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창의적 미래인재 양성: 역량 및 특성 → 양성 기제 → 육성 체제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한국사회과학연구& #40;SSK& #41;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0-330-B00218
선정년도 2010 년
연구기간 3 년 (2010년 09월 01일 ~ 2013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신종호
연구수행기관 서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오헌석(서울대학교)
김동일(서울대학교)
이신형(서울대학교)
임철일(서울대학교)
주은선(덕성여자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 왜 창의적 미래인재인가?

    미래 사회를 규정하는 방식은 학자들마다 다양해서 후기정보화사회(Glenn & Gordon, 2005), Dream Society(Anderson, Dator, & Tehranian, 2007), High Concept, High Touch 시대(Pink, 2005) 등 각기 다양한 미래 표상이 제시되고 있다. 다가올 미래에 대한 이러한 다양한 정의가 전제하고 있는 사회변화에 대한 공통된 가정은 “불확실성“의 보편화이다. 산업화, 정보화 시대에 가능했던 기술 및 산업발전에 대한 어느 정도의 예측은 불확실성이 높은 사회에서 확률로 존재할 뿐이다. 저명한 컨설턴트이자 철학자인 피터 베일(Peter Vaill)은 사회변화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지속적인 급류“에 비유하고 있다. 한 변화를 파악하자마자 또 다른 변화가 일어나므로 안정적인 상황이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지구촌 경제와 사회 전체에서 진행되고 있는 이러한 급류는 복잡한 체제 내에서 어떤 일이 일어날 것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하더라도 정확한 결과를 예측할 수 없게 만든다.

    불확실성의 보편화, 예측의 확률 시대는 한 사회나 국가, 그리고 개인으로 하여금 새로운 대응방식과 역량을 갖출 것을 요구한다. 정답을 찾으려는 노력 대신 견해의 차이와 다양성, 진리의 불완전성을 인정하고 환경 변화에 적응하고 유연하게 대처하며 더 나아가 변화를 창조하는 역량의 구비가 시대적 요청이 되고 있는 것이다. 다름 아닌 “창의적 미래인재”가 사회의 발전과 변화를 주도하는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때문에 자동화와 산업화 시스템을 통해 경쟁하고 풍요를 구가했던 선진 각국은 이제 미래 사회 변화에 대응하고 변화를 주도하는 창의적 미래 인재를 육성하는 제도와 문화, 교육체제 개혁에 경쟁적으로 매진하고 있다.

    다가오는 미래를 준비하고 만들어 갈 창의적 미래인재를 더 많이 확보하고 육성하는 일은 국민의 삶의 질과 풍요를 책임져야 할 행정국가의 가장 중요한 공적 과제가 되었으며, 이러한 과업은 창의적 미래인재에게 어떤 역량이 갖추어져야 하며, 이들의 특징과 유형은 무엇이고, 성장궤적과 과정은 어떤 기제에 의해 이루어지는지, 또한 이들 인재를 지속적으로 육성할 수 있는 교육체제와 방법을 어떻게 구현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새로운 관점의 탐구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창의적 미래인재의 육성은 시대가 요구하는 인재관의 변화, 어떻게 그런 인재를 육성할 것인가의 인재육성관의 변화를 수반한다. 인재를 바라보는 관점은 시대에 따라 변해왔다. 산업화시대의 자본가와 근로자, 정보화시대의 지식근로자가 당대의 패러다임을 구현한 화신이었다면, 이제 미래 사회는 끊임없는 학습을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창의적 미래인재가 주도하는 사회가 될 것이다. 이러한 창의적 미래인재는 분화되고 전문화된 사회에서 발휘된 개별화되고 분절적인 역량에서 통합적 역량을 갖춘 융합형 인재, 생애 경로에 걸쳐 주도적으로 성장 발전해가는 자기주도적 목적형 인재상을 요구한다. 과거의 인재육성은 개별적인 역량 요소를 중심으로 한 논의가 주류를 이루어 왔으나 창의적 미래인재가 갖추어야 할 역량은 분절적인 요소 중심의 접근에서 탈피하여 복합적이고 총체적인 맥락 속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창의적 미래인재의 역량과 특성, 유형, 성장기제 등을 밝혀 궁극적으로 한국의 미래인재 육성 체제 구현을 위한 설계도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1단계 연구에서는 창의적 미래인재의 역량 모형과 교육 체제를 설계하고자 한다. 2단계 연구에서는 창의적 미래인재의 육성 과정과 기제를 규명하고자 한다. 3단계 연구에서는 창의적 미래인재 육성 체제를 교육 현장에 적용하고, 그 변화 및 결과에 대한 평가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연구과제 1> 창의적 미래인재의 역량 및 교육모형/체제 연구
    연구주제 ① 미래인재의 역량으로서의 창의성 및 생애목표 연구
    연구주제 ② 미래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모형/체제 탐색 연구
    <연구과제 2> 창의적 미래인재의 유형 및 특성에 대한 연구
    연구주제 ① 사회의 성장동력으로서의 창의적 융합인재 연구
    연구주제 ② 잠재력 개발과정으로서의 창의적 소수자 연구

    이상의 두 가지 연구과제와 세부 연구주제를 통해 미래인재가 갖추어야 할 역량을 밝히고 미래인재의 유형과 특성을 고찰함으로써 창의적 미래인재의 역량 모형을 수립하고 미래인재 육성 체제 설계를 위한 기초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1. 연구결과의 학문적․사회적 기여도

    이 연구는 첫째, 창의적 미래인재의 역량에 대한 연구를 선도할 것이다. 대학생들의 창의적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대학의 교수-학습 환경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대학생들의 창의성 증진을 통해서 인재 육성에 기여할 것이다. 또한 대학생들의 창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을 증대시키면서,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을 고려하는 환경을 설계하고, 창의 인재 육성을 위한 교육과정 및 강좌를 개발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둘째, 글로벌 비전을 가진 창의적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생애목표를 내용을 중심으로 미래인재의 역량을 체계적으로 유형화함으로써 학문적으로는 개인이 가진 생애목표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공할 것이다. 또한 체계적인 목표 분류를 통해 우수한 성취를 보이는 인재의 목표 프로파일을 확인하여, 생애목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다. 셋째,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이론적 모형과 지침을 제공할 것이다. 과학기술계와 교육계의 연구 관심사를 접목하여 융합 인재의 성장 모형과 양성 지침을 밝힘으로써 융합 인재 양성을 위한 이론적, 경험적 근거를 축적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넷째, 소수자를 통합하는 창의적 미래인재 육성 논의를 통한 사회통합에 기여할 것이다. 또한 우리나라 마이너리티 창의 인재의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이들을 위한 예산 및 전문 인력 계획 수립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할 것이다.

    2. 차세대 사회과학자 육성 등 인력양성 방안

    이 연구는 첫째, 창의적 미래 인재 양성 전문가 개발에 기여할 것이다. 미래 사회에 요구되는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는데 필요한 관점, 역량, 태도를 지닌 전문가를 양성하는 교육 체제 및 교육 과정의 개편을 시도한다.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학부 및 대학원 수준의 교육과정의 전면적 개편을 위하여 장기적인 계획을 구축 실행한다. 정규 교육과정 이외에도 해당 분야의 전문성 향상을 추구함과 동시에 외국의 수요에 대응하는 교육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한국적인 사회과학의 세계화를 시도하고자 한다. 둘째, 비전 연구의 세계적인 중심으로의 도약에 기여할 것이다. 이 연구는 지속적인 후속연구 및 미래인재양성에 기여하기 위한 ‘목표연구센터(가칭)’ 설립의 기반이 될 것이다. 이를 통해 목표연구의 세계적인 중심이 되어 생애목표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제도 및 프로그램 개발 전문가 육성에 기여할 것이다. 고등교육단계에서 융합형 인재양성에 필요한 교육과정 개발, 전공체제 개편, 융합형 전문가 육성 전략 등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현장에 접목할 수 있는 전문가를 육성하게 될 것이다. 넷째, 마이너리티 인재와 다양성을 포괄하는 글로벌 코리아의 국격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마이너리티 인재의 성장과정에서 한국의 사회․문화적 특수성을 고려하여 글로벌 표준을 뛰어 넘는 한국의 사회과학 역량을 신장시킬 수 있다. 마이너리티 인재가 소수성에 의해 소외되지 않고 그들의 가능성을 평가함으로써 창의적인 사회적 자본과 국격을 높일 것이다.

    3. 연구결과의 교육과의 연계 활용 방안
    이 연구는 창의적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교육
    과정 수립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이 연구는 특히 대학생들의 창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과정으로 개편하고, 교육내용, 교육방법 등에 창의성 증진을 위한 요소들을 적극 포함하는 체계적이고 다양한 대학 강좌를 설계함으로써 대학생들을 위한 창의성 교육에 기여할 것이다. 둘째, 생애목표 개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에 활용될 것이다. 또한 의미 있는 비전을 수립하는 미래인재 육성이라는 측면에서 교육과 연계되어 개인 및 사회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개인적 차원에서는 학생들이 바람직한 생애목표를 세우도록 도와줌으로써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습관의 발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고, 사회적 차원에서는 실제 학교교육과정에 활용됨으로써 사회목표에 대한 보다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융합인재 육성을 위한 대학원 교육과정 수립에 활용될 것이다. 융합 인재의 성장 과정 및 요인에 대한 연구 결과는 우선 이공계의 여러 융합학과 및 대학원 전공의 교육과정과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데 이론적 모형과 실제적인 지침을 제공한다.넷째, 창의적 소수자의 잠재능력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활용될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마이너리티 창의 인재가 가지고 있는 소수성과 창의성을 동시해 고려한 교육 모형을 구축하고 이들을 위한 체계적 지원과 효과적인 지원 프로그램 및 교육적 법안,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 연구요약
  • 이 연구는 미래인재 육성체제를 구현하기 위하여 총 3단계에 걸친 연구계획을 수립하였다.

    1. 장기 목적 달성을 위한 단계별 연구계획

    이 연구는 궁극적으로 미래인재 육성체제를 구현하기 위하여 총 3단계에 걸친 연구계획을 아래 [그림 2]와 같이 수립하였다. 먼저 제1단계(소형)에서는 창의적 미래인재 육성에 관련된 현황 및 실태 파악하고자 한다. 미래인재의 역량 모형 및 교육체제 설계를 목적으로, 미래인재의 역량을 규명하고 미래인재가 갖는 특성과 미래인재의 유형을 밝히고자 한다. 아울러 미래인재 육성 모형 및 교육체제 개발을 위한 기초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1단계 초․중반기에는 미래인재의 역량과 특성, 유형에 관한 연구에 보다 집중하고, 중후반기에는 육성 모형 및 교육체제 개발에 보다 연구팀의 재원을 집중하고자 한다.

    제2단계(중형)에서는 제1단계 연구결과를 토대로 미래인재의 육성 및 발달 과정과 미래인재의 성장에 관련된 개인적․사회적 기제를 파악하고자 한다. 미래인재의 육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심층 분석함으로써 미래인재의 성장 모형을 제시한다. 또한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교육 요구를 분석하고 사회․교육 시스템 요소를 도출하여 이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설계하고자 한다. 이를 기초로 미래인재 육성 모형을 수립하여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정책적․제도적 시사점을 도출한다.

    제3단계(대형)는 궁극적으로 창의적 미래인재 육성 프로그램을 현장에 적용하고, 적용 결과 와 변화에 대한 평가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 단계에는 대규모의 면담과 설문조사뿐만 아니라 현장적용 및 평가연구가 포함된다. 미래인재 육성 프로그램의 적용 결과에 대한 평가를 통해 미래 한국 사회를 설계하는 기틀을 다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교육제도 및 정책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2. 1단계 연구내용 및 연구 방법

    1단계 연구에서는 아래와 같이 두 가지의 연구과제와 세부 연구주제를 설정하였다.

    □ 연구과제 1. 창의적 미래인재의 역량 및 교육모형/체제 연구에 대한 연구

    - 연구주제 ① 창의적 미래인재의 역량으로서의 창의성 및 육성 체제 탐색 연구
    미래인재가 갖추어야 할 역량 중의 하나는 바로 창의성이다. 제1단계 연구에서는 창의적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대학의 교수-학습 환경을 파악하고 관련된 도구 및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 연구주제 ② 창의적 미래인재의 역량으로서의 생애목표 연구
    창의적 미래인재가 갖추어야 할 역량요소로서의 생애목표에 관한 제1단계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비전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생애목표 측정 도구를 개발하고, 생애목표 분류체계를 수립하고자 한다. 또한 도구된 조사도구와 분류체계를 바탕으로 연령의 변화에 따라 사람들의 생애목표가 어떻게 발달하는지 파악하고, 이러한 생애목표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하고자 한다.

    □ 연구과제 2. 창의적 미래인재의 유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연구주제 ① 사회의 성장동력으로서의 창의적 융합인재 연구
    창의적 미래인재의 특성으로서 융합인재에 관한 제1단계 연구에서는 교수급의 융합인재를 대상으로 이들의 융합을 전문성 발달 과정 측면에서 심층 분석하는 한편, 이를 바탕으로 현재 융합 학과 및 전공에 재학 중인 학부 및 대학원생의 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여 이를 타당화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융합형 인재의 특성 모형을 도출하고자 한다.

    - 연구주제 ② 잠재력 개발과정으로서 창의적 소수자 연구
    이 연구에서는 마이너리티 창의 인재 발굴을 위한 특성을 파악하고 평가체제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문헌연구 및 델파이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마이너리티 창의 인재들의 행동 및 성격 특성, 개인적·사회적 환경 특성 등에 기초하여 마이너리티 창의 인재 평가체제를 개발한다. 우리 사회의 실제 특성을 반영한 평가체제가 될 수 있으며, 소외된 인재양성을 위한 선별 도구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다면적으로 창의성을 측정, 평가할 수 있도록 창의적 문제해결력, 성격 및 환경의 세 가지 소검사로 구성된 평가체제를 개발함으로써 배제되기 쉬운 소수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3. 중장기 연구계획

    1단계 연구는 창의적 미래인재의 역량 연구와 특성 및 유형 연구 등 크게 두 가지 연구 과제를 수립하고, 창의적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모형 개발과 교육체제 설계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각 세부 연구주제별로 창의적 미래인재 육성과정 및 기제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창의적 미래인재 육성체제를 실제 현장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평가하는 것을 중장기 연구 목표로 수립하였다.
  • 한글키워드
  • 역량,창의성,창의적 미래인재,미래인재,교육체제,인재육성 체제,인재양성 기제,창의적 소수자(마이너리티),융합인재,생애목표
  • 영문키워드
  • Creative future talent,Competency,Creativity,Convergence talent,Future talent,Education system,Talent development system,Talent development mechanism,Creative minority,Life goal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창의적 미래인재의 역량 모형과 교육 체제를 설계하기 위한 목적으로 3차년에 걸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1)창의적 미래인재의 역량으로서의 창의성 및 육성 체제 탐색 연구, (2)창의적 미래인재의 역량으로서의 목표 연구, (3)잠재력 개발과정으로서의 창의적 소수자 연구, (4)사회의 성장 동력으로서의 창의적 융합인재 연구와 같이 4개의 하위 연구목표를 설정하였다. 세부 연구주제별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성 및 육성 체제 탐색 연구’에서는 창의성 함양을 위해 대학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공과대학의 원격화상강좌를 개발하였고, 이를 위한 교수-학습 환경을 설계하였다.
    둘째, ‘목표 연구’에서는 창의적 미래인재의 역량으로 목표에 주목하고 창의적 인재들의 생애목표의 분류 틀을 개발하고, 이들의 연령이 변화함에 따라 목표 유형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확인하였다. 다양한 개인/사회적 변인이 목표 설정에 미치는 영향 또한 탐색하였다.
    셋째, ‘창의적 소수자 연구’에서는 창의적 소수 인재들의 발달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다양한 개인적/사회적 요인들을 탐색하여 ‘창의적 리질리언스’를 개념화하였다. 추가로 이러한 창의인재들의 판별과 교육적 접근을 위한 평가체제를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창의적 융합인재 연구’에서는 창의적 융합인재의 특성과 성장 과정을 분석하여 융합인재의 특성 모형을 도출하였으며, 이러한 융합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과정의 설계원리 및 작동 기제를 분석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미래인재의 육성 및 발달과 미래인재의 성장에 관련된 개인적․사회적 기제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교육 요구를 분석하고 사회․교육 시스템 요소를 도출하여 이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이를 기초로 미래인재 육성 모형을 수립하여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정책적 및 제도적 시사점을 도출할 계획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창의적 미래인재의 역량 개발 체제 및 교육모형을 보다 명확하게 확인하고, 이를 활용하여 미래인재의 역량 개발을 위한 효율적인 프로그램 및 교육 모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미래인재의 유형 및 특성 연구로서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수립과 창의적 소수자를 위한 체계적 지원 및 정책 수립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영문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over a three-year-period with the goal of designing an education system for and a competency model of creative future leaders. For this purpose, four separate studies were organized; (1) Creativity and development system for creative future leaders’ competency, (2) Creative future leaders’ capacity for goals, (3) Creative minorities as a potential development process, and (4) Convergence of creative talents as a dynamic force/power engine for growth of society.
    In the first study, a videoconferencing was developed to be utilized in the college of engineering to foster creativity, and design the instructional model was designed to support creative problem solving.
    Second, we focused on life goals of creative future leaders as a form of one’s competence in the second study. Thus, a framework was developed for classifying the life goal of creative leaders. By investigating how goal type changes in correlation to how future leaders’ age, the effect of various personal/social variables on goal setting was explored.
    Third, the study for creative minorities explored various personal/social variables that play important roles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creative minorities and conceptualized 'creative resilience'. Additionally, an evaluation system was developed for distinguishing creative leaders and educational approach.
    Finally, in the study for convergence of creative talents,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e convergence of human resources and growth processes. Furthermore, a model of characteristics of creative convergence of human resources was produced. In addition, a principle of curriculum design and operating mechanism was analyzed.
    In the future, we would like to better understand and identify how personal, social mechanisms relate to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future leaders. Future research plans include analyzing the social and educational system factors and developing a training program to nurture the needs of creative future leaders. Based on these premises, we expect to design a model for creative future leader development and present the policies and institutional implicat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rough these researches, the competency model for creative future leaders and education system can be identified more clearly. Based on the model, we expect to develop an effective program and educational model for competency development of future leader. Also, by researching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future leader, we will create curriculum for cultivating the convergence of human resources that contribute to the systematic support and policy making for creative minorit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팀은 창의적 미래인재의 역량과 특성을 밝히고 미래인재들이 역량을 개발해나가는 발달 과정을 분석하여 다양한 영향요인을 알아봄으로써 역량 개발의 기제를 밝히고 궁극적으로 한국의 미래인재의 효율적 육성을 위한 교육 모형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가지고 본 연구팀은 4개의 하위 연구목표를 설정하였으며, 세부 연구주제는 다음과 같다: (1)창의적 미래인재의 역량으로서의 창의성 및 육성 체제 탐색 연구, (2)창의적 미래인재의 역량으로서의 목표 연구, (3)잠재력 개발과정으로서의 창의적 소수자 연구, (4)사회의 성장 동력으로서의 창의적 융합인재 연구.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미래인재가 갖추어야 할 역량으로서의 목표특성 분석과 이들을 창의적 인재로 양성하기 위한 학습환경 체제를 탐색하였고, 소수자들이 창의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사회문화적 교육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와 융합 인재의 특성과 성장 과정 및 핵심역량 요인에 관한 탐색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창의적 미래인재의 역량 개발 체제 및 교육모형을 보다 명확하게 확인하고, 이를 활용하여 미래인재의 역량 개발을 위한 효율적인 프로그램 및 교육 모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미래인재의 유형 및 특성 연구로서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수립과 창의적 소수자를 위한 체계적 지원 및 정책 수립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팀은 창의적 미래인재의 역량 모형과 교육 체제를 설계하고자 4개의 하위 연구목표를 설정하였다: (1)창의적 미래인재의 역량으로서의 창의성 및 육성 체제 탐색 연구, (2)창의적 미래인재의 역량으로서의 목표 연구, (3)잠재력 개발과정으로서의 창의적 소수자 연구, (4)사회의 성장 동력으로서의 창의적 융합인재 연구.
    세부 연구주제별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성 및 육성 체제 탐색 연구’에서는 먼저 창의인재 육성을 위한 대학의 교수-학습 환경 설계의 이론적 및 실천적 가능성을 탐색하였고, 2차년도에서는 상호작용적인 화상강의 운영을 위한 교수체제설계 모형을 개발하고, 스마트러닝 환경을 고려한 대학의 교수-학습 환경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3차년도에서는 창의성 개발을 위한 도구와 시스템을 개발하고, 전체 커리큘럼의 거시적 구조를 제안했다.
    둘째, ‘목표 연구’는 우선 문헌 조사를 통해 생애목표 분류틀 개발과 생애목표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작업을 진행하였고, 다양한 사회적 변인이 생애목표 설정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2차년도에서는 생애목표가 초등학교에서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한 생애목표 발달 연구를 진행하였고, 마지막으로 생애목표 개발을 위한 교육모형을 개념화하고 평가하였다.
    셋째, ‘창의적 소수자 연구’에서는 창의적 소수 인재들의 발달 및 적응 과정에서 중요하고 공통적인 특성을 탐색한 후, 이를 ‘창의적 리질리언스’라는 용어로 개념화하였다. 또한 특수학교 교사의 리질리언스 과정 분석을 통해 실제적 적용을 확인하였다. 3차년도에는 평가체제로서 글로벌 인재 역량 검사(GTI)를 개발함으로 창의적 소수자의 특성 및 적용 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기반을 확립하였다.
    마지막으로, ‘창의적 융합인재 연구’에서 1차년도의 문헌 분석과 심층 면담 결과를 토대로 융합인재의 특성과 성장 과정을 모형화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융합인재 모형을 기반으로 한 설문 도구를 통해 융합인재의 특성 모형을 도출한 후, 3차년도에서는 융합인재의 융합연구 입문과 과정에 관한 연구를 완성하고 융합교육기관의 시스템 구축 및 발전의 역동과 성공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추후 연구에서는 미래인재의 육성 및 발달과 미래인재의 성장에 관련된 개인적 및 사회적 기제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미래인재 육성 모형을 수립하여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정책적 및 제도적 시사점을 도출할 계획이다.

    본 연구를 통해 기대되는 교육적 연계 활용 방안은 다음과 같이 총 네 가지이다.
    첫째, 창의적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교수-학습 환경의 특성을 파악하여, 첨단 테크놀로지 교육을 통해 대학생들의 창의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특히 교육내용 및 방법 등에 창의성 증진을 위한 요소들을 포함하는 체계적이고 다양한 대학 강좌를 설계함으로써 대학생들을 위한 창의성 교육에 기여할 것이다.
    둘째, 의미 있는 비전을 수립하는 미래인재 육성이라는 측면에서 생애목표 개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을 기대해볼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바람직한 생애목표를 세우도록 도와줌으로써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습관의 발달에 기여할 수 있으며, 사회적 차원에서는 사회적으로 공헌하고자 하는 사회목표에 대한 보다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융합 인재의 성장 과정 및 요인에 대한 연구 결과를 통해 융합인재 육성을 위한 교육과정을 수립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공계의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대학원 교육과정과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데 필요한 이론적 모형 및 실제적인 지침을 제공할 것이다.
    넷째, ‘창의적 소수자의 잠재능력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기대해볼 수 있다. 이를 통해 마이너리티 창의인재가 가지고 있는 소수성과 창의성을 동시에 고려한 교육 모형을 제공하고 효과적인 지원 프로그램 및 교육적 법안,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 색인어
  • 창의미래인재교육, 융합교육, 창의공학교육, 창의적 소수자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