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정시설은 다양한 의사가 상주할 수 없고, 의사는 2019년 기준 정원 대비 30명(25.86%)이 부족한 실정이다. 의사의 부족은 수용자에 대해 양질의 진료를 할 수 없고, 이로 인해 조기에 질병이 치료되지 않을 것이다. 질병은 조기 치료가 되지 않으면 치료를 어렵게 할 수 ...
교정시설은 다양한 의사가 상주할 수 없고, 의사는 2019년 기준 정원 대비 30명(25.86%)이 부족한 실정이다. 의사의 부족은 수용자에 대해 양질의 진료를 할 수 없고, 이로 인해 조기에 질병이 치료되지 않을 것이다. 질병은 조기 치료가 되지 않으면 치료를 어렵게 할 수도 있고, 치료비 증가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수용자에 대한 양질의 의료처우를 위한 방안으로 교정시설 내 AI(Aartificial Intelligence: 이하 AI라 한다)의사를 도입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하여 진료정확도를 높여 조기에 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정신과 치료 등이 필요할 때 AI의사로부터 바로 치료가 됨으로서 교화가 잘 되어 교정사고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소 후 재범으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연구의 목표이다.
기대효과
AI의사를 개발하여 교정시설에서 도입하여 시행할 경우 교정시설 내 상주의사는 다양한 진료를 AI의사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상주의사는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여 정확한 치료를 함으로써 환자의 고통 경감 및 치료비 절감으로 이어지게 할 수 있다. AI의 ...
AI의사를 개발하여 교정시설에서 도입하여 시행할 경우 교정시설 내 상주의사는 다양한 진료를 AI의사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상주의사는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여 정확한 치료를 함으로써 환자의 고통 경감 및 치료비 절감으로 이어지게 할 수 있다. AI의사는 충분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진료가 이루어지며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진단 정확도가 일반 의사에 비해 높아질 것이다. 이로 인해 수용자는 AI의사를 신뢰하게 될 것이고 AI의사를 찾는 원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요약
연구목적은 교정시설은 예산상의 이유로 다양한 의사가 상주할 수 없는 한계가 있으며, 의료인력도 정원 대비 부족한 실정이다. 이로 인해 진료의 부실화로 주용자의 질병이 조기에 치료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교정시설 내 AI의 ...
연구목적은 교정시설은 예산상의 이유로 다양한 의사가 상주할 수 없는 한계가 있으며, 의료인력도 정원 대비 부족한 실정이다. 이로 인해 진료의 부실화로 주용자의 질병이 조기에 치료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교정시설 내 AI의사를 도입하여 운영하는 것이다. 연구내용은 ① 열악한 교정시설의 의료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AI의사를 교정시설 내 도입하는 것이 가능한지에 대해 외국의 AI의사 운영실태와 우리나라 개발 실태를 파악하여 비교 검토하는 것이다. ② 교정시설 내 AI의사를 도입했을 때 가장 합리적인 운영방법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자가 생각하고 있는 운영방법은 법무부에 ICT 서버를 두고 52개 교정시설과 네트워크를 구축한 후 이를 바탕으로 상주의사는 AI의사의 도움을 받아 진료를 하는 것이다. ③ AI의사에게 누가 어떤 방법으로 의료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 하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대해 파악하는 것이다. AI에 의료데이터 입력은 AI의사 운용에 가장 핵심적인 사항이기 때문이다. ④ AI의사는 만능이 아니므로 어떤 진료까지 볼 수 있는지를 검토하는 것이다. ⑤ 교정시설 내 AI의사를 도입하여 운영할 경우 법률적 문제, 운영상 문제, 개인정보침해문제, 비용문제 등 많은 문제점이 나타날 것이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⑥ 교정시설 내 AI의사 도입의 실천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전국 52개 교정시설 상주의사를 대상으로 AI의사 도입여부 및 찬·반 이유를 빈도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AI의사를 개발하여 시행하고 있는 미국, 중국 등의 운영실태를 논문과 미국과 중국에 있는 교수에게 부탁하여 알아볼 것이다. 교정시설 내 상주의사를 만나 현재 운영 중인 의료실태와 문제점 등을 파악하고, AI 관련 전문가와 교수 등을 만나 교정시설 내 AI의사 도입 가능성과 구축방법 그리고 구축 및 시행에 따른 다양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대응방안을 논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교정시설에는 예산상의 이유로 다양한 의사가 상주할 수 없고, 의사 1∼2명이 상주하여 진료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상주의사가 할 수 없는 진료에 대해 수용자는 원격진료를 받거나 외부병원에서 진료를 받고 있다. 문제는 원격진료나 외부진료로 인해 많은 의 ...
교정시설에는 예산상의 이유로 다양한 의사가 상주할 수 없고, 의사 1∼2명이 상주하여 진료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상주의사가 할 수 없는 진료에 대해 수용자는 원격진료를 받거나 외부병원에서 진료를 받고 있다. 문제는 원격진료나 외부진료로 인해 많은 의료비가 지출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방안은 교정시설에 인공지능(AI)의사를 도입하는 것이다. 교정시설 내 AI의사 구축방법은 법무부에 AI의사 메인서버를 두고 각 교정시설과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각 교정시설 상주의사는 이를 통해 다양한 진료의 도움을 받는 것이다. AI의사를 이용한 진료방법은 수용자가 갤럭시 탭이나 I-Pad,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문진표를 작성하고, AI의사로부터 진단결과가 나오면 상주의사가 처방할 수 있는 것은 하고, 그렇지 못한 것은 외부진료나 화상진료를 받도록 하는 것이다. AI의사를 통한 진단의 정확도는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조기치료는 환자의 고통을 줄일 수 있고, 의료비 지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교정시설에 AI의사를 전면 도입 시 다양한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하나의 교정시설을 시범시행한 후 나타나는 문제점을 충분히 보완하여 모든 교정시설을 대상으로 실시하면 될 것이다. AI의사를 교정시설에 도입 시 진단 및 치료에 국한할 것인지 아니면 상담까지 가능한 로봇을 도입할 것인지를 검토하는 것이다.
영문
Various doctors cannot be present in the prison for budgetary reasons, and one or two doctors are present for medical treatment. For treatments that cannot be done by a resident doctor, inmates are receiving telemedicine or receiving medical treatment ...
Various doctors cannot be present in the prison for budgetary reasons, and one or two doctors are present for medical treatment. For treatments that cannot be done by a resident doctor, inmates are receiving telemedicine or receiving medical treatment at an external hospital. The problem is that telemedicine and external medical care are costing a lot of money. A way to improve this problem is to introduce an artificial intelligence(AI) doctor in prison. The way to build AI doctors in prisons is to have a main server for AI doctors in the Ministry of Justice and establish networks with each prison. The method of medical treatment using AI doctors is for inmates to fill out question marks using Galaxy Tab, I-Pad, or computer. If the results of the diagnosis come out from an AI doctor, the resident doctor will do what the doctor can prescribe, and the other thing that is not is to have the patient see an outside hospital. The accuracy of diagnosis through AI doctors can help detect diseases early and treat them appropriately. Early treatment can reduce patients' pain and minimize medical expenses. Various problems can arise when introducing AI doctors to prisons. Therefore, all correctional facilities should be implemented by improving the problems that appear after a trial run of one prison.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교정시설에는 예산상의 이유로 다양한 의사가 상주할 수 없고, 의사 1∼2명이 상주하여 진료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상주의사가 할 수 없는 진료에 대해 수용자는 원격진료를 받거나 외부병원에서 진료를 받고 있다. 문제는 원격진료나 외부진료로 인해 많은 의 ...
교정시설에는 예산상의 이유로 다양한 의사가 상주할 수 없고, 의사 1∼2명이 상주하여 진료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상주의사가 할 수 없는 진료에 대해 수용자는 원격진료를 받거나 외부병원에서 진료를 받고 있다. 문제는 원격진료나 외부진료로 인해 많은 의료비가 지출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방안은 교정시설에 인공지능(AI)의사를 도입하는 것이다. 교정시설 내 AI의사 구축방법은 법무부에 AI의사 메인서버를 두고 각 교정시설과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각 교정시설 상주의사는 이를 통해 다양한 진료의 도움을 받는 것이다. AI의사를 이용한 진료방법은 수용자가 갤럭시 탭이나 I-Pad,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문진표를 작성하고, AI의사로부터 진단결과가 나오면 상주의사가 처방할 수 있는 것은 하고, 그렇지 못한 것은 외부진료나 화상진료를 받도록 하는 것이다. AI의사를 통한 진단의 정확도는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조기치료는 환자의 고통을 줄일 수 있고, 의료비 지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교정시설에 AI의사를 전면 도입 시 다양한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하나의 교정시설을 시범시행한 후 나타나는 문제점을 충분히 보완하여 모든 교정시설을 대상으로 실시하면 될 것이다. AI의사를 교정시설에 도입 시 진단 및 치료에 국한할 것인지 아니면 상담까지 가능한 로봇을 도입할 것인지를 검토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교정시설 내 환자 발생 시 환자의 병증상 발전 예측으로 활용할 수 있다. 교정시설 내에서 치료가 필요한 환자가 발생했을 때, 시간대별로 어떤 병증상으로 발전해 나갈지를 예측하는 시스템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을 통해 교정시설 상주의사는 환자의 의료 조치 ...
교정시설 내 환자 발생 시 환자의 병증상 발전 예측으로 활용할 수 있다. 교정시설 내에서 치료가 필요한 환자가 발생했을 때, 시간대별로 어떤 병증상으로 발전해 나갈지를 예측하는 시스템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을 통해 교정시설 상주의사는 환자의 의료 조치 완급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환자의 병증상 상태에서 조치 받아야 할 의료 진단 및 처방에 대한 조언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현재의 환자 병증상 상태에 따라 시간대별로 어떻게 발전해나가는지에 대해 예측하는 시스템으로 현 상태에서 어떤 의료적 지원을 받아야 하는지를 조언하는 역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비의료인이 할 수 있는 응급조치방법, 의료인이 할 수 있는 응급조치방법, 하지 말아야 할 금지 행위, 현 상태에서 투약해야 할 약물의 이름, 긴급 연결할 의료시설 및 의료인 연락처 등을 제시하거나 의료적 조치 또는 비의료적 조치 후에 나타나는 증상에 대해 동일한 방법으로 예측하고 조언을 할 수 있다. 또한, AI로 처방할 경우 기준에 맞지 않은 처방이 불가능해지거나 그 기준을 따르지 않았을 경우 배상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시스템이 구축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