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s

연구과제 상세정보

4차산업시대가 열어줄 지속가능한 AASSA 커뮤니티케어서비스 개발 및 적용 : 지리적 공간의 관점에서
Argos Activity of Senior Sustainability for Anti-aging : Focus on Local characteristic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융합연구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9-S1A5A2A03-2019S1A5A2A03037891
선정년도 2019 년
연구기간 3 년 (2019년 07월 01일 ~ 2022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김지연
연구수행기관 가천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이병훈(길병원)
조성보(가천대학교)
이병문(가천대학교)
이은석(가천대학교)
송홍선(국민체육진흥공단체육과학연구원)
김재운(경인교육대학교)
권순용(서울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 노인 커뮤니티 케어서비스 확대: 보건복지부는 지난 2018년 11월에 ‘지역사회 힘으로 돌봄이 필요한 사람이 자신이 살던 곳에서 어울려 살아갈 수 있는 나라’를 목표로 ‘커뮤니티케어’ 추진 방향을 발표했다. 그 추진방향은 (1)노인의 인권과 삶의 질, (2)지방분권과 책임성강화, (3) 포용적 복지의 지속가능성 활보와 일자리 창출, (4)지역사회 연결망 복원 등을 지향하고 있다. 이를 위해, 재택의료 서비스에 대한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사회복지사 등 전문 인력을 확충하여 지역사회복귀를 위한 돌봄서비스를 추진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사업은 예방과 건강관리 서비스를 강화함으로서 대상자가 가능한 살던 곳에서 오래 생활 할 수 있기 위한, 재가 돌봄서비스 지향하고 있다. 이는 고령화 현상의 가속화에 따라 보건-복지 체계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다.
    ▮노인의 개념의 변화: 2000년대 신노년(new gerontology)이라는 학문적 정의로 건강한 노화, 생산적 노화, 혹은 긍정적 노화의 개념에서 이후 건강관리와 사회적 삶 만들기에 적극인 신노인(neo-elderly)의 개념으로 변화되고 있다. 또한 뉴시니어 세대(new generation of senior)는 재정 여유와 육체적, 정신적 건강을 갖춘 은퇴자를 의미한다. 이들은 건강 · 돈 · 안전 · 자유 · 인간관계 · 취미 등에 대한 기대치가 남달리 높다. 또한 슈퍼노인증후군은 노인들의 생산성과 활동성, 젊음을 유지하는 것 이상의 노후 생활을 그리고 있고, 이외에도 다운에이징 현상과 노모족 신드롬(No moer older)이라 하여 노인이라는 연령에 갇힌 사회에서 벗어나려는 현상을 의미하는 노인에 대한 다양한 신조어들이 생겨나고 있다.
    ▮IT기술이 열어주는 뉴 시니어 라이프: 이들은 스마트기기로 대변되는 4차산업 및 ICT 기술에 어려움을 느끼는 기존 시니어와는 다르다. 스마트폰 사용법쯤은 이미 터득해 능숙히 다룰 줄 안다. 고령화에 따른 부양 수요 증가, 4차산업 기술 발달, 충분한 경제력이 합쳐져 뉴 시니어를 겨냥한 비즈니스는 폭발적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고서에 따르면 고령친화 시장 규모는 2012년 27조4천억원에서 2020년 72조8천억원으로 약 2.5배 가까이 성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예를 들어, 펀 앤드테라피(Fun&Therapy), 가상현실(VR)은 고령층에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는 정서적 고립과 외로움 해결이다. 이는 가상현실의 진보가 일정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외에선 치매환자들에게 가상 접촉과 의사소통이 심리·정서적 치료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고 있다. 미국 MIT 대학 스타트업 ‘Rendever’는 결혼, 졸업 등 가족 행사 영상을 가상 현실화해 추억을 잃어버리기 쉬운 노인들에게 제공한다. 일본 가상현실 콘텐츠 전문제조사 ‘Mogura사’는 ‘FIRST AIRLINES’라는 해외여행 체험 서비스를 제공해 노인 여가 생활에 기여하고 있다. 
    큐어 앤드 트레이닝(Cure and Training), 인공지능(AI)은 인공지능은 고령층 정신·육체적 취약점을 보완하고 돌보는 라이프 파트너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치매 완화를 위한 트레이닝 서비스, 이를 기반으로 신체 상태를 분석하는 서비스가 초기 단계로 구현된 상태다. 인공지능 잠재성이 가장 큰 분야는 일상생활 파트너 역할 기술인 VAPA(voice-activated personal assistants)다. 이동이 제한되거나 시력이 나쁜 신체적 약자 및 고령자들을 위해 오락·정보제공·알림·제어 등 복합적인 도우미 역할을 한다.
    이처럼, 고령층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이러한 4차 산업관련 비즈니스는 간호, 승차, 보행, 운동, 교감 등의 다양한 분야로 확대 될 것으로 보인다.
    ▮본연구의 의의: 본 연구는 이러한 4차산업시대가 열어줄 지속가능한 시니어스마트헬스기기를 활용한 AASSA 프로그램 개발하고 이를 커뮤니티케어존에 적용, 그리고 이에 따른 인력양성을 위한 융합적 연구를 실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기대효과
  • 1) 연구결과의 학문적 기대효과
    ▮4차산업과 시니어헬스케어 대한 시대적 가치 부각: 고령화 및 건강의 높은 관심과 삶의 질, 건강증진 및 유지를 위해서 4차산업 및 ICT 기술은 더욱 발전할 것이다. 이를 현실적 적용에 부합한 프로그램 및 현장 적용으로 그 효과와 활용도가 배가 되는 계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시니어헬스케어에 관련된 기기개발 뿐 만 아니라 교육프로그램, 인력양성 등 시대적 가치를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의 역할이 있을 것이다.
    ▮융합을 통한 새로운 학문 영역확장: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단순한 운동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효과검증에 집중되었던 연구방향이 보다 확대되어 스마트헬스기기 적용에 따른 프로그램이라는 새로운 영역에 인문사회학적 지식, IT기술 그리고 지역사회 커뮤니티케어의 활용이라는 서비스 디자인의 도입까지 융합적으로 발전시킴으로서 지리적 공간을 고려한 건강증진의 새로운 학문이 확립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학제간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 본 연구는 체육학, 스포츠사회학, 운동생리학, 의공학, 컴퓨터 공학 그리고 의학과 공동으로 한 학제간 연구에 근거하여 설계되었다. 또한 본 연구팀은 2013년부터 융합적 접근의 연구를 추진해 오면서 다양한 학제간 연구의 가치를 통하여 현실문제 해결 온 경험이 충분하다. 따라서 이러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학제간 연구의 결과가 현실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바가 큼을 증명함으로써 체육학 분야와 연계한 타학문 분야의 학제간 연구가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되는 바가 크다.
    2)연구결과의 사회발전에 기대효과
    ▮커뮤니티케어 서비스 질 향상: 기존의 커뮤니티케어 기관에서 실시되고 있는 운동프로그램의 체계에서 4차산업시대를 준비하기 위한 새로운 프로그램 기획 및 전환이 필요하다. 4차산업시대의 시니어스마트헬스기기를 활용한 새로운 페러다임의 건강서비스제공을 연구함으로써, 시니어 개개인에게 맞는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회 전반적으로 커뮤니티케어기관의 서비스 질을 향상시키는데 공헌하게 될 것이다.
    ▮4차 산업에 따른 미래 시니어헬스케어 준비: 지리적 공간의 관점에서 커뮤니티케어서비스와 AASSA프로그램의 개발 및 활용은 시니어뿐만아니라 커뮤니티케어존을 이용하는 모든이들, 그리고 일선에서 있는 전문가에게도 적극적으로 신체활동에 참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 새로운 직업군의 창출: 고령화 및 4차산업에 따른 ICT 기술의 발전은 더불어 기존의 방식이 아닌 새로운 접근의 운동과 건강관리의 방향에 큰 변화가 나타날 것이다. 이에 시니어헬스케어에 관련된 기기개발 뿐 만 아니라 기기를 활용하고 응용하는 프로그램활용과 그에 따른 인력양성이 필요하다. 즉, 기존의 운동처방 및 방법이 아닌 스마트헬스기기를 활용한 지도자의 교육 및 양성이 필요하며, 이것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영향이 새롭게 생성될 것으로 기대한다.
    3)연구과제의 교육 연계 효과
    ▮연구수행에 참여한 연구원들의 전문지식 습득: 본 융합과제에 참여하는 분야들의 학부생 및 대학원들을 대상으로 융합연구의 초기단계부터 타 학문을 이해하고 자신의 연구분야를 확대 발전시킬 수 있도록 지리적 공간의 관점에서 커뮤니티케어서비스와 AASSA프로그램의 개발 및 활용을 위한 다양한 기초조사 및 관련 주제에 대한 프로젝트를 조사하고 발표하도록 할 것이다.
    ▮ 일선 현장 근무자들의 교육 실시: 지리적 공간의 관점에서 커뮤니티케어서비스와 AASSA프로그램의 개발 및 활용은 현장의 도움 없이는 매우 제한적인 성공을 거둘 수밖에 없다. 따라서 현장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간호사, 운동지도사 등에게 규명된 지식을 제공하기 위한 교육 커리큘럼의 개발이 함께 진행할 것이다.
    4) 연구결과의 국가 정책적 활용방안
    ▮AASSSA케어 도구의 활용에 대한 국가 정책적 투자를 위한 근거자료 제공: 복지관,보건소, 경로당, 재가 등의 지역사회 커뮤니티케어 기관에 알맞은 스마트헬스기기 및 프로그램 적용을 통해 기존의 신체활동에 제한이 있는 소외, 허약, 치매 노인에게 적용됨으로 인해 임상적 효과뿐만 아니라 사회․심리적으로 건강해지고, 비활동적인 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국가정책의 투자에 도움을 제공하는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국가의 커뮤니티케어 정책에 반영: 현 정부의 치매국가책임제를 공약을 바탕으로 2018년 커뮤티케어 확대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국가 정책을 기본으로 커뮤티케어존에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활용을 목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 각 방면의 정책을 입안하고 운영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 연구요약
  • 1)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리적 공간의 특성에 따른 커뮤니티케어의 활성화 모델을 제시하기 위한 방법으로, 4차 산업시대에 기반한 시니어스마트헬스기기를 활용한 운동재활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커뮤니티케어존에 적용하여, 시니어의 건강 예방관리 및 회복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디자인을 제공하고자 한다.
    2)연구내용:
    ▮본 연구는 4차산업시대에 기반 한 시니어헬스기기 활용과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1년차 연구에는 지리적 공간의 특성에 따른 시니어스마트헬스기기에 대한 실증적이고 구체적인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시니어스마트 헬스기기의 인식과 실태자료를 확보하여 시니어스마트헬스기기와 개발 실태와 특정을 파악하여, 전문가의견을 통해 본 연구에 적합한 기기 선정을 목표로 진행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2년차-3년차까지 4차산업시대에 필요 요구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AASSA 프로그램』개발 → 교육커리큘럼 → 커뮤니티케어서비스 적용 검증 → 지리적 공간 특성에 따른 차별화 프로그램서비스 제시 의 단계로 연구를 수행할 것이다.
    ▮각 2~3년차의 AASSA프로그램 개발 및 검증 절차는 전문가집단의 협의체구성, 자료수집,목표와 범위설정에 대한 내용을 실시할 것이다. 그리고 개발단계에서는 기획단계에서 설정한 목표에 맞는 과제를 수행할 것이며, 실행단계에서는 개발된 내용을 중심으로 대상에 맞게 pilot test를 실시하여 개발내용을 수정·보완 과정을 실시할 것이다. 개발구성된 AASSA 프로그램과 커뮤니티케어존의 활성화를 중심으로 적용 검증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내용을 통합하여 지리적 공간에 따른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제시 할 것이다.
    3)연구방법:
    ▮1년차: 시니어스마트 헬스기기 개발 실태 및 인식조사
    ◎시니어스마트 헬스기기 개발 실태조사 & 선진국의 시니어스마트 헬스기기의 활용사례- 1990년부터 현재까지 논문을 통한 문헌조사실시.
    ◎시니어스마트 헬스기기 실태 및 요구조사(정량적 연구) - 대도시, 중소도시, 농촌지역에 위치한 복지관, 보건소, 경로당을 방문하는 65세 이상의 노인대상으로 설문조사 실시
    ◎심층면담 및 미디어 담론 분석을 통한 인식조사(정성적 연구) -위와 동일범위의 노인 30명대상 심층면담실시
    ▮2년차: 『AASSA프로그램』 컨텐츠 개발
    ◎선정된 기기의 타당성 예비조사:선정된 시니어스마트헬스기기 3종(멘탈, 라이프스타일, 신체활동)도구에 대한, 65세 이상의 커뮤니티케어존 이용 대상자, 기기의 활용도 타당성 검증
    ◎『AASSA프로그램』 컨텐츠 개발 : 전문가 컨소시움 구성 - 멘탈,라이프스타일, 신체활동 기기의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
    ◎『AASSA프로그램』지도인력 양성: 교육커리큘럼 컨소시움 구성-->교육교재 개발 --->교육커리큘럼 개발 -->시니어스마트헬스전문가 양성
    ▮3년차: 커뮤니티케어존에 따른 『AASSA프로그램』 적용 및 검증
    ◎『AASSA프로그램』과 시니어스마트 헬스기기간의 적합성 검증 : 커뮤니티케어존 이용 65세 이상 노인, 시설이용, 거주지 중심으로 Pilot test 실시.사용자의 만족도, 편리성, 안정성에 대한 검증실시.커뮤니티케어존 전문가의 사용성 평가
    ◎지리적 공간을 고려한 커뮤니티케어존에 따른 『AASSA 프로그램』의 적용 : 지리적 공간(대도시, 중소도시, 농촌지역)에 따른 『AASSA 프로그램』프로토콜 시범사업실시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 본 연구는 지리적 공간의 특성에 따른 커뮤니티케어의 활성화 모델을 제시하기 위한 방법으로, 4차 산업시대에 기반한 시니어스마트헬스기기를 활용한 운동재활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커뮤니티케어존에 적용하여, 시니어의 건강 예방관리 및 회복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디자인을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4차산업시대에 기반 한 시니어헬스기기 활용과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1년차 연구에는 지리적 공간의 특성에 따른 시니어스마트헬스기기에 대한 실증적이고 구체적인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시니어스마트 헬스기기의 인식과 실태자료를 확보하여 시니어스마트헬스기기 개발 실태와 특성을 파악하여, 전문가의견을 통해 본 연구에 적합한 기기 선정을 목표로 진행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2년차-3년차까지 4차산업시대에 필요 요구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AASSA 프로그램』개발 → 교육커리큘럼 → 커뮤니티케어서비스 적용 검증 → 지리적 공간 특성에 따른 차별화 프로그램서비스 제시의 단계로 연구를 수행할 것이다.

    ▮ 각 2~3년차의 AASSA프로그램 개발 및 검증 절차는 전문가집단의 협의체구성, 자료수집,목표와 범위설정에 대한 내용을 실시할 것이다. 그리고 개발단계에서는 기획단계에서 설정한 목표에 맞는 과제를 수행할 것이며, 실행단계에서는 개발된 내용을 중심으로 대상에 맞게 pilot test를 실시하여 개발내용을 수정·보완 과정을 실시할 것이다. 또한 개발구성된 AASSA 프로그램과 커뮤니티케어존의 활성화를 중심으로 적용 검증을 실시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내용을 통합하여 지리적 공간에 따른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제시 할 것이다.

    ▮그 결과, 시니어의 스마트헬스케어기기의 인식조사, 헬스케어를 이용한 멘탈, 라이프스타일, 신체활동의 AASSA프로그램 개발하였고, 이에 대한 적합성 검증을 완료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가천대학교 바람개비 시니어헬스케어체험관 개소, 2021년도 교육부 우수성과50선 선정등의 성과를 이루었다.
  • 영문
  •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exercise rehabilitation program using senior smart health devices based on the 4th industrial era and apply it to the community care zone to provide a service design for senior health prevention management and recovery services.

    ▮ This study aims to collect and analyze empirical and specific data on senior smart health devic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geographical space in the first year of the study for the purpose of utilizing senior health devices and developing programs based on the 4th industrial era. By securing recognition and actual condition data of senior smart health devices, we will grasp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senior smart health devices, and proceed with the goal of selecting devices suitable for this study through expert opinions. Based on this, considering the diversity of needs in the 4th industrial era until the 2nd and 3rd years, the research will be conducted as a step of developing the "AASSA program" → verifying application of community care services → presenting differentiated program services according to geospatial characteristics.

    ▮ The AASSA program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procedures for each of the two to three years will include the composition of consultative bodies, data collection, and goals and scope setting of expert groups. In the development stage, tasks will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goals set in the planning stage, and in the implementation stage, pilot tests will be conducted according to the target, focusing on the developed contents, and the development contents will be revised and supplemented. In addition, application verification will be conducted focusing on the activation of the developed AASSA program and community care zone. Finally, differentiated programs according to geographic space will be presented by integrating the developed contents.

    ▮As a result, the AASSA program for mental, lifestyle, and physical activities using healthcare was developed, and the suitability verification was completed.

    ▮Through this study, the opening of Gachon University's Pinwheel Senior Health Care Experience Center and the selection of 50 outstanding performance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2021 have been achiev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1)연구목적
    ▮ 본 연구는 지리적 공간의 특성에 따른 커뮤니티케어의 활성화 모델을 제시하기 위한 방법으로, 4차 산업시대에 기반한 시니어스마트헬스기기를 활용한 운동재활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커뮤니티케어존에 적용하여, 시니어의 건강 예방관리 및 회복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디자인을 제공하고자 한다.

    2)연구내용
    ▮ 본 연구는 4차산업시대에 기반 한 시니어헬스기기 활용과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1년차 연구에는 지리적 공간의 특성에 따른 시니어스마트헬스기기에 대한 실증적이고 구체적인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시니어스마트 헬스기기의 인식과 실태자료를 확보하여 시니어스마트헬스기기 개발 실태와 특성을 파악하여, 전문가의견을 통해 본 연구에 적합한 기기 선정을 목표로 진행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2년차-3년차까지 4차산업시대에 필요 요구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AASSA 프로그램』개발 → 교육커리큘럼 → 커뮤니티케어서비스 적용 검증 → 지리적 공간 특성에 따른 차별화 프로그램서비스제시의 단계로 연구를 수행할 것이다.
    ▮ 각 2~3년차의 AASSA프로그램 개발 및 검증 절차는 전문가집단의 협의체구성, 자료수집,목표와 범위설정에 대한 내용을 실시할 것이다. 그리고 개발단계에서는 기획단계에서 설정한 목표에 맞는 과제를 수행할 것이며, 실행단계에서는 개발된 내용을 중심으로 대상에 맞게 pilot test를 실시하여 개발내용을 수정·보완 과정을 실시할 것이다. 또한 개발구성된 AASSA 프로그램과 커뮤니티케어존의 활성화를 중심으로 적용 검증을 실시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내용을 통합하여 지리적 공간에 따른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제시 할 것이다.

    3)연구방법
    ▮ 1년차 : 시니어스마트 헬스기기 개발 실태 및 인식조사
    ⌷ 시니어스마트 헬스기기 개발 실태조사 & 선진국의 시니어스마트 헬스기기의 활용사례
    1990년부터 현재까지 논문을 통한 문헌조사실시
    ⌷ 시니어스마트 헬스기기 실태 및 요구조사(정량적 연구)
    대도시, 중소도시, 농촌지역에 위치한 복지관, 보건소, 경로당을 방문하는 65세
    이상의 노인대상으로 설문조사 실시
    ⌷ 심층면담 및 미디어 담론 분석을 통한 인식조사(정성적 연구)
    위와 동일범위의 노인 30명대상 심층면담실시

    ▮ 2년차 : 『AASSA프로그램』 컨텐츠 개발
    ⌷ 선정된 기기의 타당성 예비조사
    선정된 시니어스마트헬스기기 3종(멘탈, 라이프스타일, 신체활동)도구에 대한, 65세
    이상의 커뮤니티케어존 이용 대상자, 기기의 활용도 타당성 검증
    ⌷ 『AASSA프로그램』 컨텐츠 개발
    전문가 컨소시움 구성 : 멘탈, 라이프스타일, 신체활동 기기의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
    ⌷ 『AASSA프로그램』지도인력 양성
    교육커리큘럼 컨소시움 구성 → 교육교재 개발 → 교육커리큘럼 개발 → 시니어스마트헬스전문가 양성

    ▮ 3년차 : 커뮤니티케어존에 따른 『AASSA프로그램』 적용 및 검증
    ⌷ 『AASSA프로그램』과 시니어스마트 헬스기기간의 적합성 검증
    커뮤니티케어존 이용 65세 이상 노인, 시설이용, 거주지 중심으로 Pilot test 실시
    사용자의 만족도, 편리성, 안정성에 대한 검증실시
    ⌷ 커뮤니티케어존 전문가의 사용성 평가
    ⌷ 지리적 공간을 고려한 커뮤니티케어존에 따른 『AASSA 프로그램』의 적용
    지리적 공간(대도시, 중소도시, 농촌지역)에 따른 『AASSA 프로그램』프로토콜
    시범사업 실시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
    ▮ 시니어스마트 헬스기기에 대한 인식조사
    ▮ AASSA프로그램 개발
    - 멘탈, 라이프스타일, 신체활동 기기의 맞춤형 운동재활 프로그램 개발
    ▮ AASSA 프로그램 지도인력 양성
    -20명의 지도자 양성 교육 실시
    -4회 교육
    -20명 지도자 배출
    ▮ 프로그램 적용 적합성 평가
    -복지관 /재가 서비스 활용 가능성 탐색

    ▮ 가천대학교 바람개비 시니어헬스케어체험관 개소
    ▮ 2021년도 교육부 우수성과 50선

    2)연구결과의 활용방안
    ▮ 새로운 직업군의 창출 : 고령화 및 4차산업에 따른 ICT 기술의 발전은 더불어 기존의 방식이 아닌 새로운 접근의 운동과 건강관리의 방향에 큰 변화가 나타날 것
    이다. 이에 시니어헬스케어에 관련된 기기개발 뿐 만 아니라 기기를 활용하고 응용하는 프로그램 활용과 그에 따른 인력양성이 필요하다. 즉, 기존의 운동처방 및 방법이 아닌 스마트헬스기기를 활용한 지도자의 교육 및 양성이 필요하며, 이것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영향이 새롭게 생성될 것으로 기대한다.

    3)연구과제의 교육 연계 효과
    ▮ 연구수행에 참여한 연구원들의 전문지식 습득 : 본 융합과제에 참여하는 분야들의 학부생 및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융합연구의 초기단계부터 타 학문을 이해하고 자신의 연구분야를 확대 발전시킬 수 있도록 지리적 공간의 관점에서 커뮤니티케어서비스와 AASSA프로그램의 개발 및 활용을 위한 다양한 기초조사 및 관련 주제에 대한 프로젝트를 조사하고 발표하도록 할 것이다.

    ▮ 일선 현장 근무자들의 교육 실시: 지리적 공간의 관점에서 커뮤니티케어서비스와 AASSA프로그램의 개발 및 활용은 현장의 도움 없이는 매우 제한적인 성공을 거둘 수밖에 없다. 따라서 현장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간호사, 운동지도사 등에게 규명된 지식을 제공하기 위한 교육 커리큘럼의 개발도 함께 진행할 것이다.

    4) 연구결과의 국가 정책적 활용방안

    ▮ AASSSA케어 도구의 활용에 대한 국가 정책적 투자를 위한 근거자료 제공 : 복지관, 보건소, 경로당, 재가 등의 지역사회 커뮤니티케어 기관에 알맞은 스마트헬스기기 및 프로그램 적용을 통해 기존의 신체활동에 제한이 있는 소외, 허약, 치매 노인에게 적용됨으로 인해 임상적 효과뿐만 아니라 사회․심리적으로 건강해지고, 비활동적인 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국가정책의 투자에 도움을 제공하는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색인어
  • 4차산업시대, 시니어, 운동재활, 커뮤니티케어, 헬스케어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