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s

연구과제 상세정보

중세의 ‘철학자’ 야코부스 데 두아코와 지성-영혼의 이원성 문제 : 13세기말 지성이론의 쟁점과 전개에 관한 철학사적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 #40;박사후국내연수&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1-354-A00054
선정년도 2011 년
연구기간 1 년 (2011년 07월 01일 ~ 2012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정현석
연구수행기관 연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1970년대 이후 진행된 13세기 중후반 파리대학에서 벌어진 아리스토텔레스 "영혼론"을 둘러싼 논쟁과 관련된 연구는 토마스 아퀴나스와 시제 브라방의 이해에 비약적인 발전으로 이어졌다. 하지만 1270년의 일차 단죄와 토마스 아퀴나스 사망(1274년 3월 7일) 정확히 3년 후인 1277년 3월 7일의 대규모 단죄를 전후하여 파리대학에서 ‘철학자(philosophus)’로 자신들의 정체성을 확인하며 토마스 아퀴나스와 대립했던 파리대학 인문학부 구성원들의 입장에 대한 연구는 토마스의 대적자였던 시제 브라방의 저작들에 대한 연구 성과물 외에는 여전히 드문 편이다. 이에 따라 시제와 보에티우스 다치아 등의 사상가들과 14세기에 “아베로에스주의자의 지존”라 일컬어졌던 존 잔둔 사이에 활동했던 중세의 ‘철학자’들 사이에서 뚜렷하게 드러나는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사상가들 사이의 유기적 관계를 영향사라는 관점에서 파악하는 데에는 아직 이르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 야코부스는 대규모 단죄가 있었던 1277년을 전후하여 활동한 철학자로서 상기한 철학자들과 사상적으로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그에 대한 연구는 소위 ‘아베로에스주의자’로 분류되는 13세기 중후반의 시제와 보에티우스로부터 14세기의 존 잔둔, 그리고 더 나아가 15세기의 피에트로 폼포나치로 이어지는 철학자들 사이의 영향사를 확인하는 데 가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아베로에스의 단일지성론이 단죄를 통해 정식 수업에서의 교육이 금지된 상황에서 시제로부터 존 잔둔사이에 존재하는 약 한 세대에 해당하는 기간 동안 아베로에스가 중세 유럽에서 차지하고 있던 위상을 파악하는 데 야코부스의 저작에 등장하는 논의들이 시사하는 바는 결코 적지 않다. 더 나아가 야코부스의 저작인 "영혼론의 문제들"은 1277년 단죄를 전후하여 출판된 저서라는 면에서 지성단일성 논쟁과 관련하여 아베로에스는 물론 토마스 아퀴나스, 그리고 흔히 ‘라틴 아베로에스주의자’로 불리던 인물(특히 시제 브라방의 사상)들이 당시 학문의 중심지였던 파리대학에서 어떤 위상을 차지하고 있었는지를 확인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이 저작은 당시 교양 학부에서 토마스 아퀴나스가 제시한 철학적 해결책에 대해 교양학부에서 '철학'을 가르치는 교수의 입장을 담고 있다. 아울러 15세기 이후 19세기 르낭에 의해 재발견되기까지 망각되었던 시제 브라방의 위상까지 확인하는 역사적 표본 자료로서도 큰 가치를 갖는다. 왜냐하면 야코부스는 단일지성의 문제 및 인간 영혼과 신체의 관계와 관련하여 아베로에스와 토마스 아퀴나스 모두에게 비판적 거리를 유지하는 한편으로 시제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이 문제에 대한 해명을 시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면에서 야코부스는 시제가 왜 단테의 신곡에서 그의 패배에도 불구하고 그토록 높은 명망을 가진 사상가로 추앙을 받고 있으며 파르마의 안토니우스(Antonius de Parma) 등이 그를 “위대한 시제(Sigerus Magnus)”라고 추앙할 수 있었는지를 이해하는 데 단초를 제공한다. 더 나아가 야코부스의 논의는 1270년 이후 시제가 그에게 큰 부담으로 다가왔던 아베로에스와 비판적 거리를 두면서 토마스 아퀴나스를 공격하는 새로운 전략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이런 면에서 그는 오늘날 소위 '라틴 아베로에스주의자' 혹은 라틴 아베로에스주의의 영향을 받았다고 일컬어지는 중세 및 르네상스 사상가들의 입장을 '아베로에스주의'라는 오늘날까지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남아있는 분류 대신 '시제주의(Sigerism)' 및 '시제주의자(Sigerians)'로 재조명하는 가능성을 모색해 볼 기회를 제공하기도 한다. 특히 “시제주의”의 가능성에 대한 모색은 곧 13세기의 시제, 14세기의 존 잔둔, 그리고 15세기의 피에트로 폼포나치로 이어지는 아베로에스의 영향을 받은 사상가들에 대한 그간 축적된 연구 자료들을 유기적 연관 속에서 재조명하는 데는 물론, 오컴의 윌리엄의 영혼론까지 시제와의 연관성 속에서 재조명할 가능성까지 열 수 있다는 면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이와 같은 의미에서 본 연구는 현대 중세학 연구에서 현재까지 미개척분야로 남아 있는 1277년을 전후한 시기로부터 1310년 존 잔둔이 파리에서 활동하던 시점까지 약 30년에 해당하는 기간 동안 중세 유럽 학문의 중심지였던 파리대학 인문학부 교수들의 지성이론에 대한 연구에 대한 돌파구를 마련하는 차원에서 야코부스 데 두아코를 연구함으로써 이 분야의 연구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기대효과
  • 지난 10여 년간 국내 학자들은 지성단일성 논쟁을 중심으로 중세의 영혼론 혹은 심리철학의 문제는 많은 훌륭한 결과물들이 산출해왔다. 또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중세적 수용에 대한 강상진(12세기)과 박승찬(13세기)의 포괄적 작업과 김율, 유대칠 등에 의해 수행된 요하네스 페캄과 헨리쿠스 데 간다보(Henricus de Gandavo)와 같은 13세기 후반의 사상계의 대표적 인물들에 대한 연구 등 중세 철학의 내용 및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킨 작업들 역시 지속적으로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야코부스에 대한 연구는 최근에 국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아베로에스주의 연구와 더불어 13세기 중세 사상은 물론 중세 전반의 사상의 흐름을 바라보는 국내외의 연구결과물을 발전적 차원에서 재조명할 수 있는 기회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연수 신청 과제에서 수행하게 될 “시제주의”의 가능성에 대한 모색은 기존의 국내 연구와의 연장선에서 아베로에스주의 혹은 극단적 아리스토텔레스주의라 불리는 사상의 성격을 새로운 시선을 통해 접근하는 새로운 전통의 기초를 수입한 문제의식을 통해서가 아니라 국내에서 형성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분야에서 가장 앞서나가는 전통을 마련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또한 아리스토텔레스 및 고대의 신플라톤주의적 전통이 유럽의 역사 속에서 수용되는 양상을 르네상스와 데카르트의 시대까지 이어지는 문제 및 개념들을 중심으로 확인하는 데 야코부스의 '영혼론의 문제들'은 큰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데카르트가 그에게 쏟아진 심신 이원론적 태도에 대한 질문에 대해 인간 존재의 통일성을 거론하는 과정에서 정신과 신체의 긴밀한 관계를 “내가 고통을 느끼며 내가 느낀다는 것을 나는 안다”라는 답을 통해 표현한 것과 고통과 같은 감각적인 경험은 긍정하되 지적인 사유에 대한 ‘경험’은 불가능하다고 말하는 야코부스의 자기 인식의 이해방식을 비교하면서 중세적 자기인식과 근대적 자기인식, 그리고 중세의 ‘경험’에 대한 이해와 근대의 그것을 비교하며 두 시대를 가르는 문제의식을 비교하는 연구를 위한 밑바탕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토마스 아퀴나스의 심리철학에 대한 현대적 연구의 본격적인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는 1970년대 에두아르 앙리 베베르(Edouard-Henri Wéber)와 바잔의 논쟁과 이를 비판적으로 검토한 여러 연구들, 예컨대 1990년대와 2000년대 이재경과 이경재, 헥토르 자갈(Hector Zagal) 등의 여러 연구 작업들을 야코부스라는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재조명함으로써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야코부스의 토마스 아퀴나스 비판은 이재경이 제기한 지성-신체의 이원론 문제(intellect-body problem)의 중세적 원형에 해당하는 작업으로 볼 수 있다. 이런 면에서 야코부스의 저작은 그 동안 이 문제를 "족보 없는 문제의식"에 따른 비판을 위한 비판 정도로 치부했던 바잔과 같은 주류 해석자들의 입장에 대해 이 문제가 역사적인 전통과 의미를 가진 문제임을 밝히는 소중한 자료이다. 동시에 오늘날 현대 중세연구자들이 앞 다투어 연구결과물들을 발표하고 있는 중세의 마음-영혼의 문제(mind-soul problem) 혹은 (intellect-soul problem)에서 토마스 아퀴나스의 사상 자체에 대한 재조명 역시 가능할 것이다.
  • 연구요약
  • 중세의 철학적 지성이론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혼론’이 라틴어 번역본과 이에 대한 고대와 무슬림 철학자들의 주석서들이 유입되면서 본격적인 철학적 주제로 부각되기 시작한다. 현재까지도 아리스토텔레스 연구자들 사이에서 ‘영혼론’ 3권에 등장하는 지성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논의는 가장 난해한 문제로 남아 있다. 중세인들에게 역시 이 문제는 쉽게 풀리지 않는 문제였다. 특히 아우구스티누스를 따라 견지하고 있던 플라톤 전통의 인간 영혼 이해와 아리스토텔레스의 지성에 대한 언급은 쉽게 조화를 이루기 어려운 성격의 것이었다. 이에 따라 13세기 사상가들은 아랍의 주석가들을 참조하였는데 그 중 가장 권위가 높았던 12세기 아랍철학자 아베로에스는 사실상 그들이 지향하는 것과는 다른 입장을 드러내고 있었다. 이에 따라 토마스 아퀴나스는 아베로에스의 입장을 논박하며 이 문제를 해결하려 했지만 그가 내놓은 해결책은 브라방의 시제의 도전을 받게 된다. 이 둘 간의 치열한 논쟁은 두 사상가의 죽음으로 인해 끝이 났지만 시제를 계승한 야코부스는 아베로에스와 비판적 거리를 두는 한편으로 토마스의 입장까지도 비판의 대상으로 삼는다. 본 연구는 “우유(偶有)는 그것의 기체보다 더 추상적<인 것>일 수 없다. 이는 곧 우유가 실체에 앞선다고 말하는 것이다”라는 야코부스의 ‘영혼론의 문제들’에 등장하는 토마스 아퀴나스 비판의 핵심을 이루는 공리를 중심으로 13세기 중세 지성이론의 쟁점이 수렴하는 지점인 중세 지성과 영혼의 이원성 문제를 조명한다. 이를 통해 시제와 야코부스 사이의 영향관계를 밝힘으로써 현재까지 진지하게 거론되지 않았던 “중세의 시제주의(Medieval Sigerism)”의 가능성과 그의 철학함의 전략을 밝히는 동시에 “'이 개별적 인간이 이해한다는 것'을 우리는 경험한다(experimur)”라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표현을 패러디(parody)하여 지성의 비물질적 본성상 그것의 작용을 영혼과 신체의 결합의 작용인 감각에 한정되는 경험함(experiri)으로 파악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그래서 토마스와 정반대되는 결론을 끌어낸 야코부스의 철학적 전략을 조명한다. 아울러 야코부스의 논의가 이후 토마스 윌튼(Thomas Wylton), 존 잔둔 등과 같은 소위 아베로에스주의자들은 물론 윌리엄 오캄(William of Ockham)을 넘어서 15세기의 폼포나치 같은 사상가들의 지성이론과 그들의 토마스 아퀴나스에 대한 비판적 입장에 어떤 영향을 행사했는 지를 후대 사상가들이 사용하는 원리와 논의들을 야코부스의 것과 비교하면서 확인하고 이에 대한 철학사적 평가를 시도한다.
  • 한글키워드
  • 중세철학,1277년 단죄,13세기,라틴 아베로에스주의,시제 브라방,지성이론,아리스토텔레스,야코부스 데 두아코,토마스 아퀴나스,지성-영혼의 이원론
  • 영문키워드
  • Latin Averroism,Siger of Brabant,Aristotle,Thomas de Aquino,Medieval Philosophy,Thirteenth Century,James of Douai,Theory of intellect,Intellect-Body Problem,Condemnation of 1277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야코부스의 지성이론은 시제 브라방과 대립했던 토마스 아퀴나스의 지성이론에 대한 비판적 입장을 드러내고 있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인간의 지적 활동을 가능케 하는 원리인 지성이 인간 및 인간의 신체 안에 내적 원리로서 실체적으로 결합하되 그 능력을 발휘하는 차원에서는 인간 및 신체와 무관하므로 인간 및 인간 신체와 결합된 양상을 보이지 않는다고 이해한다. 이와 같은 자신의 입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토마스 아퀴나스는 영혼:지성=전체:부분=본질:능력=실체:우유 구도를 논한다. 야코부스의 지성이론은 이와 같이 전개한 토마스 아퀴나스의 지성이론에 대한 동시대인의 비판적 시선을 담고 있다. 야코부스는 아우구스티누스와 같은 기독교 세계 최고의 권위를 동원하여 시제가 토마스 아퀴나스를 공격할 때 활용했던 비판적 논의의 핵심에 거하는 “능력은 그 실체보다 더 단순할 수 없다”는 공리를 “우유는 그 주체보다 더 단순할 수 없다”라는 공리로 변형하여 시제의 연장선 상에서 하지만, 더 극단적이며 파괴적인 비판적 논의를 전개한다. 그래서 그는 지성이 토마스의 말대로 지성이 인간의 지적활동을 가능케하는 내적인 원리라면 이것이 작용상으로도 분리될 까닭이 없다는 논의를 전개한다. 이 과정에서 야코부스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입장이 지성의 작용을 분리된 것으로 본다는 의미에서 실질적으로 그의 이론이 토마스 아퀴나스가 평생을 두고 비판했던 아베로에스의 단일지성론과 다를 바 없으며 그의 의도와는 달리 지성-영혼 혹은 지성-신체의 이원론적 분립으로 이어지고 결국 인간이 수행하는 지적활동의 내적 원리로 지성을 이해할 길을 가로 막는다고 파악한다. 이와 같이 토마스 아퀴나스의 이론의 문제점을 확인한 뒤 야코부스는 “우리가 지성의 작용을 경험한다”라는 경험적 사태로부터 인간의 신체에 대한 지성의 존재론적 내속은 물론 그 작용의 내속까지 논함으로써 그가 파악하는 바 13세기 지성이론의 문제, 즉 지성-영혼 혹은 지성-신체의 이원론의 문제를 해소하려 한다.
  • 영문
  • La théorie de l'intellect de Jacques de Douai, un auteur très peu connu et un fort contemporain de Siger de Brabant, nous fournit d’un témoin critique très intéressant sur la position noétique de Thomas d’Aquin. Les arguments critiques de Jacques à l’encontre de Thomas sur le problème de l'intellect se consistent à détruire d’une manière philosophique la fameuse formule thomasienne de “âme : intellect = totalité : partie = essence(ou substance) : faculté = sujet : accident” sur laquelle le docteur dominicain a construit sa propre théorie de l’intellect qui est uni au corps d'après sa substance et en est séparé selon son opération. Notre artisan picardien essaie de nous montrer que cette position de Thomas, en particulière la prétention thomasienne que l'intellect est uni au corps à titre de forme substantielle, mais en est séparé dans la mesure où l'intellect est le principe qui permet l'homme de faire des opérations immatérielle ne peut pas être soutenue de manière philosophique. Le noyau de l’argument jacobin contre Thomas est que la position du Docteur angélique ne peut pas être soutenue car cette séparabilité proposée se contredit aux adages philosophiques “agere sequitur esse” et “accidens non potest esse abstractior quam suum subiectum”, un adage adopté de Jacques qui est un mélange chimique du Liber de causis et Augustin. Et à la fin, Jacques va jusqu'à assimiler la position thomasienne à celle averroïste car il conçois que cette séparabilité proposée par Thomas implique d'une manière ou d'une autre une séparation ontologique de l’intellect à l'égard du corps si bien que cet intellect ne peut pas être conçu comme étant le principe intrinsèque de l'être humain. Ayant ainsi polémisé la position de Thomas, notre artisan picardien propose une solution philosophique qui consiste à dire que, conformément à notre expérience bien évidente que “nous intelligeons”, l’intellect n’est pas séparé du corps non seulement de sa substance mais aussi de son opération. C'est ainsi qu'il nous fait voir que l'intellect est un principe intrinsèque de l'homme de point de vue non seulement de sa substance mais aussi de son opér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야코부스의 지성이론은 시제 브라방과 대립했던 토마스 아퀴나스의 지성이론의 핵심, 즉 지성의 존재론적 결합과 작용적 분리 및 이를 뒷받침하는 영혼:지성=전체:부분=본질:능력=실체:우유 구도를 바라보는 동시대인의 비판적 시선을 반영하고 있다. 특히 야코부스는 아우구스티누스와 같은 기독교 세계 최고의 권위를 동원하여 시제가 토마스 아퀴나스를 공격할 때 활용했던 “능력은 그 실체보다 더 단순할 수 없다”는 공리를 “우유는 그 주체보다 더 단순할 수 없다”라는 공리로 변형하여 시제의 연장선 상에서 하지만, 더 극단적이며 파괴적인 비판적 논의를 전개한다. 이 과정에서 야코부스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입장이 지성의 작용을 분리된 것으로 본다는 의미에서 실질적으로 그의 이론이 아베로에스의 단일지성론과 다를 바 없으며 천사적 박사의 의도와는 달리 지성-영혼 혹은 지성-신체의 이원론적 분립으로 이어진다고 파악한다. 그래서 그는 “우리가 지성의 작용을 경험한다”라는 경험적 사태로부터 인간의 신체에 대한 지성의 존재론적 내속은 물론 그 작용의 내속까지 논함으로써 그가 파악하는 바 13세기 지성이론의 문제, 즉 지성-영혼 혹은 지성-신체의 이원론의 문제를 해소하려 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가. 자료집
    본 연구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철저한 문헌연구에 기초했다는 점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연수 과정에서 대한 논문을 작성했을 뿐만 아니라 중장기적인 차원에서 시제 브라방을 비롯한 주요 사상가들의 핵심 문헌에 대한 번역과 주해작업을 병행하게 될 것이다. 특히 연구자는 분도출판사와의 계약을 통해 시제 브라방의 첫 저작이자 󰡔영혼론 제3권의 문제들󰡕을 중세문헌총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번역 중에 있으며 야코부스의 저작의 경우 기 굴덴톱스의 새로운 비평본의 출판과 함께 이를 번역하고 주해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그리고 현재까지 논문 작성 및 연구 과정에서 번역 및 주해를 행한 자료들을 편집함으로써 중장기적 관점에서 수업시 교보재로 활용하고 더 나아가 교육 현장에서 얻은 피드백을 통해 더욱 수정 보완하여 문헌 모음집의 형태로 출판하는 중장기 계획을 연구 기획 단계부터 세우고 있었다. 이렇게 시제의 작품과 야코부스의 작품을 비롯하여 13세기 파리대학 인문학부 및 신학부 교수들의 작품들에 대한 일종의 문헌 모음집을 출판할 경우 이 책자는 중세철학은 물론 고대 철학과 근대철학을 막론하고 인간의 정신의 문제를 철학사적 차원에서 다루는 모든 강좌에서 유용한 교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나. 강의 교안과 과목 개발
    본 연구자는 현재는 물론 앞으로도 교육현장에서 활동할 것을 염두에 두고 있다. 본 연구자가 교육 현장에서 담당했고 또 담당하게 될 여러 강좌들의 성격들을 볼 때 지성이론 및 영혼론은 학생들이 철학에 입문한 이후 문제사를 중심으로 심화학습을 할 때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이 점을 고려할 때 학생들의 철학사 이해를 돕는 강좌에서 더욱 잘 갖춰진 탄탄한 전공 및 심화학습 강의교안을 개발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 연구로부터 잠재적으로 파생될 수 있는 여러 개별 분과적 주제들, 예컨대 인간학과 형이상학과 같은 철학의 영역으로부터 신앙과 이성의 관계 등을 학생들의 관심사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통해 접점을 찾을 경우 다양하고 창의적인 교양과목의 개발도 가능할 것이다.
  • 색인어
  • 지성, 영혼, 실체적 형상, 야코부스 데 두아코, 시제 브라방, 토마스 아퀴나스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