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현재 교사교육이 교사의 인성발달을 위해 타당한지 분석하고, 인성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한 준거 설정은 첫째, 교육이 이루어지는 데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교육의 세 요소인 교육내용, 학습자, 교사의 측 ...
본고는 현재 교사교육이 교사의 인성발달을 위해 타당한지 분석하고, 인성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한 준거 설정은 첫째, 교육이 이루어지는 데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교육의 세 요소인 교육내용, 학습자, 교사의 측면에서 보고자 하였다. 교사교육의 분석 준거는 ‘교육내용의 다양성’, ‘학습자의 마음의 통합성’, 그리고 ‘실천으로서 가르침에 따른 교사 인성의 중요성’이다. 연구목적을 위해 먼저 Ⅱ, Ⅲ장에서 교육내용, 학습자의 마음의 발달 과정, 교사의 가르침의 특성을 인성교육과 관련지어 논의할 것이다. Ⅳ장에서는 교육내용의 다양성과 마음의 통합성 그리고 실천으로서 가르침의 특성에 따른 교사 인성의 중요성이라는 준거에 비추어 볼 때, 현 교사교육이 교사의 인성발달을 위해 적합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분석할 것이다. 또한 교사의 인성교육 강화를 위해 도입된 제도와 신설 교과가 과연 교사의 인성교육 발달을 위해 적합한 것인지 분석 준거에 비추어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교사의 사람됨을 위한 교사의 인성교육은 도구적이고 기능적 접근에서 특정 과목의 신설이 아니라, 교사의 인성이 곧 교사의 전문성임을 인식하고 교사교육이 직업인 훈련의 과정이 아니라 다방면의 균형잡힌 관점을 지닌 사람됨의 인간교육임을 분명히 하는 데서 시작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점에서 교사교육은 교사의 사람됨을 목적으로 하는 인문적 교양교육의 차원에서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 여기서 교양적 교사교육이란, 기존의 교사교육에서 전공 영역에 비해 교양 영역의 시수를 늘리자는 의미가 아니다. 교직영역에서 가르치는 교육학 과목이든 또는 전공영역의 전공교과 또는 교양영역의 교양과목들을 교사가 될 사람들의 교양적 학습이 되게 접근하자는 의미이다. 물론 모든 교과가 가능한 것은 아닐 것이다. 과목 성격상 방법론의 숙달에 초점이 두어질 수 있다. 하지만 궁극적으로 교사교육이 가르침과 교육을 수단적이고 도구적인 관점에서 전문성을 발휘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지식과 기술 체계의 습득의 차원이 아니라, 인간됨의 과정이라는 접근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의미이다.
기대효과
오늘날 교사교육은 지나치게 기술공학적 접근과 도구적 차원에서만 논의되는 경향이 있다. 인성교육에 관한 논의 역시 교육의 본래적 목적으로서의 인성교육에 대한 관심보다는 사회 병리적 현상에 대한 대증요법적 수단으로 강조되는 경향이 있다. 본 사업에 신청하는 ...
오늘날 교사교육은 지나치게 기술공학적 접근과 도구적 차원에서만 논의되는 경향이 있다. 인성교육에 관한 논의 역시 교육의 본래적 목적으로서의 인성교육에 대한 관심보다는 사회 병리적 현상에 대한 대증요법적 수단으로 강조되는 경향이 있다. 본 사업에 신청하는 연구는 첫째, 인성교육의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곧 교사의 사람됨인 교사의 인성에 있음을 강조하고, 교사의 인성교육의 중요성에 주목하게 한다. 더욱이 교사의 인성교육에서 중요한 것은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는가하는 방법론적 논의보다 교사의 사람됨에 초점을 맞춘 교양적 교사교육임을 강조한다. 이것은 방법론과 도구적 관점이 지배한 교육계에서 다시 “사람”에 초점을 두는 논의를 촉발하고 파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다 줄 것이다. 둘째, 교양적 교사교육 교육과정이 돼야 한다는 결론은 교사교육과정에서 “전공 대 교양”이라는 해묵은 논쟁을 넘어 교양적 학습의 관점에서 교사교육의 교육과정을 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셋째, 교사교육과정에 관한 연구가 주로 교과 지식과 교육 방법론에 관한 연구만 이루어져왔다. 본 연구는 교사의 인성발달의 중요성을 환기하면서 향후 인성발달에 초점을 둔 교사교육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연구요약
본고는 현재 교사교육이 교사의 인성발달을 위해 타당한지 분석하고, 인성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한 준거는 ‘교육내용의 다양성’, ‘학습자의 마음의 통합성’, 그리고 ‘실천으로서 가르침에 따른 교사 인성의 중요성 ...
본고는 현재 교사교육이 교사의 인성발달을 위해 타당한지 분석하고, 인성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한 준거는 ‘교육내용의 다양성’, ‘학습자의 마음의 통합성’, 그리고 ‘실천으로서 가르침에 따른 교사 인성의 중요성’이다. 연구목적을 위해 먼저 Ⅱ, Ⅲ장에서 교육내용, 학습자의 마음의 발달 과정, 교사의 가르침의 특성을 인성교육과 관련지어 논의할 것이다. Ⅳ장에서는 교육내용의 다양성과 마음의 통합성 그리고 실천으로서 가르침의 특성에 따른 교사 인성의 중요성이라는 준거에 비추어 볼 때, 현 교사교육이 교사의 인성발달을 위해 적합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분석할 것이다. 또한 교사의 인성교육 강화를 위해 도입된 제도와 신설 교과가 과연 교사의 인성교육 발달을 위해 적합한 것인지 분석 준거에 비추어 논의할 것이다. 분석에 따르면, 교사의 인성 발달을 위한 교사교육은 행위 습관 형성을 위한 실습, 이성 능력 외 마음(가슴)의 발달, 실천적 지식, 그리고 교사의 전문성으로 교사의 사람됨(인성)이 중시되어 교육되어야 할 것이다. 교사의 사람됨을 위한 교사의 인성교육은 도구적이고 기능적 접근에서 특정 과목의 신설이 아니라, 교사의 인성이 곧 교사의 전문성임을 인식하고 교사교육이 직업인 훈련의 과정이 아니라 다방면의 균형잡힌 관점을 지닌 사람됨의 인간교육임을 분명히 하는 데서 시작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점에서 교사교육은 교사의 사람됨을 목적으로 하는 인문적 교양교육의 차원에서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인성교육의 의미와 방향은 인간됨의 형성이라는 교육의 본질적 차원에서 이해하고 접근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의미의 인성교육을 위한 최선의 방책은 가르치는 교사의 인간형성에서 시작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교사는 학생들의 인성형성에 핵심 역할을 ...
인성교육의 의미와 방향은 인간됨의 형성이라는 교육의 본질적 차원에서 이해하고 접근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의미의 인성교육을 위한 최선의 방책은 가르치는 교사의 인간형성에서 시작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교사는 학생들의 인성형성에 핵심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성교육자로서 교사 인성의 중요성과 교사교육에 인간다운 인간형성을 목적으로 하는 교양교육이 요청됨을 논의하고, 교양적 교사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상의 연구 목적을 위해 Ⅱ장에서는 가르침의 도덕적 차원과 인성교육자로서 교사 역할의 중요성을 논의한다. Ⅲ장에서는 교사의 인성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교사의 인성형성을 강조하기 위해 교양적 교사교육이 요청됨을 논의할 것이다. 교양적 교사교육이란 인간다운 인간형성을 위해 전인성, 전환성, 비판적 성찰을 강조하는 교양교육의 특성을 접목한 교사교육을 뜻한다. Ⅳ장에서는 교양적 교사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교사교육에서 직업교육적 측면과 교양교육적 측면의 양립가능성을 논의하고, 실제 교사교육에서 교양교육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을 교육목적, 교육내용, 교수방법 면에서 탐색할 것이다.
영문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meaning and the direction of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understood and approached from a point of view which human formation is regarded as the essence of education. The best way of approach to the character education w ...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meaning and the direction of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understood and approached from a point of view which human formation is regarded as the essence of education. The best way of approach to the character education with this point of view could start from the teachers’ character, because teachers are key actors for character formation of students. This study therefore places strong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teachers’ character and suggesting liberal education, as a key solution, its aim is raising and developing the whole human be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liberal teacher education. With this purpose of study, the author argues the moral dimension of teaching and the importance of the teachers’ role as a character builder in ch.Ⅱ. In ch.Ⅲ, the present state of teachers’ character education is examined and is argued the necessity of liberal perspective for teacher education to stress the character formation of teachers. The liberal teacher education means that the teacher education is integrated into the quality of liberal education which emphasizes the whole human formation, transformation of personality and critical reflection for human formation. The ch. Ⅳ contains exploration of the possibility of liberal teacher education by discussing the compatibility between liberal education and vocational education. Furthermore, it covers how teacher education can reflect the quality of liberal education on the aim of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of teacher education concretely.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인성교육의 의미와 방향은 인간됨의 형성이라는 교육의 본질적 차원에서 이해하고 접근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의미의 인성교육을 위한 최선의 방책은 가르치는 교사의 인간형성에서 시작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교사는 학생들의 인성형성에 핵심 역할을 ...
인성교육의 의미와 방향은 인간됨의 형성이라는 교육의 본질적 차원에서 이해하고 접근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의미의 인성교육을 위한 최선의 방책은 가르치는 교사의 인간형성에서 시작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교사는 학생들의 인성형성에 핵심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성교육자로서 교사 인성의 중요성과 교사교육에 인간다운 인간형성을 목적으로 하는 교양교육이 요청됨을 논의하고, 교양적 교사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상의 연구 목적을 위해 Ⅱ장에서는 가르침의 도덕적 차원과 인성교육자로서 교사 역할의 중요성을 논의한다. Ⅲ장에서는 교사의 인성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교사의 인성형성을 강조하기 위해 교양적 교사교육이 요청됨을 논의할 것이다. 교양적 교사교육이란 인간다운 인간형성을 위해 전인성, 전환성, 비판적 성찰을 강조하는 교양교육의 특성을 접목한 교사교육을 뜻한다. Ⅳ장에서는 교양적 교사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교사교육에서 직업교육적 측면과 교양교육적 측면의 양립가능성을 논의하고, 실제 교사교육에서 교양교육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을 교육목적, 교육내용, 교수방법 면에서 탐색할 것이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교사의 인성발달에 초점을 둔 교사교육과정 개발에 관심을 갖게 한다. 둘째, 실제로 교사의 인성발달을 위한 교사교육 교육과정 개선과 개발에 이론적 토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교사의 인성발달에 초점을 둔 교사교육과정 개발에 관심을 갖게 한다. 둘째, 실제로 교사의 인성발달을 위한 교사교육 교육과정 개선과 개발에 이론적 토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