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사회성 발달 과정 비교: 사회통합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공동연구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1-32A-B00172
선정년도 2011 년
연구기간 3 년 (2011년 05월 01일 ~ 2014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윤경희
연구수행기관 경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김재철(한남대학교)
김인규(전주대학교)
여태철(경인교육대학교)
임은미(전북대학교)
임진영(청주교육대학교)
하혜숙(전주대학교)
황매향(경인교육대학교)
김지현(홍익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진은 사회통합을 향한 여러 노력들이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다문화가정 아동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려는 노력이 좀 더 근본적으로 행해져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고,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성 발달 과정을 탐구하고자 한다.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이 의사소통을 통해 본격적으로 상호작용을 시작하는 가장 빠른 시기가 바로 유치원 또는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이므로 이 시기에 어떤 과정으로 사회성의 발달이 이루어지는지,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사회성 발달과정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본 연구의 일차적인 목적으로 한다.
    지금까지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관하여는 수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지만, 그 연구들을 다문화 사회의 사회통합을 위한 기초자료로 삼기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는 점에서 이 연구를 구상하게 되었다. 첫째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관한 연구를 찾기 어렵기 때문이다. 둘째는 이 시대 아동들의 사회성 발달과정을 종단적으로 살펴본 연구를 찾아보기 어렵다는 것이다.셋째,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다문화가정 아동 대상의 많은 연구들이 다문화가정 자녀들은 일반가정 아동들보다 어렵고 힘들고 불리한 위치에서 부적응과 학습부진 등을 겪고 있는 것으로 결론내리고 있으나(김경자, 2008; 서현, 이승희, 2007; 오성배, 2007; 임해경, 2004; 최승희, 2006), 이와 반대되는 연구결과도 보고되고 있으며(이윤호, 2009), 다문화가정 아동 중에는 초기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성취와 발전을 향해 나가는 아동도 있음을 밝히는 연구(한정애, 2009)도 있는 등 관련 연구의 결론을 수렴시키기 어렵다는 점이다.넷째, 현재까지 이루어진 다문화가정의 통합방안 연구는 주로 결혼이주여성의 적응 및 사회통합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한 것이었으며(김형균, 이주연, 2006), 다문화 2세대인 아동기 자녀들을 대상으로 사회통합에 필요한 인성적 덕목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이들을 육성하기 위한 교육활동으로는 어떤 것이 적합할 지, 사회통합을 저해하는 특징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이들을 조절할 수 있는 힘을 길러주기 위해서는 어떤 교육활동이 적절할지를 다룬 연구들은 찾아볼 수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사회성 발달 과정을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을 통해 종단적으로 비교하고, 아울러 아동기의 사회성 발달과정에서 사회통합을 위한 기본 요소를 추출하기 위해 주의를 기울여야 할 교육적인 요인들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아동의 사회성 발달을 위한 통합교육 프로그램을 실험적으로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각각 밝히고자 한다.
    1)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사회성 발달 과정은 어떠한가?
    2)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사회성 발달 과정에 나타나는 부모-아동 상호작용은 어떠한가?
    3)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관여하는 부모-아동 상호작용의 특징은 무엇인가?
    4) 사회성 발달을 위한 통합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
    5) 사회성 발달을 위한 통합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아동과 다문화 아동의 사회성 발달을 종단적 방법으로 측정․비교함으로써 아동의 개인 내 변화와 개인차이 또는 유사성을 직접적으로 규명하여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양적 분석 뿐만 아니라 개별 사례 연구를 통하여 아동의 사회성이 어떠한 단계를 거쳐서 점진적으로 생성되고 변화되는지를 교사와 부모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아동 발달 연구와 관련된 후속연구들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우리나라 아동과 다문화 아동의 비교 연구 결과는 절대적으로 부족한 다문화 아동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이를 통하여 다문화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대한 기초 연구의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되며 추후 아동 발달에 대한 학제간 연구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또한 우리나라 아동과 다문화 아동의 사회성 발달과 관련된 요인들을 연령대별로 종단적으로 추적함으로써 정부와 학교 현장에서 다문화가정 학생들을 돕기 위한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에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우리 사회의 통합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다문화 아동의 학교 적응 및 사회성 발달과 관련된 정책의 개선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사회성 발달 과정을 양적 방법과 질적 방법을 통해 종단적으로 비교하고, 아울러 아동기의 사회성 발달과정에서 사회통합을 위한 기본 요소를 추출하기 위해 주의를 기울여야 할 교육적인 요인들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아동의 사회성 발달을 위한 통합교육 프로그램을 실험적으로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각각 밝히고자 한다.
    1)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사회성 발달 과정은 어떠한가?
    2)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사회성 발달 과정에 나타나는 부모-아동 상호작용은 어떠한가?
    3)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관여하는 부모-아동 상호작용의 특징은 무엇인가?
    4) 사회성 발달을 위한 통합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
    5) 사회성 발달을 위한 통합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
    이러한 문제와 관련한 국내외 연구동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회성 발달, 다문화 가정 자녀의 사회성 발달, 다문화 가정과 그 자녀에 대한 통합 노력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 가정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3차년도 종단연구와 개별가정에 대한 사례연구를 실시할 예정이다. 그리고 그 내용을 기초로 다문화가정 아동 및 일반 아동 대상 사회통합증진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를 추출해 볼 것이다. 3차년도 종단연구에서는 양적 연구로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아동 각각 150명씩을 만 5세, 2학년, 4학년에서 표집하여, 전체 900명의 아동을 3년간 추적 조사할 것이다.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 사회성숙도를 매년 1회씩 3년에 걸쳐 수집하고, 아동의 애착표상검사는 1차년도, 부모양육행동검사는 1차년도와 3차년도에 실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잠재성장모형을 통해 분석할 것이다. 이와 아울러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성 발달이 부모-자녀 간 어떤 독특한 상호작용을 통해 촉진되거나 지체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다문화가정 아동과 그 부모에 대한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그 내용을 합의에 의한 질적 연구법(Consensual Quality Research, CQR)으로 분석할 것이다.
    다문화 가정과 일반가정 아동의 사회통합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험 운영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즉 1차년도에는 본 연구의 결과분석과 선행연구 분석에 중점을 두고, 2차년도에는 프로그램 대상과 목표 및 내용 요소를 추출하고 실시방법을 결정하며, 3차년도에 프로그램 실험실시 및 효과검증 후 수정작업을 시행한다.
    본 연구 결과 기대되는 학문적 기여는 첫째 우리나라 아동과 다문화 아동의 사회성 발달을 종단적 방법으로 측정․비교함으로써 아동의 개인 내 변화와 개인차이 또는 유사성을 직접적으로 규명하였다는 점, 둘째 양적 분석 뿐만 아니라 개별 사례 연구를 통하여 아동의 사회성이 어떠한 단계를 거쳐서 점진적으로 생성되고 변화되는지를 교사와 부모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정보를 추출하였다는 점, 셋째 우리나라 아동과 다문화 아동의 비교 연구 결과는 절대적으로 부족한 다문화 아동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이를 통하여 다문화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대한 기초 연구의 기반이 될 것이라는 점을 들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기대되는 사회적 및 교육적 기여는 우리나라 아동과 다문화 아동의 사회성 발달과 관련된 요인들을 연령대별로 종단적으로 추적함으로써 정부와 학교 현장에서 다문화가정 학생들을 돕기 위한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에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우리 사회의 통합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촉진할 것이며, 다문화 아동의 학교 적응 및 사회성 발달과 관련된 정책의 개선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는 점이다.

    ○ 급격한 다문화 사회에서 다문화 아동 발달 연구로서의 의의
    ○ 다문화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대한 기초 연구
    ○ 사회통합 증진 프로그램 도출
    3. 교육과의 연계 활용 방안

    ○ 연구결과를 통해 평등교육에 기여
    ○ 다문화 아동에 대한 교육 내용과 방법에 교육적 시사점 제공
    ○ 다문화 아동 지원을 위한 상담프로그램 개발에 실질적 정보 제공
  • 한글키워드
  •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합의에 의한 질적 연구법,잠재성장곡선모형,애착,사회통합 프로그램,부모양육. 종단연구,사회성,부모-아동 상호작용,사회성 발달
  • 영문키워드
  • attachment,longitudinal study,parents' rearing,social development,sociability,program for social integration,multi-cultural educational program,latent variable growth curve modeling,consensual quality research,interac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표는 1)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사회성 발달 과정 탐색 2)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사회성 발달 과정에 나타나는 부모-아동 상호작용 탐색 3)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관여하는 부모-아동 상호작용의 특징 확인 4) 사회성 발달을 위한 통합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요소 탐색 5) 사회성 발달을 위한 통합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이다.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사회성 발달 과정 탐색을 위하여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1년에 한번씩 3년에 걸쳐 아동의 사회성, 부모양육행동, 부모애착 검사를 실시하였고 2차년도에는 아동의 기질을 추가로 측정하였다. 이러한 자료들을 가지고 연구한 성과물로는 ‘초등학생의 내재화-외현화 문제 잠재계층에 대한 다문화, 성, 부모, 개인역량의 효과’에 대한 연구,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사회성 비교 : 역량과 문제행동을 중심으로 한 잠재평균분석’ 연구, ‘다문화 아동과 일반 아동의 기질과 부모양육행동이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그리고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Externalizing Problems Perceived by Mothers and Teachers in Preschoolers: A Short Term Longitudinal Study with applied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연구가 있다.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사회성 발달 과정에 나타나는 부모-아동 상호작용 탐색과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관여하는 부모-아동 상호작용의 특징 확인을 위하여 다문화가정 아동과 그 부모에 대한 심층면접과 교사의 관찰기록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기초하여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성 발달과 관련된 아동 개인의 특성, 부모의 양육태도, 부모의 문화적 차이, 아동과 부모의 상호작용 과정, 사회성 발달 촉진/지체요인들의 특성들을 추출하였다. 이를 위해 1차년도에는 사례연구를 위한 준비로서 문헌연구, 예비면접 영역 추출, 면접대상 확보방안을 모색하였다. 2차년도에는 질적연구 방법론 워크샵 및 예비연구를 통하여 사례연구를 준비한 다음,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 다문화가정 아동을 1년 가까이 지도한 담임교사에 의한 daily reports 작성, 다문화가정 부모를 대상으로 한 부모집단면접 등 세 가지 방법으로 사례를 수집하였다. 3차년도에 1~2차년도에 걸쳐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결과물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물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대한 연구’이다. 사회성 발달을 위한 통합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요소 탐색과 사회성 발달을 위한 통합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하여, 1차년도에 프로그램 개발의 모델을 설정하고,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를 기초로 하여 다문화 가정 아동 자신이 겪는 문제, 교사와 다문화 가정 부모가 지각하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제를 분석하였다. 2차년도에는 사회통합 증진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검토 및 분석하고, 설문조사 결과분석에 따라 요구에 맞는 프로그램 내용을 설정하였으며 프로그램 실시 대상자에 맞는 프로그램 시안을 개발하였다. 3차년도에는 2차년도에 구성한 사회통합요소의 심리적 성숙, 사회적 성숙, 문화적 역량 강화 세 가지 영역별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초등학교 5,6학년 23명을 대상으로 사회통합증진 프로그램을 실험실시하여 그 의의와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하여 사회통합요소의 심리적 성숙, 사회적 성숙, 문화적 역량 강화 세 가지 영역별로 8회기씩 독립된 프로그램을 만들어 총 24회기 사회통합증진 프로그램을 최종 개발하여 제안하였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 and non-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 sociality, the interac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n the social developmental process, and the components of the program of integrated education for social development,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 and non-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 sociality, children’s sociality, parenting and attachment to mother were collected three times for three years and children’s temperament was collected one time in the second year. The outcomes with these data were as follows: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family, gender, parents, and individual competency on elementary students' internalizing-externalizing latent class, Comparison of sociality betwee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children from non-multicultural families: Latent mean analysis in behavioral problems and social abilities, Influence of temperament and parenting behavior on socialit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non-multicultural families, and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externalizing problems perceived by mothers and teachers in preschoolers: A short term longitudinal study with applied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 sociality, the teachers’ reports and interview reports of multicultural children and their parents were collected. Children’s characteristics, Parenting, parents’ cultural difference and interac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which were related with multicultural children’s sociality development, and facilitators/retarders of social development were abstracted from the collected data. The process of this work was as follows: First year, literature research, abstraction of domain for primary interview and exploration of ways to collect interviewees were carried out as preparation of case studies. Second year, a workshop for methodology of qualitative research and a primary research were practiced, and then we collected cases through three methods as like deep interview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their class teachers’ daily reports about them and group interview of their parents. Third year, we analysed the collected data and published the results in the article’s title of ‘social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To explore the components of the integrated educational program for social development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first year we established a model of the program development, reviewed prior studies, and analysed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 problems which were perceived by themselves, parents and teachers from the survey results. Second year, we examined and analysed the prior programs for improvement of social integration, created the program contents and developed program draft suitable to the subjects. Third year, we developed three programs according to three components of social integration, that is, psychological maturation, social maturation and enforcement of cultural competency, practiced tentatively the programs which subjects were 23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abstracted the significances and suggestions, and presented a final program for improvement of social integration which consists of 24 session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사회성 발달 과정을 양적 방법을 통해 종단적으로 비교하고, 질적 방법을 통해서는 사회성 발달의 내면적 과정 및 아동-환경 간 상호작용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다문화 아동의 사회통합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우선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사회성 발달 비교 연구를 위하여 국제결혼가정 자녀를 주요 대상으로 하되 이와 동일한 수의 일반가정 학생을 비교집단으로 선발하였다. 선정된 아동의 부모와 교사도 연구의 대상이 되었다. 3년 간 측정한 내용들은 아동의 사회성, 기질, 애착 표상, 부모양육행동 등이다. 3년에 걸쳐 이루어진 연구의 성과물로 2차년도에 “초등학생의 내재화-외현화 문제 잠재계층에 대한 다문화, 성, 부모, 개인역량의 효과”, 3차년도에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사회성 비교: 역량과 문제행동을 중심으로 한 잠재평균분석” 발표논문이 있고 곧 발간될 “다문화 아동과 일반 아동의 기질과 부모양육행동이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가 있다. 그리고 현재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사회성 발달의 성장 유형을 비교하기 위해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진행하고 있다. 그리고 혼합잠재성장모형 분석을 통해 개인별 성장궤적의 잠재 하위집단별 구성 비율이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 있다. 또한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부모 양육 태도, 애착, 아동의 기질이 사회성 발달의 개인별 성장궤적의 개인 간 변산을 얼마나 설명하는지,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 간에 그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 있다. 두 번째 연구로,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성 발달이 부모-자녀 간 어떤 상호작용을 통해 촉진되거나 지체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다문화가정 아동과 그 부모에 대한 심층면접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면접자료에 기초하여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성 발달과 관련된 아동 개인의 특성, 부모의 양육태도, 부모의 문화적 차이, 아동과 부모의 상호작용 과정, 사회성 발달 촉진/지체요인들의 특성들을 추출하려 하였다. 이를 위하여 1차년도 종단연구를 위해 선정된 다문화가정 아동 가운데 10명 정도의 아동을 추출하여, 이들에게 1:1로 반구조화된 형식으로, 60-90분 정도 면접을 하고, 그 자료를 개별적으로 녹음하여 전사하도록 계획하였다. 사용하고자 하는 분석방법은 합의에 의한 질적 연구법이다. 실제 이루어진 연구내용으로 1차년도에 문헌연구, 예비면접 영역 추출, 면접대상 확보방안을 모색하였다. 2차년도에는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 담임교사에 의한 아동에 대한 daily reports, 다문화가정 부모를 대상으로 한 부모집단면접을 통해 사례를 수집하였다. 3차년도에는 1~2차년도에 걸쳐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결과를 산출하였으며 이를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성 발달”이라는 논문으로 발표하였다. 세 번째 연구의 시도는 연구1과 연구2의 결과를 기초로 한 다문화 가정과 일반가정 아동의 사회통합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험 운영이다. 이를 위해 1차년도에는 본 연구의 결과들 및 선행연구 분석에 중점을 두고, 2차년도에는 프로그램 대상과 목표 및 내용 요소를 추출하고 실시방법을 결정하며, 3차년도에 프로그램 실험실시 및 효과검증을 진행하려 하였다. 실제 이루어진 연구내용을 살펴보면 1차년도에 프로그램 개발 모델 설정이 완료되었으며, 선행연구들을 수집, 분석하여 시사점을 정리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해 다문화 가정 아동 자신이 겪는 문제, 교사와 다문화 가정 부모가 지각하는 아동의 문제를 분석하였다. 2차년도에는 사회통합의 개념을 기초로 하여 사회적 성숙, 심리적 성숙, 문화적 역량 강화라는 프로그램의 기본요소를 추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분석에 따라 아동의 요구에 맞는 프로그램 내용을 설정하고,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프로그램은 집단상담의 형태로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이 함께 포함된 초등 3-4학년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집단상담의 회기수는 한 학기 안에 적용 가능한 14회기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 목표 설정과 평가를 위한 평가 모형들을 검토하였다. 3차년도에는 심리적 성숙, 사회적 성숙, 문화적 역량 강화의 세 가지 영역별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아동의 사회통합 증진 프로그램을 실험실시하기 위해 초등 5-6학년 2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시범 실시 후 그 의의와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얻었다. 1,2,3차년도의 연구를 통해 제시된 내용을 기초로 세 영역별로 8회기씩 독립된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총 24회기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아동과 다문화 아동의 사회성 발달을 종단적 방법으로 측정․비교함으로써 아동의 개인 내 변화와 개인차이 또는 유사성을 직접적으로 규명하여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양적 분석 뿐만 아니라 개별 사례 연구를 통하여 아동의 사회성이 어떠한 단계를 거쳐서 점진적으로 생성되고 변화되는지를 교사와 부모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아동 발달 연구와 관련된 후속연구들을 촉발하고자 하였다. 이는, 우리나라 아동과 다문화 아동의 비교 연구 결과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다문화 아동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이를 통하여 다문화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대한 기초 연구의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되며 추후 아동 발달에 대한 학제간 연구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 우리 사회는 사회적 통합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학문적 영역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특히, 급격한 다문화 사회로 이동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대한민국의 독특한 다문화 진행 여건 속에서, 우리나라 아동과 다문화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대한 기초 연구를 통해 사회통합 증진 프로그램을 도출하고자 하는 본 연구가 지니는 의의는 크다. 이러한 현실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아동과 다문화 아동의 사회성 발달과 관련된 요인들을 연령대별로 종단적으로 추적함으로써 우리 사회의 통합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현재 각급 학교와 정부기관에서 개발하고 있는 교사와 학생들의 다문화 관련 교육방법과 내용이 실질적인 평등을 지향하여 이뤄지도록 개선하는데 필요한 실증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지금까지 다문화 관련 선행연구들은 주로 심층적인 심리특성에 대한 분석 없이 개발된 프로그램이나 표면적인 문제의 심각성을 드러내는 것에 그치는 실태조사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동향은 우리나라가 빠른 속도로 다문화 사회가 되어감에도 불구하고 학문적으로는 전혀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연구의 결과는 다문화 아동의 학교 적응 및 사회성 발달과 관련된 정책의 개선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다문화가정아동, 사회성, 역량, 문제행동, 내재화-외현화, 부모양육행동, 애착, 기질, 사회성 발달, 사회통합증진프로그램, 잠재평균분석, 잠재계층분석,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합의에 의한 질적 연구법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