linguistic features)에 국한하여 분석을 했다는 점과, 방법론에 있어서 개별 언어요소의 빈도수에 초점을 두어 연어(collocation)나 사용역의 변이(register variation) 등과 같은 코퍼스가 보여줄 수 있는 장점에 대한 많은 부분들은 보여주지 못했다는 제한점을 지니고 있다.
    Biber(1988)는 언어요소에 근거한 의사소통 기능 분석 방법을 개발하였는데, 그는 한 가지 차원으로는 텍스트의 변이를 설명할 수 없고 다차원적인 접근방법이 필요하다는 믿음 하에 “다차원 모델(multi-dimensional model)"을 개발하였다. Biber의 연구는 다른 많은 연구자들로 하여금 특정 장르에 사용되는 언어와 기능에 대해 총체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을 하도록 하는 기틀을 마련해 주었고, 이에 많은 후속 연구들이 잇따랐다(Biber, 2006; Biber & Conrad, 2001; Conrad, 2001; Conrad, & Biber, 2001; Helt, 2001; Reppen, 2001). 그러나 지금까지의 대부분의 시도는 주로 문어 장르를 중심으로 한 연구가 많이 행해져 온 것이 사실이다(e.g., Biber & Finegan, 1989, 2001; Conrad, 2001; Jabbour, 1997; Tribble, 1999). 그에 반해 Biber의 코퍼스를 이용한 다차원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구어 장르에 대한 기능적인 분석을 시도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드물다(Connor-Linton & Shohamy, 2001; Helt, 2001).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우리나라 영어 교육현장에서 가장 중요한 교재인 교과서 텍스트에 제시된 구어 장르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교과서의 언어 요소들이 다차원 기능 분석에서 어떠한 분포를 보이는지, 원어민 코퍼스 분석 결과와 비교하여 유사한 기능을 반영하고 있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교과서에서 다양한 장르를 다루고 있다는 점을 감안 해 볼 때, 교과서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장르나 사용역을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나, 최근 교과서들이 학습자들의 구어 능력 신장에 많은 중점을 두고 있으며, 그에 따라 대화 등의 구어 텍스트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진 상황 하에서 볼 때, 문어 텍스트 중심의 분석이 교과서에 대한 제대로 된 기술을 할 수 없다는 점은 자명하다.
    최근 2007년 교육과정의 개정으로 인하여, 2011년까지는 전면적으로 7차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들이 사용되게 된다. 개정교육과정에 따르면, 중등 영어교육의 가장 중요한 총괄 목표는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는 것이다(교육인적자원부, 2006). 이에 본 연구는 교과서가 지향하는 의사소통 능력 신장이라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교과서 구어 언어 요소들과 기능이 잘 분포되고 있는지를 기능 분석을 바탕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즉, Biber(1988)와 Conrad와 Biber(2001)의 다차원 분석 모델에 기초하여 구어 텍스트들이 여섯 개의 텍스트 차원에 있어서 구어 소통 기능(oral communicative functions)을 적절하게 반영하고 있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아울러 기존 연구들처럼 단지 몇 권의 교과서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되고 있는 중학교 교재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분석함으로써 새로이 개정된 교과서에서의 구어 장르에 대한 큰 분석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연구 방법론적인 측면과 교육적인 측면에서 관련 학계에 기여도와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우선 연구 주제와 관련된 연구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보면, 본 연구는 교과서 분석에 있어서 몇몇 개별 언어 요소에 국한되어 또한 편의적으로 선정된 일부 교과서에 한정되어 수행되어 오던 기존 연구들과 다르게 교과서에 사용된 전체 언어에 대하여 언어 분석했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의사소통 기능에 근거한 기능 분석을 체계적으로 어떻게 수행할 것인가에 대한 중요한 분석틀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이는 연구의 범주를 훨씬 증대시켰을 뿐만 아니라 빈도수 산출과 같은 양적 접근 방법에 치중했던 기존 코퍼스 기반 분석 연구들에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합하는 분석 모델을 제시해 줌으로써 교재에 대한 훨씬 폭 넓고 체계적인 평가가 가능하게 해 준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아울러, 기존에 교과서를 하나의 덩어리로 간주하여 장르에 대한 구분 없이 이루어지던 연구와는 달리, 그간 소홀히 해 왔던 구어 장르에 초점을 맞추어 장르 분석을 했다는 점에서 코퍼스가 제시해 줄 수 있는 보다 많은 정보에 대한 접근이 가능해 졌다. 코퍼스 방법론에 의한 기능 분석은 장르/사용역 기반 연구의 체계적인 방법론을 제공해 줌으로써 언어교육에 있어 코퍼스 연구의 중요한 한 단면을 보여 줄 것이다. 이러한 시도들은 앞으로의 후속 연구를 위한 주요한 연구 framework을 제시해 줌으로써 학계에 중요한 공헌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음으로 교육적인 측면에서도 본 연구는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내년은 개정된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제정된 개정 교과서가 모두 출시되어 교육 현장에서 일제히 사용되는 원년이다. 그렇게 볼 때, 이 시점에서 과연 새로이 개정된 교과서가 교육과정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는지, 그리고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고자 하는 그 본연의 목적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는 필수적이라고 할 것이다. 나아가, 교과서가 교육과정을 반영하는 중요한 중간매체라는 점을 감안해 볼 때, 교육과정에 대한 총체적인 평가(holistic evaluation)도 제공해 줄 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개정 교과서에 대한 형성적인 평가(formative evaluation)를 통하여 추후 교과서 개발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본 연구는 교재 평가와 개발에 어떻게 코퍼스 방법론을 접목할 것인가와 나아가 이 결과를 언어 교육에 접목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코퍼스 방법론을 사용하여 새로이 개정된 중학교 영어교과서에 나타난 구어 장르 텍스트들에 대한 기능적 분석을 통하여, 기존 연구에서 밝혀진 여섯 가지 텍스트 차원에 나타난 의사소통 기능이 어떻게 분포되는 가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크게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과서 코퍼스에 쓰인 구어 장르는 어떠한 어휘 패턴 특징(lexical analysis)을 보이는가? 둘째, 교과서 코퍼스에 쓰인 구어 장르는 어떠한 의사소통 기능적 특징(functional analysis)을 보이는가? 셋째, 교과서에 쓰인 구어 장르에 대한 다차원분석(multi-dimensional analysis)은 여섯 가지 기능 차원(six dimensions)에서 어떠한 분포를 나타내는가?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개정 중학교 교과서 전체 내용 중 구어를 대상으로 한다. 이는 교육과정이 실제 생활에 사용가능한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이라는 목표를 많이 강조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구어에 대한 관심이 높은 반면 그동안 이 분야에 대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했던 점을 감안하여, 구어 텍스트에 대해서 교과서 언어가 얼마만큼의 진정성을 담고 있는지에 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중학교를 대상으로 한 이유는 중학교가 고등학교에 비해 시험이라는 제약을 덜 받음으로써 상대적으로 구어 능력에 많은 강조를 하고 있다는 점에서이다. 그리고 대학 수학능력시험을 대비하여 많은 다른 사교육 교재를 겸하고 있는 고등학교에 비해서 중학교 학습 현장에서는 학습자들의 영어 학습에 있어서 교과서가 차지하는 비중과 중요성이 더 높다는 데 있다.
    분석 교과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개정 중학교 교과서 1, 2학년과 내년에 결정될 3학년 19여종을 산정해 볼 때, 총 63여권이 될 것으로 추산되며 이들 교과서 전체가 분석 대상이 된다. 한편, 본 연구의 초점이 구어 텍스트인 관계로 교과서로부터 듣기와 말하기 부분이 주요 연구 대상으로 추출된다. 이 부분들은 주로 대화문으로 이루어지나 듣기에서 담화문으로 이루어진 부분들도 있다. 분석을 위해 우선 교과서의 듣기 말하기 부분이 모두 전사되어 컴퓨터 파일로 저장이 된다. 각각의 텍스트들은 교과서 종, 학년, unit, title, 듣기/말하기 부분 등의 정보를 알아볼 수 있도록 표시가 되어 저장이 된다.
    코퍼스 분석은 크게 두 가지, 즉, 어휘 분석과 기능분석으로 나눠진다. 앞서 제기한 첫 번째 연구문제는 어휘 분석 측면이고, 두 번째와 세 번째는 기능 분석 측면이 된다. 우선 어휘 분석은 흔히 코퍼스 분석이 보여주는 특징이듯이, 교과서에 나타난 어휘의 빈도수, TTR(Type Token ratio) 분석, 키워드분석, 연어 등의 기본적인 어휘와 연어 정보를 제공해 준다. 이 분석을 위하여 콩코던스 프로그램인 WordSmith 5.0이 사용된다. 분석 시에 모든 어휘는 lemma(표제어) 단위로 분석이 된다.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자동적으로 어휘를 산출한 후, 수동 작업을 통하여 확인 작업이 진행된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보다 중요한 목적인 기능 분석은 Biber(1988, 2001)의 다차원 분석 모델을 이용한다. 분석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이 분석을 위하여, 선정된 듣기, 말하기 부분의 텍스트들을 Biber가 나눈 구어 장르 6가지 중 교과서에 해당되지 않는 즉석연설을 제외한 그 외 5가지, 즉, 대화, 전화통화, 인터뷰, 방송(안내), 연설로 분류하는 작업이 진행된다. 모든 텍스트는 하나의 장르로 구분되어 각 장르별 텍스트 파일이 완성된다. 텍스트 장르를 지정한 후에는 언어 요소에 따라 텍스트 tagging(문법 범주 부착) 작업이 수행 된다. tagging은 Biber가 사용한 67개 언어 요소로 분류되어 지정된다. tagging 작업이 마쳐지면 비로소 개별 언어 요소들의 빈도수를 콩코던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산출한다. 이 때 산출된 모든 언어 요소의 빈도수는 1,000 단어를 기준으로 표준화된다. 표준화 작업(normalization)은 분석 텍스트마다 길이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텍스트간의 상호 비교를 위하여 필수적인 과정이다. 이렇게 산출 된 표준화된 빈도수를 가지고, 요인 분석(factor analysis)을 사용하여 여섯 가지 요인에 대한 각 장르의 요인 점수(factor scores)를 산출하게 된다. 다시 말해, 각 텍스트의 요인 점수는 해당 요인과 강하게 연관되는 언어 요소의 빈도수를 합산하여 산출된다. 그러고 나서 모든 장르에 대한 평균 요인 점수가 산출된다. 마지막으로, 각 장르별 산출된 요인 점수에 근거하여, 결과를 해석하고 텍스트의 특징을 규명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단계를 거쳐, 결과적으로 구어 텍스트들이 여섯 가지의 텍스트 차원에 있어서 어떠한 분포를 보이는지, 원어민 코퍼스 분석 결과와 비교하여 구어 기능을 유사하게 반영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게 된다.
  • 한글키워드
  • 코퍼스,다차원 분석,장르,구어
  • 영문키워드
  • Multi-dimensional analysis,Spoken texts,Genre,Corpus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코퍼스 방법론을 사용하여 새로이 개정된 중학교 영어교과서에 나타난 구어 장르 텍스트들에 대한 기능적 분석을 통하여, 기존 연구에서 밝혀진 여섯 가지 텍스트 차원에 나타난 의사소통 기능이 어떻게 분포되는 가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크게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과서 코퍼스에 쓰인 구어 장르는 어떠한 어휘 패턴 특징(lexical analysis)을 보이는가 둘째, 교과서 코퍼스에 쓰인 구어 장르는 어떠한 의사소통 기능적 특징(functional analysis)을 보이는가 셋째, 교과서에 쓰인 구어 장르에 대한 다차원분석(multi-dimensional analysis)은 여섯 가지 기능 차원(six dimensions)에서 어떠한 분포를 나타내는가 본 연구에 사용된 교과서는 현재 교육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7차개정 교육과정 근간 중학교 15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정 승인 결과에 따라 중1 25종, 중2 19종, 중3 15종인데, 중학교 전과정에 걸친 연계성을 고려하여 최종까지 검정을 통과한 15종을 연구 대상으로 삼은 것이며, 이로써 총 45권이 되며 이들 교과서 전체가 분석 대상이 되었다. 코퍼스 분석은 크게 두 가지, 즉, 어휘 분석과 기능분석으로 나뉘어 행해졌다. 앞서 제기한 첫 번째 연구문제는 어휘 분석 측면이고, 두 번째와 세 번째는 기능 분석 측면이 된다. 우선 어휘 분석은 흔히 코퍼스 분석이 보여주는 특징이듯이, 교과서에 나타난 어휘의 빈도수, TTR(Type Token ratio) 분석, 키워드분석, 연어 등의 기본적인 어휘와 연어 정보를 제공해 준다. 이 분석을 위하여 콩코던스 프로그램인 WordSmith 5.0이 사용되었다. 분석 시에 모든 어휘는 lemma(표제어) 단위로 분석이 되었다. 이는 일종의 어휘군(word family) 개념을 도입한 것으로 같은 어휘의 굴절형인 경우 동일 어휘로 간주하는 것이다.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자동적으로 어휘를 산출한 후, 수동 작업을 통하여 확인 작업이 진행되었다. 한편, 산출된 빈도수를 표준화하여, 표준화된 빈도수를 가지고, 요인 분석(factor analysis)을 사용하여 여섯 가지 요인에 대한 각 장르의 요인 점수(factor scores)를 산출하였다. 각 텍스트의 요인 점수는 해당 요인과 강하게 연관되는 언어 요소의 빈도수를 합산하여 산출되었다. 그리고 나서 모든 장르에 대한 평균 요인 점수가 산출되었다. 마지막으로, 각 장르별 산출된 요인 점수에 근거하여, 결과를 해석하고 텍스트의 특징을 규명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단계를 거쳐, 결과적으로 구어 텍스트들이 여섯 가지의 텍스트 차원에 있어서 어떠한 분포를 보이는지, 원어민 코퍼스 분석 결과와 비교하여 구어 기능을 유사하게 반영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교과서 코퍼스에서 나타난 구어 장르가 상당히 제한적으로 드러나고 있으며, 기능적인 측면에서 볼 때도 두 차원에서는 구어의 기능을 내포하고 있으나, 그 이외에서는 구어 장르간의 차별적인 차이를 보여주는 데는 미흡함이 나타났다.
  • 영문
  • Few investigations have attempted to differentiate registers or genres in the analysis of the textbooks. Likewise, there have been few endeavors that seek comprehensive descriptions of textbooks on the basis of functions they represent. But it is consequential in textbook analysis to examine whether the textbooks present appropriate materials to teach communicative functions manifested in their goals. In addition, an examination of one or two textbooks as the unit of analysis does not seem to provide sufficient insights into the current English education, inasmuch as textbooks are a crucial agent of curriculum. In order to attain an extensive survey of textbooks as a curriculum, an examination needs to include a greater number of textbooks, such as a sequence of textbooks by school year in secondary schools. In order to fill the gaps stated above, the present study aimed to conduct a systematic functional analysis of a series of the textbooks by means of corpus insights and techniques. In particular, the primary concern of the proposed study was to evaluate authenticity of the selected textbooks for oral communication, which is presented as written dialogues in the textbooks. Whereas there are a growing number of interests in identifying written genres by use of the corpus approach, few researchers hav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oral genres. The textbooks that particularly aim to enhance learners’ oral communicative ability are expected to include a large portion of conversational texts. In this case, an analysis of textbooks without differentiation between the genres and written-based registers does not seem to provide complete descriptions about the individual genres. The present study, thus, aimed to illuminate characteristics of oral genres and further suggest an analytic framework for the genres by use of the corpus approach. In sum,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mploy the corpus approach to examine how adequately the textbooks represent the actual use of the language in oral genres. Given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proposed: 1. What are lexical dimensions of oral texts presented in Korean secondary school English textbooks Do they represent the actual use of vocabulary in real communication 2. What are stylistic dimensions of oral texts presented in Korean secondary school English textbooks Do they reflect actual "oral" functions in six textual dimensions represented by a set of linguistic features 3. In what ways, do corpus-based descriptive analyses contribute to materials development in EFL contexts In order to answer the questions,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 corpus-based content analysis of the secondary school English textbooks in Korea in order to evaluate authenticity of oral texts. With respect to textbook selection for the analysis, all of the fifteen series of English textbooks available for secondary schools were chosen for the analysis. The corpus-based text analysis consists of two parts: lexical analysis and functional analysis. For the lexical analysis, a concordancing program, WordSmith 5.0, was used to identify lexical dimensions of the school texts, such as frequency and collocate patterns, which was then compared to a major spoken corpus of American English. On the other hand, the functional analysis was based on Biber’s MD model to determine whether the oral texts adequately represent oral communicative functions in his six textual dimens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e oral registers represented in the textbook corpus were limited to mainly face-to-face communication with a small portion of telephone communication. It shows that the textbooks do not represent the variety of genres, thus limiting the development of the learner’s communication competence in various situations. Also the results of the multidimension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oral registers do not necessarily represent the oral functions of the genr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코퍼스 방법론을 사용하여 새로이 개정된 중학교 영어교과서에 나타난 구어 장르 텍스트들에 대한 기능적 분석을 통하여, 기존 연구에서 밝혀진 여섯 가지 텍스트 차원에 나타난 의사소통 기능이 어떻게 분포되는 가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크게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과서 코퍼스에 쓰인 구어 장르는 어떠한 어휘 패턴 특징(lexical analysis)을 보이는가? 둘째, 교과서 코퍼스에 쓰인 구어 장르는 어떠한 의사소통 기능적 특징(functional analysis)을 보이는가? 셋째, 교과서에 쓰인 구어 장르에 대한 다차원분석(multi-dimensional analysis)은 여섯 가지 기능 차원(six dimensions)에서 어떠한 분포를 나타내는가? 본 연구에 사용된 교과서는 현재 교육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7차개정 교육과정 근간 중학교 15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정 승인 결과에 따라 중1 25종, 중2 19종, 중3 15종인데, 중학교 전과정에 걸친 연계성을 고려하여 최종까지 검정을 통과한 15종을 연구 대상으로 삼은 것이며, 이로써 총 45권이 되며 이들 교과서 전체가 분석 대상이 되었다. 코퍼스 분석은 크게 두 가지, 즉, 어휘 분석과 기능분석으로 나뉘어 행해졌다. 앞서 제기한 첫 번째 연구문제는 어휘 분석 측면이고, 두 번째와 세 번째는 기능 분석 측면이 된다. 우선 어휘 분석은 흔히 코퍼스 분석이 보여주는 특징이듯이, 교과서에 나타난 어휘의 빈도수, TTR(Type Token ratio) 분석, 키워드분석, 연어 등의 기본적인 어휘와 연어 정보를 제공해 준다. 이 분석을 위하여 콩코던스 프로그램인 WordSmith 5.0이 사용되었다. 분석 시에 모든 어휘는 lemma(표제어) 단위로 분석이 되었다. 이는 일종의 어휘군(word family) 개념을 도입한 것으로 같은 어휘의 굴절형인 경우 동일 어휘로 간주하는 것이다.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자동적으로 어휘를 산출한 후, 수동 작업을 통하여 확인 작업이 진행되었다. 한편, 산출된 빈도수를 표준화하여, 표준화된 빈도수를 가지고, 요인 분석(factor analysis)을 사용하여 여섯 가지 요인에 대한 각 장르의 요인 점수(factor scores)를 산출하였다. 각 텍스트의 요인 점수는 해당 요인과 강하게 연관되는 언어 요소의 빈도수를 합산하여 산출되었다. 그리고 나서 모든 장르에 대한 평균 요인 점수가 산출되었다. 마지막으로, 각 장르별 산출된 요인 점수에 근거하여, 결과를 해석하고 텍스트의 특징을 규명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단계를 거쳐, 결과적으로 구어 텍스트들이 여섯 가지의 텍스트 차원에 있어서 어떠한 분포를 보이는지, 원어민 코퍼스 분석 결과와 비교하여 구어 기능을 유사하게 반영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교과서 코퍼스에서 나타난 구어 장르가 상당히 제한적으로 드러나고 있으며, 기능적인 측면에서 볼 때도 두 차원에서는 구어의 기능을 내포하고 있으나, 그 이외에서는 구어 장르간의 차별적인 차이를 보여주는 데는 미흡함이 나타났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중요한 매개 도구로 여겨지는 교과서에 초점을 맞춰 특히 7차 개정교육과정 개정안에 맞춰 새로이 개정된 중학교 영어교과서가 의사소통기능 함양이라는 교육 목적에 걸맞게 그 기능을 다하고 있는지를 보기 위하여, 코퍼스 방법론을 사용하여 구어 장르 텍스트들에 대한 기능적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교과서 코퍼스에 나타나는 구어 장르는 82% 가량이 face-to-face communication에 해당하고, 12%가 telephone communication, 그리고 나머지 6%가 interview, broadcast, discourse 등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과서가 듣기와 말하기 기능을 연관시켜 제시되고 있는 것에 기인한 것으로 보이나, 교과서가 아주 제한적인 구어 장르만을 내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아울러, 기능적인 측면에서의 분석 결과는 1차원 2차원에서의 기능은 Biber의 연구에서 보여지는 구어의 특성을 잘 보여주고 있으나, 다른 차원에서 보면 각 장르간의 차별성을 보여주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연구 방법론적인 측면과 교육적인 측면에서 관련 학계에 기여도와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우선 연구 주제와 관련된 연구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보면, 본 연구는 교과서 분석에 있어서 몇몇 개별 언어 요소에 국한되어 또한 편의적으로 선정된 일부 교과서에 한정되어 수행되어 오던 기존 연구들과 다르게 교과서에 사용된 전체 언어에 대하여 언어 분석했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의사소통 기능에 근거한 기능 분석을 체계적으로 어떻게 수행할 것인가에 대한 중요한 분석틀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이는 연구의 범주를 훨씬 증대시켰을 뿐만 아니라 빈도수 산출과 같은 양적 접근 방법에 치중했던 기존 코퍼스 기반 분석 연구들에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합하는 분석 모델을 제시해 줌으로써 교재에 대한 훨씬 폭 넓고 체계적인 평가가 가능하게 해 준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아울러, 기존에 교과서를 하나의 덩어리로 간주하여 장르에 대한 구분 없이 이루어지던 연구와는 달리, 그간 소홀히 해 왔던 구어 장르에 초점을 맞추어 장르 분석을 했다는 점에서 코퍼스가 제시해 줄 수 있는 보다 많은 정보에 대한 접근이 가능해 졌다. 코퍼스 방법론에 의한 기능 분석은 장르/사용역 기반 연구의 체계적인 방법론을 제공해 줌으로써 언어교육에 있어 코퍼스 연구의 중요한 한 단면을 보여 줄 것이다. 이러한 시도들은 앞으로의 후속 연구를 위한 주요한 연구 framework을 제시해 줌으로써 학계에 중요한 공헌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음으로 교육적인 측면에서도 본 연구는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내년은 개정된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제정된 개정 교과서가 모두 출시되어 교육 현장에서 일제히 사용되는 원년이다. 그렇게 볼 때, 이 시점에서 과연 새로이 개정된 교과서가 교육과정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는지, 그리고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고자 하는 그 본연의 목적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는 필수적이라고 할 것이다. 나아가, 교과서가 교육과정을 반영하는 중요한 중간매체라는 점을 감안해 볼 때, 교육과정에 대한 총체적인 평가(holistic evaluation)도 제공해 줄 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개정 교과서에 대한 형성적인 평가(formative evaluation)를 통하여 추후 교과서 개발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본 연구는 교재 평가와 개발에 어떻게 코퍼스 방법론을 접목할 것인가와 나아가 이 결과를 언어 교육에 접목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그간 교과서에 관한 연구는 주로 어휘 분석(권인숙, 2002; 2002; 윤현숙, 2009 등)이나 교육과정의 연계성 부분(유성자, 2007; 천윤희, 2008 등)에 국한되어 이루어져왔다. 교과서가 실제로 현실에서 사용되는 언어를 잘 반영하고 있는가하는 진정성(authenticity)에 관한 문제를 사용역이나 장르 개념에서 텍스트를 분석한 연구는 아직까지 없었던 연구로 본 연구는 앞으로 교과서 개발이나 텍스트 분석에 있어서 많은 시사점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위에 제시된 연구 결과를 수정 보완하여 국내 영어학이나 영어교육 학회지에 게재를 할 예정이다.
  • 색인어
  • multidimensional analysis, secondary English textbook, register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