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s

연구과제 상세정보

천주가사의 음악적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_시간강사& #40;인문사회&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1-35C-G00030
선정년도 2011 년
연구기간 1 년 (2011년 09월 01일 ~ 2012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강영애
연구수행기관 한양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천주가사는 서양의 종교인 가톨릭이 18C 한국에 정착하면서 겪게 되는 문화충돌을 노래와 문학이란 표현으로 해결하였다. 선현들의 지혜를 살피고, 기존에 연구된 자료들을 비교 분석하여 복잡미묘한 현실생활에 반영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현대인들이 애창할 수 있는 노래로 보급 발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기대효과
  • 천주가사에서 나타나는 외래문화의 수용과정, 민중의 단결력, 극한상황에서의 인내력 등은 다문화사회를 살고있는 현대인들에게 꼭 필요한 정서이자 문화이다. 선행연구된 많은 자료들과 새롭게 채록된 자료들을 다듬어 보급한다면 우리민족에 대한 정체성과 자주성을 알림은 물론, 21C 지구촌시대를 이끌어가는 주역들에게 올바른 인성과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 연구요약
  • 전국 각지에서 발굴된 천주가사는 민속악에서 처럼 각 지역의 특징을 반영한 노래도 있지만, 서울 경기지역의 특징을 나타내는 것이 많다. 이는 개인에 의해 창작된 천주가사가 교우들의 신심과 교리실천을 위하여 다수에게 불려지거나 그 당시의 사회상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선현들은 조선시대의 사회상과 천주교의 교리를 위반하지 않는 범위에서 가장 최상의 방법인 노래문화를 형성하였고, 우리의 민족성을 토대로 변화 발전시켜나갔다. 천주가사에서 나타나는 민족성은 다양한 소재의 노래 부르기를 좋아하며, 극한 상황을 이겨내는 은근과 끈기가 있고, 편안함과 안정감을 주는 반복성이 나타난다.
  • 한글키워드
  • 천주가사,민속악,삼세대의,사향가
  • 영문키워드
  • chunjugasa,sahyangga,korean folk song,samsedaeue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천주가사는 천주라는 서학사상의 핵심어와 전통적 문학 장르인 가사라는 말이 융합된 합성어이다. 교우들의 신심과 교리실천을 강조하기 위한 목적으로 탄생되어, 천주교의 포교를 위해 활용되었다. 선현들은 조선시대의 사회상과 천주교의 교리를 위반하지 않는 범위에서 가장 최상의 방법인 노래문화를 형성하였고, 우리의 민족성을 토대로 변화 발전시켜나갔다.
    본고에서 살펴 본 천주가사는 1886년을 경계로 제1기와 제2기로 구분한 23종 40곡이다.
    제1기에 속하는 곡은 <천당노래>, <천주공경가>, <삼세대의>, <사향가> 4종이며, 제작 시기를 알 수 없는 <주일가>, <복자현양가>, <이별가>, <자탄가>, <진복팔단> 등을 합친 19종은 제2기에서 살펴보았다.
    음악적인 특징은 정악이 22곡, 민요가 8곡, 시편성가가 6곡, 창가가 4곡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특징은 구성음, 리듬, 선율진행, 종지음 등이 서로 혼재하지만, 정악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는 개인에 의해 창작된 천주가사가 교리실천을 위하여 다수에게 불려 지거나 교우들의 신심에 기반을 두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제작시기나 제작자, 채집지역에 따라 음악의 특징이 결정되지 않고, 가창자에 따라 구별된다. 즉, 1930년대 박제원의 작품으로 알려진 <통회사>, <사말추론가>, <소경자탄가>의 3종에서는 박엄정에 의한 <통회사>, <사말추론가2>와 서선이에 의한 <사말추론가1>, <소경자탄가>가 구별되는 것이다.
    천주가사는 가창자의 선호도에 의해 전통적인 요소와 외래 음악적인 요소가 취사선택되고 개개인의 음악성에 따라 구별되고 있다. 이는 한국의 전통과 서양의 종교가 융합되는 과정에서 생산된 천주가사만의 고유성으로 볼 수 있다.

  • 영문
  • Catholic verse is a compound word of Catholic (Lord of Heaven), a core term of Western Learning and verse, a traditional literary genre. It is introduced to stress faith and creed practice of the believer and also used for propagandizing the Catholic Church. Our ancestors formed a song culture which is the best method reflecting the social feature of Joseon to the extent in not breaching the decree of the Catholic Church and developed based on our nationality.
    This study examined and sorted 40 verses in 23 kinds of Catholic Verse in two stages before and after 1886.
    The verses in the stage 1 is 4 including <Cheondangnorae>, <Cheonjugonggyeongga>, <Samsedaeui>, <Sahyangga> and The composition time of <Juilga>, <Bokjahyeonyangga>, <Ibyeolga>, <Jatanga> and <Jinbokpaldan> is unknown and the other 19 belongs to the stage 2.
    Songs by a singer had almost a similar feature. For example, Seo Seon Yi had all Jeongak music structure in her <Samalchuronga1>, <Sogyeongjatanga>, and <Sipgaetaryeong>. On the other hand, Park Eom Jeong had all features of psalm songs at <Munhakgeonhakga>, <Tonghoisa> and <Samalchuronga2>. As such Catholic verse demonstrates uniqueness by adopting partly traditional feature and foreign musical feature according to preference of singer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천주가사는 천주라는 서학사상의 핵심어와 전통적 문학 장르인 가사라는 말이 융합된 합성어이다. 교우들의 신심과 교리실천을 강조하기 위한 목적으로 탄생되어 천주교의 포교를 위해 활용되었다. 선현들은 조선시대의 사회상과 천주교의 교리를 위반하지 않는 범위에서 가장 최상의 방법인 노래문화를 형성하였고, 우리의 민족성을 토대로 변화 발전시켜나갔다. 본고에서 살펴 본 천주가사는 1886년을 경계로 제1기와 제2기로 구분한 23종 40곡이다. 제1기에 속하는 곡은 <천당노래>, <천주공경가>, <삼세대의>, <사향가> 4종이며, 제작시기를 알 수 없는 <주일가>, <복자현양가>, <이별가>, <자탄가> 등을 합친 19종은 제2기에서 살펴보았다.
    음악적인 특징은 정악이 22곡, 민요가 8곡, 시편성가가 6곡, 창가가 4곡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특징은 구성음, 리듬, 선율진행, 종지음 등이 서로 혼재하지만, 정악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는 개인에 의해 창작된 천주가사가 교리 실천을 위하여 다수에게 불려지거나 교우들의 신심에 기반을 두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제작시기나 제작자, 채집지역에 따라 음악의 특징이 구별되지않고, 가창자에 따라 차별화를 이룬다. 즉, 1930년대 박제원의 작품으로 알려진 <통회사>, <사말추론가>, <소경자탄가>의 3종에서는 박업정에 의한 <통회사>, <사말추론가2>와 서선이에 의한 <사말추론가1>, <소경자탄가>가 구별되는 것이다. 한 가창자에 의한 노래는 거의 동일한 특징이 나타나는데, 서선이는 <사말추론가1>, <소경자탄가>, <십계타령(서)>에서 모두 정악의 음조직을 보이고, 박업정은 <문답권학가>, <통회사>, <사말추론가2>에서 모두 시편성가의 특징을 보인다.
    천주가사는 가창자의 선호도에 의해 전통적인 요소와 외래음악적인 요소가 취사선택되고 개개인의 음악성에 따라 구별되고 있다. 이는 한국의 전통과 서양의 종교가 융합되는 과정에서 생산된 천주가사만의 고유성으로 볼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천주사상과 가사문학의 합성어인 천주가사는 박해시기가 끝난 1886년을 경계로 제1기와 제2기로 구분된다. 본고에서 살펴본 천주가사의 음악적인 특징은 제작시기, 제작자, 채집지역, 가창자로 구분된 23종 40곡에서 나타난 내용이다.
    1. 제1기에 속하는 곡은 <천당노래>, <천주공경가>, <삼세대의>, <사향가> 4종이며, <이신부이별가>, <사랑가>, <문답권학가>, <통회사>, <사말추론가>, <소경자탄가> 등 12종은 제2기에 속한다. <주일가>, <신덕가> 등 7종의 제작시기는 알 수 없지만 제2기에서 살펴보았다.
    2. 음악적인 특징은 정악이 22곡, 민요가 8곡, 시편성가가 6곡, 창가가 4곡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특징은 구성음, 리듬, 선율진행, 종지음 등이 서로 혼재하지만, 정악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는 개인에 의해 창작된 천주가사가 교리실천을 위하여 다수에게 불려지거나 교우들의 신심에 기반을 두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3. 박자단위는 3소박이 21곡으로 가장 많고, 2소박이 11곡, 균등박이 6곡, 혼합박이 2곡이다. 균등박의 6곡은 <통회사>, <문답권학가>, <진복팔단>, <사말추론가1>, <사말의노래1>, <사말의노래2>이다.
    4. 제작시기나 제작자, 채집지역에 따라 음악의 특징이 구별되지 않고, 가창자에 따라 차별화된다. 1930년대 박제원의 작품으로 알려진 <통회사>, <사말추론가>, <소경자탄가>의 3종에서는 가창자에 따라 박엄정과 서선이의 특징이 구별된다.
    5. 한 가창자에 의한 노래는 거의 동일한 특징이 나타난다. 서선이의 3곡은 모두 정악의 음조직을 보이고, 박엄정의 3곡은 시편성가의 특징을 보인다. 조중환의 3곡은 정악의 음조직에 도약진행과 순차진행이 혼용되고, 박기석의 3곡은 평조와 계면조로 된 정악의 특징을 보인다.
    6. 한 곡에 예외를 보이는 가창자에는 이수례와 김봉선자매가 있다. 이수례는 제1기의 작품에서는 정악의 특징을 보이지만, 2기의 작품인 3곡에서는 창가의 특징을 보인다. 김봉선자매는 2곡에서는 정악의 특징을, 1곡에서는 민요의 특징을 보인다.
    7. 천주가사의 음역은 옥타브 이내가 32곡이며, 옥타브가 넘는 곡은 8곡이다.
    천주가사는 가창자의 선호도에 의해 전통적인 요소와 외래음악적인 요소가 취사선택되고 개개인의 음악성에 따라 구별되고있다. 이는 한국의 전통과 서양의 종교가 융합되는 과정에서 생산된 천주가사만의 고유성으로 보인다.
  • 색인어
  • 천주가사, 균등박, 정악, 그레고리오성가, 창가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