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탐구 수업에서의 학생들의 참여를 강조한 협력적 소집단 논변활동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0-327-B00553
선정년도 2010 년
연구기간 2 년 (2010년 05월 01일 ~ 2012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김희백
연구수행기관 서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과학은 일반적인 합의보다는 논쟁, 대립, 토의를 통해 발전하며 논변활동은 과학자들의 활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과학을 학습하는 것은 과학 지식이나 내용뿐만 아니라 과학에 대한 이해, 과학을 하는 과정이나 방법에 대한 학습을 포함하기 때문에 과학 지식의 형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논변활동을 과학 교육에 포함시켜야 할 필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논변활동이 과학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인지적 발달 뿐 아니라 구성원들 사이의 상호작용 활성화가 필수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이루어진 많은 연구들은 학생 개인의 논변 능력 향상에 초점을 두었고, 소집단 논변 활동 상황에서 학생들 사이의 협력적 상호작용의 활성화와 관련하여 이에 대한 맥락과 환경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사회적 협력을 통한 정교한 과학적 설명 체계의 구성, 다양한 관점과 창의성의 가치 인식, 의견의 공유와 평가의 중요성 인식 등을 위한 교실환경의 조성이 이루어지도록 학생들의 소집단 논변활동 참여를 촉진시키는 탐구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1차 년도에는 관련 문헌과 탐구수업에서 이루어지는 학생들의 소집단 토론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소집단 토론 속의 논변 요소와 협력적 소집단 논변활동에 필요한 요인들을 확인하고, 이에 근거하여 학생들의 능동적인 참여와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는 협력적 소집단 논변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2차 년도에는 개발된 프로그램을 실제 과학 탐구 수업에 적용하고, 일차적으로 자료 분석을 통해 탐구 상황에 필요한 구체적인 전략을 추가하여 프로그램을 보완한다. 마지막으로 보완된 프로그램을 다시 적용함으로써 인지적, 인식적, 사회적, 정의적 측면에서 그 효과를 검토하고, 학교 과학 수업에 적용 가능한 실질적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탐구 상황에서 논변활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학생들의 참여와 상호작용을 독려하는 협력적 소집단 논변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탐구 수업에서 학생들의 사회적 참여를 촉진시키는데 일차적 목표를 두고 있다. 그리고 학생들이 과학적 담화 속에서 능동적이고 자발적으로 사회적 상호작용에 참여함으로써 과학 지식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고 과학적 탐구에 대한 이해를 올바르게 할 수 있도록 기여하는 것이 본 연구의 최종적인 목표이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탐구학습에서 이루어지는 협력적 소집단 논변활동을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탐색함으로써 교실 수업에서의 관련 요인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과 성공적인 적용에 그 목표를 두고 있으므로, 연구의 결과로 다음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적용 결과로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이해, 과학과 관련된 논변활동 능력의 향상, 비판적 사고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소집단 논변활동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교실 수업에서 동료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과학적 설명을 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일반 학생들의 논변활동 활성화 및 논변 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논변활동은 과학 지식 및 과학 탐구에 대한 이해를 연계지음으로써 학생들의 과학 지식과 과학적 탐구에 대한 올바른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협력적 소집단 논변활동에서 분담 추리와 같은 비판적, 과학적 사고를 통해 논변의 향상 뿐 아니라 학생들의 사고 발달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둘째, 협력적 소집단 논변활동의 개발과 적용은 학생들에게 사회적 상호작용의 기회를 제공하고 이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도록 독려함으로써 책임감, 의사소통 능력과 같은 사회적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생산적이고 협력적인 교실문화 정착에 이바지할 수 있다. 협력적 소집단 논변활동을 통해서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을 구성하여 이를 다른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사회적인 관점에서 봤을 때, 책임감 있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고, 능동적인 사회적 참여를 할 수 있는 민주 시민을 양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과학 탐구 수업에서 학생들의 논변활동이 어떻게 일어나며, 학생들의 논변활동 참여를 어떻게 지원할 수 있을지에 대한 탐색을 질적인 연구 방법으로 수행함으로써 이에 대한 정보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과학 수업에서의 소집단 논변활동에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교육적 지원의 특징을 찾아내고, 참여 발달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함으로써 교실 수업에 대한 이해 향상과 아울러 과학 교수/학습 관련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이론적, 경험적 탐색과 실질적인 모형 개발 및 적용이 함께 이루어짐으로써 논변활동과 관련된 연구들이 이론적인 학문에 머무르지 않고 실제 수업과 연계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넷째, 본 연구는 과학 교육에서 핵심적인 분야로 강조되고 있는 논변활동에 대한 많은 이론적 경험적 연구들을 바탕으로 한 교수법적인 적용을 지원함으로써 탐구 수업을 수행하는 과학 교사들의 수업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과정에 참여하는 대학원생들과 과학 교사들은 지속적인 협력 관계를 유지하면서 소집단 논변활동에 대한 이론적, 경험적 분석과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함으로써 이 분야의 전문가로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며, 이들의 역량은 추후 연구 활성화와 학교 교실수업의 내실화에 기여할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사회적 협력을 통해 정교한 과학적 설명 체계를 구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다양한 관점과 창의성을 가치 있게 여기고 의견의 공유와 평가를 중요시하는 교실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탐구 수업에서 학생들의 소집단 논변활동 참여를 촉진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고자 한다.
    1차 년도에는 문헌 연구를 통한 논변활동에 대한 선행 연구를 분석한다. 논변활동과 관련된 주제를 세부 주제로 나누고 각 연구원들이 중점적으로 분석할 세부 주제를 분담하고 지속적인 내부 논의 과정을 통해서 분석한 문헌을 종합적으로 정리함으로써 많은 문헌을 효과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문헌 분석이 이루어진 후에 탐구 상황에서 소집단 토론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중학교 과학 수업을 10차시 이상 선정하고, 교실 수업 관찰 및 비디오 촬영, 교사 면담, 학생 면담 등의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한다. 과학 탐구 수업의 소집단 토론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논변 요소를 분석하여 학생들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을 인지적, 인식적, 사회적, 정의적 측면으로 나누어 유형화한다. 또한 각 측면을 지원할 수 있는 교수전략과 학생들의 참여를 분석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협력적 소집단 논변활동에 대한 이론적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수정한다. 특정 주제를 선정하여 해당 주제에 대한 탐구 수업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협력적 소집단 논변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2차 년도에는 1차 년도에 개발한 프로그램을 교사 및 학생들의 연구에 참여할 의사가 있는 중학교 1개 학급에 적용한다. 교실 수업 관찰 및 비디오 촬영, 교사 면담, 학생 면담 등의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한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면서 학생들의 사회적 참여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연구자들과 참여 교사가 함께 분석하고 수업에 대해 반성한다. 이를 통해 사회적 참여의 발달을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보완하고, 학생들의 참여를 조력할 수 있는 보다 구체적인 전략을 개발한다. 1차 분석 결과를 반영한 구체화된 프로그램을 같은 학급에 다시 적용하고, 1차 분석에서 보완된 방법으로 학생들의 사회적 참여의 변화와 발달 과정을 분석한다. 또한 각 측면에 대한 지원이 발달에 어떻게 기여하였는지 효과를 분석한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협력적 소집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생들이 과학적 담화 속에서 능동적이고 자발적으로 사회적 상호작용에 참여하도록 지원함으로써 과학 지식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고 과학적 탐구에 대한 이해를 올바르게 할 수 있도록 기여하고자 한다.
  • 한글키워드
  • 학생 참여 ,사회적 상호작용,협력적 소집단 논변활동,탐구 수업,과학 탐구
  • 영문키워드
  • Social interaction,Student engagement ,Scientific inquiry,Inquiry-based science class,Collaborative small group argumentation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과학 교육에서 과학 지식의 형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논변활동(argumentation)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학교 과학 탐구 수업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소집단 토의에서는 주로 지식적 권위가 있는 학생의 의견을 수용하는 식으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어, 진정한 협력적 논변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탐구 수업 중 소집단 논변활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담화의 본성과 협력적 논변활동이 일어날 수 있는 맥락에 대해 질적으로 분석하고, 이러한 요인을 반영하여 과학 수업에서 협력적 논변활동을 조력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1차년도(2010년)에는 논변활동과 관련된 문헌들과 소집단 상호작용 및 참여 문화에 대한 문헌들을 중심으로 정기적인 세미나를 통해 문헌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문헌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협력적 소집단 논변활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일차적으로 개발하였고, 이를 서울 소재 영재원에 다니고 있는 중학교 1학년 학생 32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소집단의 담화를 분석한 결과, 권위적 논변활동과 대화적 논변활동의 두 유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화적 논변에서는 학생들이 개인 논변 간의 차이에 의해 내적 갈등을 보였으며, 이 갈등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동료 간에 개념적, 사회적, 인지적 측면의 지원을 함으로써 논변 발달에 기여하였다. 이 연구는 과제의 특성과 학생의 역할이 논변의 발달에 어떻게 기여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2차년도(2011년)에는 문헌 분석 결과로부터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본적인 원리와 이론적 틀을 도출하고, 수업 주제를 선정하여 학생들이 수행할 논변 과제를 구성하였다. 1차년도 연구 결과와 기존 연구 자료로부터 다차원적인 지원 전략에 대해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중학교 1학년 「식물의 영양」에서 단원 내용에 대한 소집단 논변활동 프로그램을 구조화함으로써 실제 교실 수업에 투입이 가능한 형태로 개발하였다. 이를 적용하여 논변 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과제의 속성과 지원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얻었다. 또한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여 중학교 1학년 「생물의 구성과 다양성」 단원 내용에 대해 소집단 논변활동 과제를 개발하였고, 일반 학교 1개 학급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학생들 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활성화와 개념적 지원에 초점을 두어 개선되었고, 학생들이 자신의 의견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할 수 있도록 논변 평가 단계를 포함하였다. 연구자와 참여 교사가 함께 학생들의 논변 능력과 사회적 상호작용 양상을 분석하고, 각 측면에 대한 지원이 어떻게 기여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2년 동안 수행한 연구 결과들로부터 학교 현장에 적용 가능한 다차원적 지원 전략의 적용 방안을 마련하였고, 이의 적용을 통해 협력적인 논변 활동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영문
  • The importance of argumentation that contributes to scientific knowledge formation has been emphasized in science education and learning. However, students do not seem to make scientific argumentation collaboratively in science classroom. Most of the small group talks are revolved around some students who are high-achievers and their opinion is dominantly accepted without deep reasoning. Therefore, we explored the nature of discourse and the context in which the collaborative small-group argumentation could be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qualitative research, the program for fostering collaborative argumentation in small groups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science classes.
    In the first year (2010), we conducted literature analysis and opened seminars regularly which covered the literature about argumentation activities, small group interaction, and cultural aspect of learning as “participation”. Based on the literature research, we firstly developed the program for collaborative small-group argumentation, then, implemented it to 32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e analysis of small-group discourse, the student's argumentations were categorized into two patterns: dialogic argumentation and authoritative argumentation. In dialogic argumentation, students developed internal conflict context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ir individual arguments, and they negotiated to resolve the difference. In this process, students provided conceptual, social and cognitive support with each other, and as a result, the quality of collective argument was enhanced. This study provided some information about how task-specific features and students’ role c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rgumentation.
    In the second year of the research (2011), grounded on the results of literature analysis, the basic principles and the framework for the program were developed. Also, we selected specific topics and constructed argumentation tasks for students. On the basis of the first year research results and previous other research data, multidimensional teaching strategies were examined to support students’ small-group argumentation and as a result, a structure of small group argumentation program covering 'plant nutrition' was developed, which was targeting middle school students. We learned what task-specific features can facilitate the argumentative activities and how students’ participation was activated, throughout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program in a middle school classroom. Moreover, another program covering 'organization and diversity of living organisms' was developed in which teaching strategies for supporting social interaction and conceptual understanding as well as validating student’s own idea were improved based on the findings from previous researches. Both researchers and a teacher participated in the analysis of the students' argumentative ability and patterns of social interaction, and found how the multi-dimensional support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small-group argumentation. In this two-year study, we prepared the multi-dimensional strategies for practice of small-group argumentation, and found that it is practicable to implement the program for collaborative argumentation in science clas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Ⅰ. 연구 목적 및 방법
    1. 당초 연구의 필요성, 연구 목적 및 목표
    1) 연구의 필요성:
    과학교육에서 논변활동의 필요성 /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한 협력적 논변활동 / 현재 과학 수업과 문제점
    2) 연구 목적 및 목표
    2. 당초 연구의 내용, 범위 및 방법
    1) 1차년도 연구:
    (1) 연구 내용: 협동적 소집단 논변활동에 대한 개념화 및 프로그램 개발
    (2) 연구 방법: 국내외 문헌 분석/ 사례 연구/ 학생들의 사회적 참여를 촉진시킬 수 있는 요인 추출/
    전문가 협의회를 통한 협력적 소집단 논변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검토
    2) 2차년도 연구
    (1) 연구 내용 : 구체적인 프로그램 보완 및 수업 적용을 통한 질적 분석
    (2) 연구 방법 : 1차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 및 보완 작업
    2차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질적 사례 연구
    Ⅱ. 연구 수행 내용 및 결과
    1. 1차년도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1) 문헌 연구
    2) 소집단 논변활동을 위한 다차원 지원 전략 및 분석틀 모색
    3) 사례 연구 : 도입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2. 2차년도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1) 연구 1 : 논변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2) 연구 2 : 논변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통한 지원 전략 정교화
    Ⅲ. 연구결과 활용 방안
    1. 연구결과 활용 방안
    2. 연구 성과
    Ⅳ. 참고문헌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 결과
    1차년도에는 ‘논변의 본성 및 구조’, ‘논변을 촉진시키기 위한 교육적 지원’, ‘논변분석방법’, ‘논변과 인식론과의 관계’, ‘소집단 구성원들의 특성’,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시키는 교육적 지원’, ‘사회적 상호작용의 패턴’, ‘사회적 상호작용의 효과’에 관한 문헌 연구를 통해 협력적 소집단 논변 활동 프로그램 구성과 결과 분석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소집단 논변활동을 위한 다차원 지원 전략 및 분석틀을 모색해서 소집단 논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범 적용하였다. 시범 적용에서 학생들이 보인 권위적 또는 대화적 논변활동의 요인을 분석하고, 다차원 지원 전략을 수정∙보완하였다.
    2차년도에는 중학교 ‘식물의 영양’ 단원에 대한 논변활동 프로그램(12차시)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구성에서 다차원 지원 전략을 적용하였고, 학생들은 소집단 논변활동의 질, 논변 구성 능력, 주장과 증거를 연결하는 추론 능력에서 향상을 보였다. 학생들의 논변 발달 요인으로는 추론적 사고 및 사고 정교화, 다양한 학생들의 참여 유발 등을 찾아내었다. 이 연구를 통해 다차원 지원 전략을 좀 더 정교화시켰다.
    좀 더 정교화된 지원 전략을 적용하여 ‘생물의 구성과 다양성’ 단원에 관한 논변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적용 결과로 과제 특성과 리더 유형에 따라 학생들의 소집단 논변에 차이가 있음을 알아내었다. 이 결과는 인지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의 지원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였다.

    2. 활용 방안
    - 본 연구 결과는 논변활동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및 평가, 논변활동을 위한 교사 교육, 에 필요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학생들의 소집단 과학 논변활동 참여를 지원하는 요인의 파악과 참여 발달 과정의 구체적 이해를 통해 관련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학생들의 협력적인 논변을 촉진함ㅇ느로써 인성과 창의성 발달, 과학의 문화와 과학 공동체의 가치 학습, 과학에 대한 인식과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 색인어
  • 과학적 논변, 협력적 소집단 논변활동, 탐구, 참여, 사회적 상호작용, 인지적 발판, 비판적 사고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