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민관복지파트너십에서 민간단체의 정체성에 대한 연구: 한국의 지역자활센터의 사례를 중심으로
The Voluntary Sector‘s Identity in Multi-Sectoral Welfare Partnership: A Case Study of Self-Sufficiency Promotion Center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박사후국내연수)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2S1A5B5A01024864
선정년도 2012 년
연구기간 1 년 (2012년 07월 01일 ~ 2013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김수영
연구수행기관 서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민관협력 자활사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민관복지파트너십이 민간단체의 독자적 정체성과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 민관복지파트너십은 정부의 중앙집권적 행정체계를 대체하는 보다 효율적이고 민주적인 지역밀착형 전달체계로 주목을 받아 왔다. 특히 민주화 이후 도입된 자활사업은 그 규모나 역사면에서 한국의 대표적인 민관협력사업이자, 참여복지(participatory welfare)의 모범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참여민주주의 실현이라는 이상과는 달리, 파트너십 회의론자들은 민관협력이 민간단체의 독자적인 정체성과 정치적인 자율성을 저해한다는 비판을 꾸준히 제기해 왔다. 이들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사례연구를 통해 민간단체의 공공행정 참여는 '비정부기구'로서의 민관단체의 입지를 위기에 빠뜨릴 수 있다고 비판한다.
    하지만 한국의 자활사업에 대한 논의들을 살펴보면, 대부분 자활사업의 효과성이나 제도개선에 초점을 맞추고 있을 뿐, 자활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민간단체의 역할과 정체성에 대한 비판적이고 실증적인 사례연구는 거의 전무하다. 민관협력에 대해서는 단지 파트너십이 민주적 거버넌스에 기여할 것이라는 정부의 정책담론이 학계와 시민단체 진영에 별다른 검증 없이 그대로 재생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과제에서는 자활사업에 대한 질적 연구(문헌연구, 심층면접, 참여관찰)를 통해 자활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민간들이 정부의 정책담론처럼 ‘참여복지’를 실현하는 데 실질적으로 이바지하고 있는지, 아니면 파트너십 회의론자의 지적처럼 민간단체로서의 자율성을 잃고 ‘그림자정부’로 기능하게 되는지를 보다 체계적이고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과제는 다음과 같은 학문적, 정책적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첫째, 학문적인 기여로는 파트너십의 시대에 맞는 시민사회 및 제 3섹터 이론의 개발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서구의 전통적인 시민사회론에서 민간단체는 복지국가의 행정체계를 견제하는 세력으로 정의되어 왔다. 권위주의 시대를 겪었던 한국에서도 시민사회는 국가에 대한 저항공간으로서의 의미가 강했다. 하지만 서구에서는 복지개혁의 하나로, 한국에서는 행정 민주화의 일환으로 정부와 민간단체의 파트너십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섹터 간 협력이 강화되는 현재 상황에서 시민사회와 제 3섹터의 위치와 역할이 어떻게 변화하고 재구축되는지에 대한 이론형성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과제를 수행하면서 정부-시민사회의 협력이 공공행정의 주요 방향이 된 현 시점에 맞는 새로운 시민사회 이론개발을 위한 실증적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둘째, 정책적인 기여로는 보다 참여적이고 효과적인 민관복지파트너십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 본 연구가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보통 민관파트너십은 파트너 간의 평화적인 동맹으로 묘사되고 있지만, 실제로 파트너십 내부에는 보이지 않는 갈등의 정치학이 존재한다. 이러한 갈등과 불협화음은 민관협력 사업이 이루려 했던 참여복지의 이상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본 연수과제에서는 자활사업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민관의 갈등을 구체적으로 파악한다. 민관의 갈등의 지점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민간단체의 위치를 논의하는 본 연구는 자활사업을 비롯한 민관협력사업의 개선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참고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연구가설>
    본 연구에서는 복지파트너십에 참여하고 있는 민간단체의 정체성을 해석하는 데 있어서 기존의 ‘참여복지론’이나 ‘그림자정부론’을 넘어선 제 3의 대안적 견해를 구체화할 계획이다.
    현재 파트너십에 대한 기존의 논의는 크게 두 분파로 나뉜다. 첫째는 참여복지담론과 같은 ‘기능주의적 관점’으로 시민단체가 공공행정을 대체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순기능을 강조하는 입장이다. 다른 하나는 그림자정부론과 같은 ‘갈등주의적 관점’으로 정부가 복지파트너인 민간단체에 가하는 통제와 개입을 부각시키는 입장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단순한 이분법에 근거한 기능주의나 갈등주의적 해석으로는 민관복지파트너십 내에서 민간단체가 차지하는 역동적 입지를 온전히 설명할 수 없다는 점을 드러내고자 한다.
    아직 이론적 논의는 초보적인 수준에 불과하지만, 연구자가 ‘대안적 관점’으로 분류한 이와 같은 견해에 속한 인류학적 연구가 존재한다. 이들은 갈등주의적 관점처럼 민간단체에 대한 정부의 개입과 통제가 점차 강화되고 있다는 사실은 인정한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정부의 개입에도 불구하고 민간단체가 일상 속에서, 혹은 비공식적인 차원에서 자신의 자율적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 행하고 있는 대안적 활동과 노력에도 주목하고 있다.
    본 연구에는 이러한 대안적 관점에 따라 지역민간단체들이 자활사업에 참여하면서 수행하고 있는 잘 드러나지 않는 일상의 독자적인 활동과 저항을 살펴보려 한다. 그리고 이러한 미시적인 활동이 지역자활센터를 운영하는 민간단체의 정체성에 어떠한 함의를 지니는지, 그리고 나아가 전체 민관협력 자활사업의 운영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 것인지에 대해서 논의할 것이다. 본 연구의 마지막에는 파트너십의 정치학에 대한 기능주의적 관점과 갈등주의적 관점의 한계를 보완한 대안적 관점을 구체화하고 이론화하는 작업을 시도하고자 한다.

    <분석틀>
    본 연구과제에서는 민간단체의 전통적 정체성과 민관복지파트너십 이후에 겪게 되는 정체성의 갈등을 다음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한다. 첫째, '정부견제세력'으로서의 정체성과 탈정치화(depoliticisation)의 위기; 둘째, '풀뿌리조직'으로서의 정체성과 관료화(bureaucratisation)의 위기; 셋째, '비영리조직'으로서의 정체성과 시장화(marketisation)의 위기가 그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정부경제세력, 풀뿌리조직, 비영리조직이었던 지역민간단체가 자활센터를 운영하면서 경험하는 탈정치화, 관료화, 시장화의 압력이 구체적으로 어떤 것인지 살펴본다. 그리고 지역자활센터가 이러한 변화 속에서도 자율적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는지, 유지할 수 있다면 구체적으로 어떤 방식인지 분석한다.

    <연구방법론>
    본 연수과제에서는 사회현상에 대한 행위자의 대응과 변화를 분석하는 데 적합한 질적 연구 방법론을 채택한다. 그중에서도 지역자활센터의 공식적인 기능만이 아니라 비공식적인 활동을 분석하기 위해서 ‘상향식 접근법(bottom-up approach)’ 혹은 ‘일선행정분석법(street-level research)’로 불리는 정책분석방법을 사용한다. 자료수집을 위해서는 1) 지역자활센터의 활동에 관한 문헌연구; 2) 자활센터 실무자, 자활사업 참여자, 사회복지전담공무원에 대한 심층면접; 그리고 3) 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수행한다. 수집한 자료는 '프레임워크 분석법(framework analysis)'의 기준에 따라 코딩하고 분석할 것이다.
  • 한글키워드
  • 파트너십; 근로연계복지; 제 3섹터; 자활사업; 지역자활센터
  • 영문키워드
  • Partnership; Welfare-to-Work; The Third Sector; Self-Sufficiency Program; Self-Sufficiency Promotion Center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2012년 박사 후 국내연수에서 본 연수자는 한국의 탈빈곤정책인 자활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민관협력 복지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민간단체의 정체성 변화에 대해 실증적으로 조사했다. 특히 본 연수자는 초기 연수계획을 심화시켜 자활사업 참여 민간단체 중 민주화 이후 새롭게 민관협력에 참여한 ‘사회운동단체’에 주목했고, 민간단체의 정체성 중에서는 특히 ‘자발성(volunteerism)’의 위협과 조정에 중점을 두었다.
    최근 들어 사회복지정책을 집행하는 데 있어서 정부와 민간단체의 협업을 지향하는 복지파트너십이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한국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특히 군부독재가 막을 내리고 민주화와 진전되면서 과거 정부와 대립하던 사회운동단체들이 복지정책의 주요파트너로 부상했다. 저소득층의 일자리 지원사업인 자활사업도 빈민실업운동진영과의 협력으로 도입된 복지제도이다. 지금까지 민관협력 자활사업은 정부에 의해 참여복지의 대표적 모범사례로 평가받아 왔다. 그러나 사회운동에 대한 기존연구들은 사회운동단체가 제도화되면서 자발성이 훼손되고 사회복지 전문가와 기관들에게 헤게모니를 내놓게 된다고 지적해왔다. 이에 본 연구는 자활사업 관련 역사문헌, 심층면접, 참여관찰 자료에 대한 역사적 담론 분석을 통해, 자활사업의 도입시기부터 현재까지 사회운동단체의 자활사업 내 입지변화와 사회운동단체가 일선현장에서 사회복지기관으로부터 자신의 독자적 정체성을 획득하기 위해 각 국면마다 구사해온 담론과 생존전략들을 추적했다.
    이러한 역사적 분석을 통해 본 연수자는 민관협력 파트너십이 정부 정책담론이 평가하듯이 평화로운 협동관계는 아니지만, 그렇다고 파트너십 비판론자가 주장하듯이 복지파트너십을 정부와 민간단체의 지배-종속관계로 해석할 수 없다는 점을 밝히고자 했다. 연수자는 빈민실업운동단체가 일선현장에서 정부의 전문화 압력에 대처하고 자신의 독자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해온 미시적인 생존전략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민관파트너십은 새로운 형태의 사회운동이 가능하며, 민과 관의 협력, 타협, 갈등, 저항이 공존하는 매우 역동적인 권력투쟁의 장임을 드러내고자 했다.
  • 영문
  • In recent years, welfare partnership has become a central strategy for welfare provision worldwide. Particularly, voluntary organisations have obtained considerable attention as the most accountable and democratic partner for public welfare delivery. Yet, while mainstream debates have valued state–voluntary sector partnership as participatory governance, critical studies have argued that it leads voluntary organisations to serve as a shadow state. This study, however, contends that partnership does not necessarily entail participatory welfare or the complete subordination of the voluntary sector to the state's bureaucratic system. Rather, voluntary organisations can exercise a degree of autonomy on the frontline despite the bureaucratic constraints engendered by partnership.
    In particular, through a case analysis of Korean community movement organisations engaged as frontline agencies in the Self-Sufficiency Programme (SSP), this study tries to unveil how SSP Centers run by community movement groups have struggled to defend their voluntary identities in conflict with SSP Centers operated by professional social welfare centers. Since political democratisation, community movement groups have been increasing invited to run frontline public welfare agencies in South Korea, and Self-Sufficiency Program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policies in which social movement groups have actively partaked. But many critical scholars have warned that such institutionalisation of social movements into social welfare system is likely to dampen their voluntary nature and force them to render their hegemonic power to professional social welfare institutions. In contrast to the critical viewpoint, however, this study reveals how social movement-based SSP Centers have strived to tackle the state's professionalisation pressure by deploying various survival strategies at the micro level. Through a historical discourse analysis on the frontline conflicts between social movement-based and social welfare-based SSP Centers, this study contends that social movement groups in Self-Sufficiency Program can still maintain their traditional spirit despite the obvious professionalisation phenomenon. This study also demonstrates that state–voluntary sector partnerships may be sites of struggle where voluntary organisations continuously strive to maintain their autonomous identity in diverse and indirect way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2012년부터 2013년까지 진행된 박사 후 국내연수에서 본 연수자는 한국의 자활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민관협력 복지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민간단체의 정체성 갈등과 변화에 대해 실증적으로 조사하고자 했다. 최근 들어 사회복지정책을 집행하는 데 있어서 정부와 민간단체의 협업을 지향하는 복지파트너십이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한국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특히 민주화 이후 한국 복지사업에서 주목할 만한 특징은 정부의 전통적인 행정파트너였던 사회복지관뿐이 아니라 정부와 대립적 관계에 있던 사회운동단체들이 사회복지사업에 대거 참여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본 연수과제의 연구대상인 자활사업은 민관협력의 역사와 규모로 보았을 때 민주화 이후 진행된 복지파트너십 중 가장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저소득층의 일자리 지원사업인 자활사업은 민간단체와의 협력으로 1996년 시범사업으로 도입되어 1999년 제도화되었으며, 민간단체가 일선행정기관인 지역자활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본 연수자가 수행하고자 한 작업은 민주화 이후 정부와 새롭게 협력관계를 맺고 지역자활센터를 운영하게 된 민간단체들이 자신의 독자성과 자율성을 어떻게 유지하고 방어하는지 추적하는 것이었다.
    민관복지파트너십에 대한 기존의 견해는 크게 둘로 양분된다. 일반적으로 자활사업을 비롯한 민관협력 복지사업은 정부가 모든 복지행정을 관할하는 중앙집권적 시스템보다 효율적이고 민주적인 지역밀착형 시스템이자 참여복지의 모범사례로 평가를 받아왔다. 그러나 참여복지의 실현이라는 이상과는 달리 파트너십 회의론자들은 민관협력이 민간단체의 독자적인 정체성과 자율성을 저해한다는 비판을 꾸준히 제기해 왔다. 이에 본 연수자는 정부의 일반적 정책 담론이나 파트너십 회의론자의 주장을 넘어, 민관협력 자활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민간단체의 정체성 변화를 실증적으로 조사하여 위 주장들에 대한 진위를 규명하거나 대안적 견해를 제시하고자 했다.
    지난 1년간의 연수기간을 거치면서 본 연수자는 초기 연수계획을 심화 발전시켜 자활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민간단체 중 특히 자활사업 도입과 집행의 주축이 되어온 빈민실업운동단체에 주목했고, 민간단체의 정체성 중에서는 특히 자발성의 변화에 중점을 두어 연구를 진행했다. 연수자는 자활사업에 민간파트너로 참여하고 있는 빈민실업운동단체들이 어떻게 정부의 전통적 복지파트너인 사회복지기관과 대비하여 자신의 독특한 자발성과 자율성을 방어해나가는지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수자는 자활사업 관련 역사문헌, 심층면접, 참여관찰 자료에 대한 역사적 담론분석을 수행했으며, 자활사업의 도입시기부터 현재까지 사회운동단체의 자활사업 내 입지변화와 사회운동단체가 일선현장에서 사회복지기관과 자신을 구별하기 위해 구사해온 담론과 전략들이 있는지 추적했다.
    이러한 역사적 분석을 통해 본 연수자는 민관협력 파트너십이 정부 정책담론이 평가하듯이 평화로운 협동관계는 아니지만, 그렇다고 파트너십 회의론자가 주장하듯이 복지파트너십을 정부와 민간단체의 지배-종속관계로 해석할 수 없다는 점을 드러냈다. 연수자는 빈민실업운동단체가 일선현장에서 정부의 전문화 압력에 대처하고 자신의 독자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해온 미시적인 생존전략들을 살펴봄으로써, 사회운동단체의 민관협력 복지사업의 참여가 단지 사회운동의 체계로의 편입, 흡수, 종속으로만 설명할 수 없으며, 오히려 민관협력 파트너십은 갈등과 협력, 타협과 저항이 공존하는 매우 역동적인 권력의 장이라는 점을 강조하고자 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수자는 지역자활센터를 설립, 운영하는 사회운동단체의 정체성과 입지가 다음 세 국면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관찰했다.
    1) 자활사업 시범시기(1996-1999): 자활사업 초기에 자활사업에 참여한 사회운동단체는 자신의 독자적 자발성을 유지하며 자활사업 내에서 우위를 점유하고 있는 민간단체였다. 자활사업의 원형으로 회자되고 있는 생산공동체운동은 1970-80년대 활발했던 도시빈민운동조직에 의해 출발했다. 따라서 빈민운동단체에게 자활사업은 단순한 복지사업이기 이전에 지역공동체운동의 일환이었다. 물론 자활사업 초기에도 정부의 전통적인 복지파트너인 사회복지관이 지역자활센터를 위탁받아 운영하는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사회운동 출신 지역자활센터에게 밀려 헤게모니를 갖지 못했다. 초기 자활사업 현장에서 사회운동단체는 역사적 정통성과 빈민에 대한 헌신성을 강조하며 자신을 정부나 사회복지기관과 차별화하는 전략을 구사했었다.
    2) 자활사업 정착기(1999-2004): 자활사업이 중기로 접어들면서 사회운동단체는 고유한 정체성을 잃고 자활사업 내에서 그 입지가 좁아지기 시작했다. 외환위기로 빈곤과 장기실업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자, 정부는 1999년 자활사업을 상설화하고 지역자활센터 설립을 전국적으로 확대했다. 그 과정에서 기존의 사회복지관이 대거 자활사업에 유입되었고, 사회운동단체의 입지가 점차 좁아졌다. 이에 사회운동단체는 사회복지관에 대하여 묵과하기 혹은 인정하기 전략을 사용하며 권력의 평형을 유지하고자 노력했다.
    3) 자활사업 후기(2004-현재): 2004년 말부터 진행된 자활센터의 감사와 평가제 도입은 자활사업 현장에서 사회운동단체가 헤게모니를 잃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자신만의 자율적 기준과 이념에 따라 자활센터를 운영해오던 사회운동단체들은 정부의 행정기준과 성과요구에 무력했다. 자활사업 초기에 사회운동단체는 빈곤과 실업문제에 대한 전문가로 인정을 받아왔다. 그러나 정부의 성과요구와 전문화 압력이 강화되면서 사회운동단체의 관습과 업무처리 문화는 점차 비전문적인 행위로 비판과 감시의 대상이 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한편으로 사회운동단체가 이러한 변화를 그대로 수긍한 것은 아니었다. 자활센터 일선현장연구를 통해 본 연수자는 사회운동 출신 지역자활센터가 전문화의 압력 속에서도 자신의 독자적 정체성을 방어하기 위해 구사하는 생존전략들을 관찰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사회운동 출신 자활센터가 사회운동에 친화적인 사회복지사를 채용하고,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제도적 방어무기로 활용하기 위해 취득하며, 개별적으로 사회운동의 순수성을 고수하는 노력들을 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함의를 제공한다.
    첫째, 본 연수결과는 파트너십 회의론자의 관점을 일정 부분 지지한다. 본 연수기간 동안 연수자는 사회운동 출신 지역자활센터의 입지가 점차 좁아지는 과정을 다양한 사료와 증언을 통해 구체적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자발적 결사체의 파트너십 참여가 단체의 정체성을 훼손시킨다고 본 민관파트너십 회의론자들의 주장을 일정 부분 확증하고 있다.
    둘째, 본 연구결과는 민관파트너십 회의론자가 포착하지 못한 민간단체의 자발성에도 주목하여 이를 새롭게 이론화하는 데 이바지하는 부분이 있다. 연수자는 사회운동단체가 일선현장에서 전문화의 압력에 대처하기 위해 사용해온 생존전략들을 살펴봄으로써, 사회운동단체의 민관협력 복지사업의 참여가 단지 사회운동의 체계로의 편입, 흡수, 종속으로만 설명할 수 없다는 점을 드러내고자 했다. 자활센터가 정부의 지침에 반하여 행동하는 여러 생존전략이나 자신의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 수행하는 미시저항은 Cohen과 Arato의 사회운동 이중전략과도 일맥상통한다. 이들은 사회운동의 방향을 시위나 폭동처럼 지배체계 자체를 전복시키는 것이 목적인 공격적 양식과 주어진 시스템 안에서 내부의 문화와 가치를 보존하는 것을 지향하는 방어적 양식으로 구분한다. 이 분류로 보면, 운동권 출신 지역자활센터는 내부의 정체성을 보호하는 방어적 전략을 취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민관파트너십은 민과 관의 협력관계나 지배-종속관계로 양분할 수 없는, 새로운 형태의 사회운동이 일어나는 매우 역동적인 권력투쟁의 장임을 시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수과제의 한계를 말하면, 이론적 논의와 역사적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하다 보니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어떻게 자활사업을 개선할지에 대한 구체적인 정책적 논의까지 이르지 못했다는 점이다. 앞으로 후속연구에서는 자활사업 내 자발적 민간단체의 미시저항들이 어떻게 보다 체계적 직접행동으로 발전하게 되는지, 그리고 이를 어떻게 공식적 자활사업체계에 반영해야할지를 중심으로 논의할 계획이다.
  • 색인어
  • 민관협력 파트너십, 자활사업, 사회운동, 사회복지, 제도화, 전문화, 자발성, 정체성, 미시저항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